• 제목/요약/키워드: cold germination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8초

미숙배 배양시 GA$_3$농도가 보리의 춘화처리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3 Concentrations on the Vernalization Period in the Immature Embryo Culture of Barley (Hordeum vulgare))

  • 백성범;이종호;김흥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57-263
    • /
    • 1992
  • GA$_3$ 농도 및 저온처리 기간이 보리의 춘화처리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추파성 정도가 IV인 올보리를 공시하여 출수후 13 및 20일이 경과한 미숙배를 GA$_3$농도별로 B$_{5}$배지에 치상하여 저온처리한 후 온도 20/15$^{\circ}C$, 14시간 일장으로 온냉조절실에 이식재배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숙배의 생육은 출수후 13일배 보다 20일배가 양호하여 발아율 및 유묘장은 증가하였고, 평균발아일수는 감소하였는데, GA$_3$1 및 10ppm이 효과가 좋았다. 2. GA$_3$농도가 증가할수록 상엽전개 및 출수일수가 단축되었으며, 춘화처리에 효과가 높은 GA$_3$농도는 1,10ppm이었고 GA$_3$와 저온처리가 병행될 때 춘화처리효과가 높았다. 3. GA$_3$ 처리에 따른 상엽전개일수 단축 효과는 3주 저온처리의 GA$_3$무처리구보다 2주 저온처리의 GA$_3$1,10ppm에서 각각 3, 16일 단축되었고, 3주저온처리의 1ppm에서 18일, 10ppm에서 20일 단축되었다. 4. 간장, 수장 및 일수립수는 공히 3주 저농처리에 GA$_3$ 10ppm 처리가 최소치를 보였는데, 실제육종상 중요한 일수립수의 확보는 충분할 것으로 보였다. 5. GA$_3$농도와 주요 형질과의 상관은 1주 저온처리시 각 형질들과 모두 상관 관계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2주 저온처리에서는 고도의 부상관이 인정되었고, 3주 저온처리에서는 출수일수를 제외한 모든 형질이 부의 상관이 있었다. 6. 저온처리 기간과 주요 형질들과의 상관은 GA$_3$무처리시 간장만 유의적인 부의 상관이 있었고, 기지 상관이 없었으며 GA$_3$1, 10ppm 처리시 모든 형질이 고도의 부상관이 있었다.다.

  • PDF

보리 종자세 검정방법 비교 (Vigor Determination in Barley Seeds by the Multiple Criteria)

  • 김석현;최진용;강진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17-424
    • /
    • 1987
  • 보리종자의 노화과정에서 일어나는 생리화학적인 활성을 비교 검토하여 종자세를 예측하기에 적합한 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새쌀보리, 부호보리 및 두산2002의 3품종을 ‘Wire-mesh tray’ 방법으로 41$^{\circ}C$, 상대습도 100%로 조절하여 1일에서 8일간 인위노화시켰다. 종자세의 지표로서 발아율$\times$유아의 길이로 표시한 값과 각종 매개면수와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발아시험에 의한 방법이 보리종자의 퇴화진전을 확실히 반영해 주고 있으며, ATP 검정과 GADA 검정방법을 제외한 저온발아시험, 전기전도검정 및 테트라조리움 검정방법은 보리 종자세평가에 적합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저온발아시험에 의한 유아장과 데트라조리움 검정법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유독 와편모조류 Alexandrium속의 출현에 미치는 휴면포자의 발아율 (Germinability of Resting Cysts Associated with Occurrence of Toxic Dinoflagellate Alexandrium Species)

