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conut oil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초

Elicitor에 의한 baccatin III의 세포내 생합성 조절연구 (Elicitors for the Regulation of baccatin III Biosynthesis in Plant Cell Culture System)

  • 신승원;김유선;임숙
    • 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0-65
    • /
    • 2000
  • The yeast extract, coconut water, safflower seed oil, arachidonic acid, linolenic acid, jasmonic acid and methyl jasmonate were added to Gamborg's B$_{5}$ medium. The changes on productivity of baccatin III were estimated every 30 minute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using the selected high yielding cell culture system of Taxus cuspidata. In most cases, the peaks of baccatin III productivity occured at 90~120 min after addition of elicitors. Among the compound elicitors, safflower seed oil showed the highest productivity of baccatin III. Also arachidonic acid and linolenic acid increased the baccatin III production.

  • PDF

바이오에멀젼 연료의 연소 특성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Bio Emulsion Fuel)

  • 김문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421-143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매스로서 코코넛 폐기물을 $600^{\circ}C$에서 열분해하여 생성된 수상오일(water soluble oil)을 얻었다. 선박유로 사용되는 MDO(Marine Diesel Oil)와 바이오매스로서 코코넛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생성된 수상오일을 MDO에 15~20% 까지 혼합 후 유화시켜 제조된 바이오에멀젼 연료의 연소 특성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엔진 배출가스 및 온도, 출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엔진 다이나모메터를 사용하였다. 바이오에멀젼 연료는 수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연소실내의 기화잠열을 빼앗아가 배출가스의 온도를 낮춰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오에멀젼 연료에 함유된 수분이 연소실내에서 미세폭발을 일으켜 연료를 잘게 쪼개어 주어 매연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오에멀젼 연료의 사용으로 연소실내의 온도 감소는 질소산화물 배출을 저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오오일 함유량이 증가 하면 수분함량도 증가하여 전체 발열량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출력이 바이오에멀젼 연료 사용량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선박용 연료로 사용되는 중질유는 매연과 질소산화물을 많이 배출한다. 선박용 연료로 바이오에멀젼 연료를 사용하면 매연과 질소산화물 배출을 줄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지방구로부터 분리한 Lipase의 활성에 미치는 pH의 영향 (Effects of pH on the Activity of Lipase Isolated from Milk Fat Globules)

  • 김거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1-106
    • /
    • 2000
  • 유지방구로부터 분리 정제한 lipase의 활성과 안정성에 미치는 pH의 영향을 야자유와 균질유를 기질로 하여 조사하였다. 효소원으로 buttermilk를 사용하였을 경우는 반응온도 $37^{\circ}C$에서 야자유, 균질유 모두 pH 9.5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전형적인 종형의 pH의 존곡선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반응온도 $0^{\circ}C$에서는 pH 10.0까지 활성이 증가하였다. 정제 lipase를 사용한 경우는 반응응도 $37^{\circ}C$에서 균질유를 기질로 사용하였을 때 종 모양의 곡선을 나타내었으며, 최대 활성은 pH 9.0에서 나타났다. 반응온도 $0^{\circ}C$에서는 pH 10.0까지 활성이 계속 증가하였다. BSA를 첨가한 야자유를 기질로 사용한 경우는 반응온도 $37^{\circ}C$, $0^{\circ}C$ 모두 최대 활성이 pH 9.5에 나타났으며, pH 10.0에서는 활성이 현저하게 저하하였다. 정제 lipase의 안정성에 미치는 pH의 증가에 따라 현저하게 저하하였다. pH 10.0에서 $37^{\circ}C$로 20분간 효소를 유지하였을 경우 lipase의 활성은 pH 8.5 때의 활성에 비하여 13%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4^{\circ}C$에서 60분간 효소를 유지하였을 경우는 lipase 활성이 pH 7.5∼10.0의 범위에서 안정하였다.

  • PDF

코코넛 오일로부터 유래된 당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합성 및 계면 특성 연구 (Synthesis of Saccharide Nonionic Biosurfactants from Coconut Oil and Characterization of Their Interfacial Properties)

  • 조선희;이예진;박기호;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30권4호
    • /
    • pp.435-44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코코넛 오일을 원료로 사용하여 2종의 비이온 당계 생체계면활성제 GP-6 및 GP-7을 합성하였으며, FT-IR, $^1H-NMR$$^{13}C-NMR$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구조를 규명하였다. 합성한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임계 마이셀 농도, 정적 및 동적 표면장력, 계면장력, 유화 작용, 습윤성 및 거품 안정성 등과 같은 계면 물성을 측정한 결과, GP-6 및 GP-7 모두 우수한 계면 특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Terg-o-tometer를 사용하여 평가한 세척력 측정 결과에 의하면 GP-6 및 GP-7 모두 세제 제품에서 사용되는 기존 계면활성제들과 비교하여 양호한 세척력을 나타내었다. 생분해성, 급성 경구 독성, 급성 피부 자극 및 급성 안자극 검사 결과, GP-6 및 GP-7 모두 저 독성, 저자극성 및 우수한 환경친화성을 가지고 있어서 세제 제품에 적용 가능함을 나타냈으며, 특히 GP-6가 GP-7보다 계면활성이 우수하고 저자극성이고 쉽게 생분해 될 수 있기 때문에 세제 제조에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어유 및 식물 종자유의 급이가 흰쥐가 간장, 뇌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sh Oil and Some Seed Oils on Fatty Acid Compositions of Liver and Brain Tissue in Rats)

