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hens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가장의 실직에 따른 가정생활 변화 (Family Life Style Changes According to the Householder's Job Status)

  • 김용숙;서혜경;이영숙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2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ouseholder's job status m the family life style. Data was collected from 475 parents in Chonbuk province by using 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June 10 to 30, 1998. Frequencies, percentages, and averages were calculat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follow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amilies who suffered householders' job loss were 1/4 of the respondents and over 4/5 of the families felt economic stresses. 1/3 of the respondents had debts and 1/5 had not any savings. Most of the families were in good or normal marriage relationships, experienced economic crises, and had sparing habit. 2. In out-of-job families, couple cohension, couple satisfaction, and total marriage relationships were lower than in-job families. Also, out-of-job families spared more in buying and using clothes and foods, total clothes living and total food living. 3. In out-of-job families, the economic pressures on marriage relationships, clothes living, and food living were stronger than in-job families. 4. Family resources such as savings, ordinary marriage relationships, and sparing habit effected on the marriage relationships, clothes living, and food living in out-of-job families and in-job families. (Korean J Human Ecology 1(2):12∼22. 1998)

  • PDF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des 구제효율에 미치는 황토의 광물학적 특징 (Effects of Yellow Clay Contents on Removal Efficiency of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 박영태;박호섭;박태규;안경호;손문호;김평중;박맹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6호
    • /
    • pp.1662-1672
    • /
    • 2016
  • To address physicochemical factors of yellow clay for removing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the correlation of removal efficiency with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yellow clay collected from various areas was surveyed. Yellow clay from different localities showed the wide range of chemical compositions $SiO_2$ : 43~71%, $Al_2O_3$ : 13~26%, $Fe_2O_3$ : 5~14%, MgO : 0.4~1.8%, $K_2O$ : 0.6~3.3%, L.O.I.(Loss of Ignition) : 4.5~15%. The mineral compositions of yellow clay were mainly consisted of quartz and feldspar including small amounts of kaolinite, chlorite, and Fe-oxides. The result of size analysis showed that $6{\Phi}(31{\sim}16{\mu}m)$ and $7{\Phi}(16{\sim}8{\mu}m)$ were dominated sizes. The zeta-potential were in the range of -4.1~-20.7mV(average -13.7). As increasing removal efficiency of C. polykrikoides, contents of $Al_2O_3$, $Fe_2O_3$ and L.O.I. in yellow clay increased, whereas $SiO_2$ content decreased. Furthermore, the amounts of silt mineral and small particle were high when the removal efficiency was high.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using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two components of factor 1 and factor 2 showed 79% of the total variance, which is related to cohesion and adsorption. Inducing cell lysis of C. polykrikoides by cohension and adsorption between C. polykrikoides and yellow clay.

소형동적콘관입시험을 이용한 전단강도 산정 및 N-Nc 상관관계 연구 (Study on Shear Strength Using a Portable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 and Relationship between N-Nc)

  • 김혁호;임희대
    • 자원환경지질
    • /
    • 제50권2호
    • /
    • pp.145-157
    • /
    • 2017
  • 최근 집중강우로 인하여 전국적으로 산사태 및 사면붕괴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산지 및 비탈면에서 발생하는 자연재해에 대한 대책안 마련 및 설계 입력자료로서 지반의 강도정수(전단강도)를 도출해야만 한다. 그러나 현재 산지 및 비탈면에 접근하여 지반조사를 하기 위해서는 과다한 산림훼손과 많은 경제적인 비용 등이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인력운반이 가능한 경량화된 소형동적콘관입시험기를 제작하여 다수의 지역에 대한 지반의 특성 및 강도정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국내 및 외국의 소형동적콘관입시험 방법에 대해서 연구 분석하여 국내에 적합한 콘 재료와 시험방법을 제안하였으며, 대표적인 지역을 대상으로 현장에서 콘관입시험 Nc값과 표준관입시험 N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직접전단시험 및 공내전단시험을 실시하여 토층심도별, 기반암별, 흙의 분류별 그리고 #200번체 통과량별로 Nc값과 전단강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산지조건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는 사질토를 대상으로 Nc값에 대응하는 전단강도(점착력 및 내부마찰각)와의 상관식을 제안하여 산지 토층에 대한 효율적인 지반강도정수를 산출하도록 하였다.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 기준의 교과서 실현 양상에 대한 분석 - 외재적 응집성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Textbook Implementation Process of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Standards: Focusing on the Extrinsic Cohension between Curriculum and Textbooks)

  • 김강선;노경국;신순아;이민수;소병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67-88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 기준이 교과서로 실현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추후 교과서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도서관과 정보생활』(2011)은 교육과정 기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개발된 인정 교과서로, 교육과정 기준과 교과서는 형식이든 내용이든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기준의 '주제'와 교과서의 '중단원'의 개수 대응 수준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하나의 '주제'가 둘 안팎의 '중단원'으로 확산되는 '일대다' 대응 수준을 맺는 반면, 고등학교는 둘 안팎의 '주제'가 하나의 '중단원'으로 수렴하는 '다대일' 대응 수준을 맺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일 내용 체계인 초등학교 교육과정 기준은 학년급별 저학년과 고학년을 구분해 교과서로 개발되었다는 점을 참고할 때 초등학교급별을 고려한 교육과정 기준의 교육내용, 주제 명칭 등 일부 조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