  • 김창훈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51-264
    • /
    • 1994
  • 패독발생의 원인규명을 위한 모니터링의 일환으로 원인생물의 출현과 휴면포자의 발아에 의한 현장 개체군의 유입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3년 9월부터 진해만을 중심으로 Alexandrium속의 발생현황, 원인생물의 잠재력을 제공하는 저질중의 휴면포자의 분포 및 실내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만내의 조사된 모든 정점에서 1월부터 Alexandrium속이 출현하여 대곡리 정점(칠천도)에서 3월에 533 개체/l의 최고치를 보였으며, 다른 지점에서는 100개체 이하를 나타냈으나 수온상승기인 4월에는 출현량이 감소하였다. 저질중의 Alexandrium속 휴면포자의 분포밀도는 채집한 정점간의 차이가 많아 100-800 개체/$cm^3$의 밀도를 보였으나, 채집지역의 저질상부층$(0\~4cm)$에서 $700\~800$ 개체/$cm^3$의 분포 지점이 많았다 휴면포자의 발아율은 수정리 정점에서 1월$(72.5\%)$, 4월$(68.0\%)$, 7월$(44\%)$ 및 10월$(9.0\%)$ 순으로 채집 계절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으며, 1월 채집한 만내의 다른 2 정점의 휴면포자도 $71\~97|%$의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한편, 수심이 얕은 다대포 지점의 휴면포자는 6월$(86.5\%)$과 10월$(70.0\%)$에도 높은 발아율을 보여 진해만의 각 지점과는 대조적인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lexandrium속 휴면포자의 발아는 지역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으며 비교적 수심이 깊은 지역에서는 온도 등의 환경요인의 변동 외에 내재적 발아리듬의 영향이 클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진해만에서는 저수온기일지라도 휴면포자의 발아에 의한 Alexandrium속의 출현이 놀게 나타나며, 이 지역의 패독발생의 원인생물로 기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시사되었다.

  • PDF

냉습적(冷濕積)에 따른 은행나무종자내(種子內) 생장조정물질(生長調整物質)의 변화(變化) (Alteration of Endogenous Growth Substances in Cold-moist Stratified Seeds of Ginkgo biloba L.)

  • 이경재;임경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2
    • /
    • 1978
  • 휴면기간(休眠期間)이 긴 은행나무 종자(種子)의 냉습적처리(冷濕積處理)에 따른 생장촉진물질(生長促進物質)과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의 증감(增減)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본(本) 연구(硏究)를 수행(遂行)하고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무처리종자(無處理種子)는 배(胚), 배유(胚乳), 종피(種皮)의 각추출물(各抽出物)에서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을 볼 수 있었으며, 특(特)히 종피(種皮)에서 가장 현저(顯著)하게 나타났다. 2. 냉습적처리종자(冷濕積處理種子)의 배(胚)와 종피(種皮)에서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의 현저(顯著)한 감소(減少)가 있었으나, 생장촉진물질(生長促進物質)은 배부분(胚部分)에서 증가(增加)가 약간 나타났다. 3.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은행나무 종자(種子)의 휴면(休眠)에는 종피(種皮), 배(胚), 배유(胚乳)의 각부분(各部分)이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이 존재(存在)하며 발아(發芽)에 관계하는 것으로 추측(推測)된다. 4. 은행나무 종자(種子)와 발아촉진(發芽促進)과의 관계는 생장촉진물질(生長促進物質)의 증가(增加)보다는, 배(胚)와 종피(種皮)의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의 감소(減少)에 영향된다고 추측(推測)된다. 5. 생장촉진물질(生長促進物質)인 Gibberellin은 자외선형광검사등검정(紫外線螢光檢査燈檢定)에서 Rf 0.26, 에서 나타났고,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인 Abscisic acid는 Rf 0.62, Rf 0.70, Rf 0.78에서 각각(各各) purple, gray, blue의 형광색(螢光色)으로 나타났다.

  • PDF

사과 대목 종자의 발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rmination of Apple Rootstock Seed, Malus sieboldii)

  • 정삼택;김익홍;전상항;김민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7권
    • /
    • pp.41-46
    • /
    • 1989
  • 일반적으로 사과나무의 일반 대목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삼엽해당(Malus sieboldii)의 종자를 1988년 11월에 경북대학교 부속 농장에서 채취하여 15주 동안 습기 있는 모래에 충적 처리후 발아와 그후의 생육상을 알기 위하여 $GA_3$ BA와 ABA를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처리구중에 $GA_3$, BA구는 발아율이 높았고 ABA처리구는 낮았으며 ABA처리가 다시 종자를 휴면상태로 유도시키던지, 정상적인 묘가 되지 못하였다. 2. 평균 발아기간 역시 ABA를 처리한 구들은 다른구에 비하여 2일 이상 지연되었다. 3. 평균 유아와 유근의 길이는 ABA 20ppm 처리구가 가장 불량하였다. 이는 묘의 세력이 약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불량묘가 생산되었다. 4. 생성된 묘의 생체중과 건물중의 비교에서 BA 처리 구들이 비교적 묘의 무게가 무거웠고 ABA처리구는 가벼워서 비정상적인 묘를 형성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휴면이 타파된 종자에 ABA를 외적으로 처리하면 다시 휴면상태가 되며 또 발아가 되어도 생리적인 왜화 상태를 나타낸다. 그래서 묘의 건전한 생장을 위해서는 BA가 우수하다고 인정되어 진다.