  • 정승용;김성희;김한수;최운정;김희숙;정효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18-425
    • /
    • 1991
  • S-D계 흰쥐에 중성지방 혈증 유발을 위해 12% 야자종실유와, 시험유지로서 올리브유, 돈지(豚脂), 어유, 들깨유, 옥수수유, 고추종자유 및 달맞이꽃종자유를 각각 3%씩 급여하여 4주간 사육한 후 간장 및 뇌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 검토한 바, 간장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SFA의 함량이 많고 MUFA는 적었으며, 중성지질에서는 MUFA의 함량이 SFA보다 약간 많은 편이었고 콜레스테롤 에스테르는 SFA 함량은 적고 MUFA는 월등히 많았다. 각 획분 모두 PUFA의 함량은 적었으며 PUFA중 $C_{18:2}(n-6)$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n-3계 PUFA는 어유 및 들깨유 급여군에 비교적 많은 반면 n-6계 PUFA는 옥수수유, 고추종자유 및 달맞이꽃종자유 급여군에 많았다. 뇌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에서 SFA의 함량은 적은 반면 PUFA의 함량이 현저히 많았으며, n-3계 PUFA로서는 $C_{20:5}와\;C_{22:6}$이 n-6계 PUFA로서는 $C_{18:2}$가 주요 지방산을 이루고 있었다.

  • PDF

비타민 A 팔미틴산 건조 유제의 제조 및 평가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Vitamine A palmitate Dry Emulsion)

  • 이종표;한건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0권4호
    • /
    • pp.259-266
    • /
    • 2000
  • Vitamin A palmitate, an oily drug which has low chemical stability and is poorly absorbed in the intestine, was formulated into a novel powdered dosage form. This is designated as a redispersible dry emulsion by freeze-drying technique. Before preparing a dry emulsion, vitamin A palmitate oil in solid in water (O/S/W) emulsion with soybean oil and coconut oil using Aerosil 200 as an emulsion stabilizer and polyoxyethylene-polyoxypropylene-blockcopolymer (Pluronic F68) as a surfactant was prepared. The resultants of the stability tests indicated that vitamin A palmitate O/S/W emulsion was improved on increasing the oil content of the formulation. The resultant dry emulsion particles have a good stabilities and free flow properties and readily released the oily droplets to form stable emulsions on rehydration. The drug releasing property from the resultant dry emulsion particles was dependent on factors such as amount of oily carrier(soybean oil) and surfactant(Pluronic F68) formulated. Above 80% of vitamin A palmitate content was released from the dry emulsion for 1 hour. It was deduced that vitamin A palmitate dry emulsion was definitely suitable for oral administration, since small droplets of vitamine A palmitate from the dry emulsion may alter the drug absorption profile resulting in bioavailability enhancement.

  • PDF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라이드계 가소제 합성 및 PVC 가소성능에 관한 연구 (Polyvinylchloride Plasticized with Acetylated Monoglycerides Derived from Plant Oil)

  • 이상준;육정숙;김아련;정지선;신지훈;김영운
    • 공업화학
    • /
    • 제28권1호
    • /
    • pp.42-49
    • /
    • 2017
  • 프탈레이트계 PVC 가소제를 대체하기 위해 식물유 기반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라이드(AMG)계 가소제를 합성하여 PVC에 대한 가소성능을 평가하였다. 코코넛 오일과 글리세롤로부터 전이 에스테르화 반응과 아세틸화 반응을 거쳐 AMG-CoCo를 합성하였고 글리세롤 모노올리에이트(GMO)로부터 아세틸화 반응을 통해 AMG-GMO를 그리고 추가적으로 에폭시화 반응을 거쳐 AMG-GMO-Epoxy 합성하고 그 구조들을 확인하였다. AMG계 가소제의 열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AMG-CoCo < AMG-GMO < AMG-GMO-Epoxy 순으로 열분해 온도가 높았으며 모두 상용 가소제인 DOP의 열분해 온도보다 높았다. AMG계 가소제를 함유한 PVC의 경우, 인장 신율은 770~810%, 인장 강도는 약 19~22 MPa로 DOP로 가소화된 PVC보다 우수하였다. DMA 분석 결과, AMG-GMO-Epoxy와 PVC는 매우 우수한 섞임성을 보여주었고 AMG-GMO-Epoxy를 50 phr 함유한 PVC의 $T_g$$24^{\circ}C$까지 감소하였다. 물에 대한 가소제의 용출 실험 결과, AMG-GMO와 AMG-GMO-Epoxy를 50 phr 포함한 PVC 경우 무게 감소가 약 2%와 1%로 내용출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AMG-GMO-Epoxy가 DOP를 대체할 PVC 가소제로 경쟁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팜유 혼합유채유의 산화안정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Mixed Rapeseed oil with Palm oil)

