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conut water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34초

Ex-situ conservation and cytotoxic activity assessment of native medicinal orchid: Coelogyne stricta

  • Thapa, Bir Bahadur;Thakuri, Laxmi Sen;Joshi, Pusp Raj;Chand, Krishna;Rajbahak, Sabari;Sah, Anil Kumar;Shrestha, Resha;Paudel, Mukti Ram;Park, So Young;Pant, Bijaya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330-336
    • /
    • 2020
  • Ex-situ conservation of the ornamental and medicinal orchid, Coelogyne stricta, was performed by mass propagation using seed culture. Propagation stages were optimized using full- and half-strength solidified MS medium with different phytohormones. Maximum seed germination (88 ± 0.5% over 6 weeks of culture) was achieved on half-strength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5% coconut water. Maximum shoot numbers were found on full-strength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 mg/L BAP, 2 mg/L Kinetin, and 10% coconut water, while the longest root was developed on full-strength MS medium with 1.5 mg/L IBA. A 2:1:1 combination of coco-peat, pine bark, and sphagnum moss was found to be a suitable potting mixture resulting in 80% seedling survivability. The cytotoxic activity of extracts of both wild plants and in vitro-developed protocorms was determined using an MTT (3-(4, 5-dimethylthiazol-2-yl)-2, 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on a cervical cancer cell line. The wild plant extract inhibited the growth of 41.99% of cells, showing that this extract has moderate cytotoxic activity toward cervical cancer cells.

Tween-Span계 비이온성 혼합계면활성제를 이용한 Coconut Oil 원료 유화액의 유화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Coconut Oil-based Emulsion Stability Using Tween-Span Type Nonionic Mixed Surfactant)

  • 홍세흠;주카이양;줘청량;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30권4호
    • /
    • pp.453-45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coconut oil과 Tween-Span계 비이온성 혼합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O/W (oil in water) 유화액의 안정성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비이온성 혼합계면활성제의 HLB value와 첨가량, 균질화 속도를 변수로 설정하여 제조한 O/W 유화액의 평균액적크기, 제타포텐셜, 유화안정도지수(ESI), 열적 불안정도지수(TII) 등으로부터 유화액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제조한 O/W 유화액의 평균액적크기는 100~200 nm의 나노에멀젼으로서 비이온성 혼합계면활성제의 첨가량 및 균질화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액적크기는 감소하였으며, 제타포텐셜은 증가하였다. 비이온성 혼합계면활성제의 HLB value가 6.0, 10.0, 8.0 순으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HLB value가 8.0에서 제조한 유화액의 평균액적크기는 120 nm으로 가장 작고, 제타포텐셜은 40~60 mV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ESI 및 TII를 통한 안정성 평가는 HLB value가 6.0, 10.0, 8.0 순으로 안정성이 증가하였으며, HLB value가 8.0에서의 ESI 및 TII는 각각 80% 이상과 20% 이하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Tween-Span계 혼합계면활성제를 이용한 Coconut Oil 원료 O/W 유화액의 제조 : CCD-RSM을 이용한 최적화 (Preparation of Coconut Oil in Water Emulsions Using Tween-Span Type Mixed Surfactant : Optimization of CCD-RSM)

  • 유봉호;주카이양;줘청량;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31권1호
    • /
    • pp.19-2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coconut oil과 Tween-Span계 혼합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O/W 유화액을 제조하고 유화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화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이를 위해 최적화과정은 CCD-RSM (central composite design model-response surface methodology)를 이용하였다. 계량인자로는 HLB (hydrophile-lipophilie balance) value, 혼합계면활성제 첨가량, 유화속도 등을 설정하였으며, 반응치로는 평균액적크기(MDS), 유화액의 유화안정도지수(ESI), 열적 불안정도지수(TII)를 설정하였다. CCD-RSM 분석결과 3가지 반응치를 동시에 만족하는 최적조건으로 HLB value (9.1), 혼합계면활성제 첨가량(8.7 wt.%), 유화속도(6,200.8 rpm)로 산출되었으며, CCD-RSM 분석예상값은 MDS (151.0 nm), 유화액의 ESI (99.86%), TII (3.17%)로 나타났다. 이 조건에서의 실제실험 결과 오차율은 3.5% 이하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의 O/W 유화액 제조과정에 CCD-RSM 최적화 분석을 적용할 경우 비교적 높은 유의수준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Coconut Oil 분별유와 Palm 분별유로부터 효소적 Interesterification에 의한 코코아 버터 대체유지 합성 (Synthesis of Cocoa Butter Alternative from Coconut Oil Fraction and Palm Oil Fractions by Lipase-Catalyzed Interesterification)