  • PDF

단옥수수와 초당옥수수 탈곡 시 종자 수분함량과 탈곡방법에 따른 종자 특성 (Characteristics of Sweet and Super Sweet Corn Seeds Shelled at Different Seed Moisture and Threshing Method Conditions)

  • 이석순;윤상희;양승규;홍승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7호
    • /
    • pp.632-638
    • /
    • 2006
  • 단옥수수와 초당옥수수 종자의 활력을 높일 수 있는 탈곡방법을 알기 위하여 단옥수수($Early\;Sunglow{\times}GCB\;70$)와 초당옥수수($Xtrasweet\;82{\times}Fortune$) 종자의 수분함량을 12, 15, 18, 21%로 건조한 후 손과 전기 탈곡기로 탈곡하여 $25^{\circ}C$ 발아율, cold test에서 출아율, 당 및 전해질 누출, ${\alpha}-amylase$ 활성 등 종자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손 탈곡은 종자수분 함량에 관계없이 기계적 상처가 없었으나 기계 탈곡할 때 종자의 상처를 줄일 수 있는 수분함량은 단옥수수는 $15{\sim}21%$, 초당옥수수는 $12{\sim}21%$이었다. 2. Cold test에서 출아율은 종자수분 함량에 관계없이 손 탈곡한 종자가 기계 탈곡한 종자보다 단옥수수는 $6{\sim}14%$, 초당옥수수는 $9{\sim}18%$ 높았다. 3. 단옥수수는 $25^{\circ}C$ 발아율과 cold test 출아율과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초당옥수수는 관계가 없었다. 단옥수수와 초당옥수수의 cold test에서 출아율은 침종 시 당 누출과는 부의 상관, ${\alpha}-amylase$ 활성과는 정의 상관이 있었다. 4. 기계 탈곡 시 $25^{\circ}C$에서 상처립 비율, 발아율, cold test에서 출아율, 당과 전해질 누출량, ${\alpha}-amylase$ 활성을 고려한 적정 종자수분 함량은 단옥수수는 15%, 초당옥수수는 12%이었다.

Survival Factor Gene FgSvf1 Is Required for Normal Growth and Stress Resistance in Fusarium graminearum

  • Li, Taiying;Jung, Boknam;Park, Sook-Young;Lee, Jungkw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5호
    • /
    • pp.393-405
    • /
    • 2019
  • Survival factor 1 (Svf1) is a protein involved in cell survival pathways. In Saccharomyces cerevisiae, Svf1 is required for the diauxic growth shift and survival under stress conditions. In this study, we characterized the role of FgSvf1, the Svf1 homolog in the homothallic ascomycete fungus Fusarium graminearum. In the FgSvf1 deletion mutant, conidial germination was delayed, vegetative growth was reduced, and pathogenicity was completely abolished. Although the FgSvf1 deletion mutant produced perithecia, the normal maturation of ascospore was dismissed in deletion mutant. The FgSvf1 deletion mutant also showed reduced resistance to osmotic, fungicide, and cold stress and reduced sensitivity to oxidative stress when compared to the wild-type strain. In addition, we showed that FgSvf1 affects glycolysis, which results in the abnormal vegetative growth in the FgSvf1 deletion mutant. Further,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ccumulated in the FgSvf1 deletion mutant, and this accumulated ROS might be related to the reduced sensitivity to oxidative stress and the reduced resistance to cold stress and fungicide stress. Overall, understanding the role of FgSvf1 in F. graminearum provides a new target to control F. graminearum infections in fields.