  • 현영희;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17-322
    • /
    • 1993
  • Erotic acid함량이 높은 유채유(HEAR oil)와 erotic acid함량이 낮은 유채유(LEAR oil)에 대하여 팜유를 각각 30%, 50%, 70%의 비율로 단순혼합한 유채유와 ester 교환 혼합유채유를 제조하였다. 이들 혼합유채유의 혼합비율, 혼합방법을 달리한 때의 산화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항온저장시($60\pm$2^{\circ}C$$)의 산값, 과산화물값, 유도 기간과 상대적항산화효과 및 요오드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혼합유채유의 튀김적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거품형 성성을 측정하였다. 1) 혼합유채유는 팜유의 혼합비율이 증가됨에 따라 산값과 과산화물값이 매우 안정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HEAR oil과 LEAR oil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다. 또한, ester 교환 혼합유채유는 단순 혼합유채유보다 산값과 과산화물값의 초기값이 다소 높았으나 산패의 경향은 유사하였다. 2) 단순 혼합유채유는 유도기간이 HEAR oil의 유도 기간보다 약 2.4~4배 연장되었다. Ester 교찬 혼합유채유에서는 약 2~3.2배 연장되어 단순 혼합유채유의 유도기간이 다소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3) 혼합유채유의 요오드값은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안정적으로 되었으나 혼합방법에 따른 요오드값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였다. 4) 팜유를 동량혼합한 경우가 가장 거품형성양이 많았으며, 혼합비율을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거품형성양은 감소되었다. 한편 ester교환 혼합유채유는 단순 혼합유채유보다 거품형성양이 약 28~40% 감소되었다. 이 상의 결과로 팜유 혼합유채 유는 HEAR oil과 LEAR oil보다 산화안정성이 매우 뛰어나며, ester교환으로 혼합할 경우 거품형성량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튀김유로의 사용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ffect of Different Vegetable Oils on Growth and Fatty Acid Profile of Rohu (Labeo rohita, Hamilton); Evaluation of a Return Fish Oil Diet to Restore Human Cardio-protective Fatty Acids

  • Karanth, Santhosh;Sharma, Prakash;Pal, Asim K.;Venkateshwarlu, 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4호
    • /
    • pp.565-575
    • /
    • 2009
  • Two experiments in the sequential order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dietary lipid sources on the growth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rohu (Labeo rohita) and to examine the viability of a return fish oil finisher diet in restoring the human cardio-protective fatty acid profile. In the first experiment, fish were fed either with coconut oil (D1), olive oil (D2), sunflower oil (D3), linseed oil (D4) and fish oil (D5) as the main lipid source in the isonitrogenous diet for 90 day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wth were observed. Among the experimental diets moisture content of fish varied significantly (p<0.05) between the groups. Dietary lipid source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fatty acid profile of the muscle and liver as tissue fatty acid profile reflected the dietary fatty acid composition. Increased amounts of eicosapentaenoic acid and docosahexaenoic acid were observed in tissue of fish fed D4 and arachidonic acid was observed in the tissue of fish fed D3. We have also detected the metabolites of n-3 and n-6 pathway in D4 and D3 groups respectively, which prompted us to conclude that rohu, can desaturate and elongate $C_{18}$ essential fatty acids to $C_{20}$ and $C_{22}$ HUFA. A second feeding trial was conducted using the animals from the five different treatment groups for the duration of 30 days with fish oil rich diet (D5). Feeding with fish-oil rich washout diet resulted in the near equalization of all the other treatment groups tissue fatty acid profiles to that of fish oil (D5) fed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finishing fish oil diet can be effectively used to restore the human cardioprotective fatty acid profile in rohu fed with vegetable oils as lipid source.

A Modified Methylation Method to Determine Fatty Acid Content by Gas Chromatography

  • Wirasnita, Riry;Hadibarata, Tony;Novelina, Yus Maria;Yusoff, Abdull Rahim Mohd;Yusop, Zulkifl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11호
    • /
    • pp.3239-3242
    • /
    • 2013
  • An improved rapi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 using modified methylation procedure was compared with the AOAC reference procedure based on the methylation of fatty acid with the addition of BF3 catalyst before and while heating. The new method is useful for research and routine quality control and has a number of advantages over the reference procedure which are more rapid, simple and also reliable. Applicability of the modified methylation method was confirmed with three vegetable oil samples (palm oil, coconut oil and olive oil). Based on the validation method results, we obtained that a quite linear calibration curve of fatty acids was performed with $R^2$ in range of 0.9972-0.9994. The sensitivity of gas chromatography instrument was able to analyze the fatty acids up to a few ppm, the precision and accuracy were good enough with the %RSD between 1.5%-19.5% and the recovery of linolenic acid was 99.1% in the range of 80.0%-1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