  • 배상균;이경수;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1487-1494
    • /
    • 2010
  • 본 연구는 coconut oil 분별유를 사용하여 코코아 버터 대체유지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RP-HPLC 및 지방산 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commercial CBR와 비교하였다. TAG의 PN 분석결과, 코코아 버터 대체유지에서 전체 TAG의 93.08%가 PN=40~48에 포함되었고, commercial CBR는 94.11%이었다. 지방산조성 분석결과, commercial CBR와 코코아 버터 대체유지의 불포화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18.68%와 17.39%로 유사하였다. 두 유지 모두 지방산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로 코코아 버터 대체유지에서 46.03%, commercial CBR에서 47.75%이었으며, TAG의 sn-2 위치에서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각각 23.22%와 16.06%로 코코아 버터 대체유지가 높았다. 두 유지 모두 $30{\sim}45^{\circ}C$ 온도 구간에서 급격한 용융곡선을 가짐으로써 코코아 버터 대체유지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Polymorphic form 분석결과, 제조된 코코아버터 대체유지와 commercial CBR에서 $4.24{\AA}$$3.83{\AA}$에서 short spacing을 나타내며, ${\beta}'$ 형태의 결정형을 나타내었다.

3차원 전극(Bipolar Packed Bed Electrode)을 이용한 호소수 처리(II) (Advanced Lake Water Treatment with Bipolar Packed Bed Electrode Cell(II))

  • 장철현;박상우;최창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55-360
    • /
    • 2002
  •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ight of wrong of gray-water treatment by applying BPBE electrode cell to the effluence water in the terminal disposal plant of sew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best result was obtained with applied voltage 40V and detention time 6 minutes for the BPBE electrode cell which has the graphite-plate in main electro-de, packing coconut activated carbon. The elimination rate of COD of Al-plate was higher than that of graphite-plate in main electrode. The result of electrolysis for 3 hour in parallel circuit showed the using possibility of gray-water according to each elimination rate : COD 59%, T-N 69 %, T-P 69%. The BPBE electrode cell with the Al-plate in main electrode made the best effect for the elimination of algae in lake water and algae were not occurred in electrolytic water.

활성탄 공정에서의 염소 소독부산물 제거특성 (Removal Characteristics of Chlorination Disinfection By-Products by Activated Carbons)

  • 손희종;노재순;김상구;배석문;강임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62-770
    • /
    • 2005
  • 활성탄 재질별 THM 흡착능은 야자계 활성탄이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 석탄계, 목탄계 활성탄 순으로 평가되었으며, 야자계 활성탄의 최대 흡착량(X/M)이 석탄계와 목탄계 활성탄에 비해 각각 $1.1{\sim}1.5$배 및 $14.1{\sim}31.4$배 정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활성탄 사용율(CUR)의 경우는 chloroform 흡착 제거시 야자계 활성탄은 1일 9.4 g의 활성탄을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반면, 석탄계나 목탄계 활성탄의 경우는 11.2 g 및 38 g의 활성탄을 사용하여야만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THM 구성종별 활성탄에 대한 흡착특성을 조사한 결과 chloroform의 k값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THM 구성종들 중 활성탄을 이용한 흡착제거가 가장 어려운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BDCM, CDBM, bromoform 순으로 나타났다. bromoform은 chloroform에 비해 k값이 활성탄 재질별로 $5{\sim}12$배 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Biofilter에서의 THM 구성종들에 대한 생분해 특성을 평가한 결과, 물질별 평균 생분해율이 chloroform의 경우 7%, BDCM 5%, CDBM 4%, bromoform 3%로 나타나 생물분해가 어려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HAA5 구성종들에 대한 활성탄 흡착 및 biofilter를 이용한 생분해 특성 평가 결과는 운전초기에는 흡착 제거되었으며, biofilter에서의 생물분해능은 TCAA를 제외한 나머지 4종은 bed volume 2000 부근부터는 생물분해에 의해 거의 100%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TCAA는 bed volume 4000 이후부터 생물분해에 의해 90% 이상 제거되기 시작하여 bed volumed의 증가와 함께 제거율도 상승하였다.

FDR(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센서를 이용한 코코넛 코이어 배지내 수분특성 측정 (Measuring Water Content Characteristics by Using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Sensor in Coconut Coir Substrate)