잉글리쉬 라벤다의 종자발아(種子發芽)에 대한 온도(溫度), 광(光) 및 생육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의 영향(影響) (Effects of Temperature, Light and Plant Growth Regulators on the Seed Germination of Lavandula angustifolia Mill)

  • 이현일;강원희;유창연;김일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58-264
    • /
    • 1998
  • 본(本) 연구(硏究)는 잉글리쉬 라벤다의 실생번식(實生繁殖)을 통한 대량증식(大量增殖) 체계확립(體系確立)을 위하여 종자발아(種子發芽)에 미치는 온도(溫度), 광(光), 및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의 효과(效果)를 조사(調査)하였는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4^{\circ}C$ 항온기(恒溫器)에 건조보관(乾燥保管)한 종자(種子)는 4% 정도(程度)의 극히 낮은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다. 2. 광의 효과는 9주간 층적처리(層積處理)한 종자에서 명발아(明發芽)가 암발아(暗發芽)에 비해 발아율(發芽率)이 15%이상 증가(增加)하였고, 이러한 차이는 암상태(暗狀態)에서 $GA_3$ 1000mg/L 처리에 의하여 극복(克服)되어 $GA_3$가 부분적으로 광대체(光代替) 효과(效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GA_3$ 용액(溶液)을 처리한 종자(種子)에서 발아적온(發芽適溫)은 $25^{\circ}C$인 것으로 나타났다. 4. 발아율(發芽率) 향상(向上)을 위한 방법(方法)으로, $GA_3$ 처리는 $500{\sim}2000mg/L$ 농도(濃度)에서 75% 정도(程度)의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보였고, $GA_3$와 BA의 조합처리(組合處理)는 $GA_3$ 1000mg/L+BA 10mg/L가 $GA_3$, 단독처리(單獨處理)에 비해 10%정도의 발아율(發芽率) 향상(向上)을 보였다. 저온층적처리(低溫層積處理)는 $4^{\circ}C$에서 $9{\sim}12$주간 모래 습윤저장(濕潤貯藏)한 종자가 발아율(發芽率)이 70% 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평균발아일교(平均發芽日敎)도 3日 이내(以內)로 단축(短縮)되었다. 또한 층적처리(層積處理) 종자에 대한 $GA_3$ 처리는 6주 이내(以內)의 층적처리(層積處理) 종자가 효과적(效果的)인 것으로 나타났다. 5. $GA_3$처리에 의한 종자(種子)의 출아율(出芽率)은 vermiculite : peatmoss (1 : 1, v/v) 혼합상토(混合床土)에서 무처리 0.7%에 비해 $GA_3$ 1000mg/L처리는 65%로 높게나타났다.

  • PDF

저장온도 및 종자 처리가 봄파종 인삼 출아와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and Seed Treatment on Emergence and Growth Properties of Panax ginseng at Spring-sowing)

  • 서수정;유진;장인복;문지원;이성우;장인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01-407
    • /
    • 2018
  • Background: In Korea, seeds of Panax ginseng C. A. Meyer need to be stored under cold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 for months to break physiological dormancy, making storage difficult until spring-sow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s of seed storage conditions and seed treatment on the emergence of seedling after spring-sowing in a nursery greenhouse. Methods and Results: After dehiscence, endocarp dried seeds in mild or completely, and wet seeds were stored in $2^{\circ}C$ and $-3.5^{\circ}C$ during winter. Storage at $-3.5^{\circ}C$ resulted in a lower emergence rate (ER) than that at $2^{\circ}C$, and additional cold ($2^{\circ}C$) treatment before or after storage at $-3.5^{\circ}C$ increased the ER. Endocarp dehydration prevented pre-germination at $2^{\circ}C$ storage and increased the ER of seeds stored at $-3.5^{\circ}C$. ER was also dependent on the batch of seeds. However, seed treatments before sowing had only limited effects on ER. Root loss was the main reason for damping-off; prolonged cold storage of seeds increased damping-off, as the detection of pathogens was not high.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storage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of seeds, affect the ER after spring-sowing and vitality of seedlings, suggesting further attention on seed control for secure seedling stands after spring-sowing.

2008년 남해동부해역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 특성 (Characteristic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 in Southeast Coastal Waters of Korea, 2008)

  • 임월애;이영식;박종규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4권3호
    • /
    • pp.155-162
    • /
    • 2009
  • 2008년 한반도 남해동부해역에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의 발생, 진행 및 소멸현상을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물리 화학적 환경요소와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008년 C. polykrikoides 적조는 7월말에 조기 발생하여 저밀도로 장기간 연안해역에 집중되어 발생하였다. 7월 초부터 동해남부해역에서 발생한 냉수대의 영향으로 외해로부터 C. polykrikoides 가입이 어려웠으며, 연안 저층의 포자(cyst) 발아에 의한 적조발생 이후 약한 바람 및 가뭄으로 인한 낮은 영양염 농도로 적조가 확산 성장하지 못하고 연안해역에 제한되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