  • 박성태;정금향;유형주;최은영;최기영;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8-166
    • /
    • 2014
  • 본 연구는 FDR(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센서를 이용하여 코코넛 코이어 배지에서 급액 공급관리에 적합한 수분측정 장소를 찾고 보다 정밀한 측정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실험으로 급액구에서의 측정거리와 위치 그리고 노이즈 필터 사용에 따른 수분변화와 편차를 조사하였다. 시판되는 코코넛 코이어 슬라브 중 coir dust와 chip의 함량이 10:0, 7:3, 5:5, 3:7인 배지들을 사용했고 배지 윗면과 측면에 급액구부터 5, 10, 20, 30cm의 거리를 두어 센서를 설치하여 동일한 급액을 공급한 후 수분변화를 측정하였으며, 노이즈 필터 사용 여부에 따른 수분변화는 내부가 균일한 인공토양인 글라스 비드를 포수하여 설치간격 0, 6, 12, 21cm에서 측정하였다. 배지조성에 상관없이 센서가 급액구에 가까울수록 높은 수분함량 증가를 나타내었다. 배지 조성 3:7과 10:0에서는 윗면과 측면 측정에 따른 배지 수분함량 변화 특성이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5:5와 7:3에서는 윗면을 측정시 보다 높은 수분함량 증가를 보였다. Chip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3:7 배지에서는 다른 배지들보다 수분함량 증가가 낮았다. 노이즈 필터를 사용하게 되면 측정치 변동과 편차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코코넛 코이어 배지에서 FDR센서를 이용해 배지 수분 계측시 급액구에 가까운 거리의 윗면을 측정하는 것이 급액 이후 배지내 변화를 관측이 용이하다. 다수의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할 경우에는 센서간 간격을 21cm 이상으로 넓게 설치하도록 하며, 노이즈 필터는 측정 안정성 향상을 위해 사용을 권장한다.

정수중(淨水中)의 용존(溶存)알루미늄 제어방안(制御方案)의 조사(調査) (Investigation on the Removal of Dissolved Aluminum Ion in Drinking Water)

  • 최승일;김문정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2-52
    • /
    • 1997
  • The affection of activated carbon on the dissolved aluminum ion in drinking water has been observed. In addition, the aluminum ion removal capability of activated, alumina, chitosan, and ion exchange resin have been investigated.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al based activated carbon released considerable amount of aluminum ion to the water while coconut shell based activated carbon didn't. However the release was not continuous. Activated alumina didn't show any recognizable removal capability for aluminum ion in water. Particulate chitosan has removed aluminum ion although dissolved chitosan has not. However it need to development a regeneration process for chitosan to be an effective mean for aluminum ion removal. Ion exchange resin showed a reliable aluminum ion removal capability. The ion exchange capacity was 2.63 meq/g resin for the aluminum ion in drinking water.

  • PDF

Effect of Palm or Coconut Solid Lipid Nanoparticles (SLNs) on Growth of Lactobacillus plantarum in Milk

  • Jo, Yeon-Ji;Choi, Mi-Jung;Kwon, Yun-Jo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97-204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lm or coconut solid lipid nanoparticles (PO-SLNs or CO-SLNs) on growth of Lactobacillus plantarum (L. plantarum) in milk during storage period. The PO or CO (0.1% or 1.0%) was dispersed both in distilled water (DW) and ultra high temperature milk (UHTM), and subsequently emulsified with Tween® 80 by ultrasonication (30% power, 2 min). Increase in particle size and encapsulation efficiency (EE%) in DW was observed with an increase in oil concentration, whereas a decrease in ζ-potential of SLNs was noted with an increment in oil concentration. Moreover, the CO-SLNs exhibited relatively smaller particle size and higher EE% than PO-SLNs. The CO-SLNs were found to be more stable than PO-SLNs. Higher lipid oxidation of PO or CO-SLNs in UHTM was observed during the storage test, when compared to PO or CO-SLNs in DW. However,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in lipid oxidation during storage period (p>0.05). In the growth test, the viability of L. plantarum in control (without PO or CO-SLNs in DW) exhibited a dramatic decrease with increasing storage period. In addition, viability of L. plantarum of PO or COSLNs in UHTM was higher than that of SLNs in DW. Based on the present study, production of SLNs containing PO or CO in UHTM is proposed, which can be used in lactobacilli fortified beverages in food industry.

코코넛 오일로부터 유래된 아미노산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합성 및 계면 특성 연구 (Synthesis of Amino Acid-based Anionic Surfactants from Coconut Oil and Characterization of Interfacial Properties)

  • 예다난;조선희;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29권5호
    • /
    • pp.524-53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천연 유래의 코코넛 오일을 원료로 사용하여 2종류의 아미노산계 음이온 생체계면활성제 포타슘 코코일 글루타메이트(potassium cocoyl glutamate, CTK)와 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sodium cocoyl glutamate, CTN)를 합성하였으며, 합성한 계면활성제의 구조를 FT-IR, $^1H-NMR$$^{13}C-NMR$ 분석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합성한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정적 및 동적 표면장력과 유화력 등의 계면 물성을 측정한 결과, CTK와 CTN 모두 계면 활성이 우수하고 계면 에너지를 낮추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CTK 계면활성제가 CTN 계면활성제와 비교하여 계면 에너지를 낮추는데 보다 효과적이었는데 이는 CTK가 소수성이 더 크고 계면활성제 단분자가 벌크 용액으로부터 공기와 수용액의 계면으로 이동하는 속도가 빨라서 공기와 수용액의 계면이 계면활성제 단분자에 의하여 더 짧은 시간에 포화되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으며, 생활용품이나 화장품 제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