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stal wetland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35초

Multisensor Image Fusion for Enhanced Coastal Wetland Mapping

  • Shanmugam, P.;Ahn, Yu-Hwan;Sanjeevi, S.;Yoo, Hong-Ryo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902-904
    • /
    • 2003
  •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utility of multisensor remotely sensed data for improved coastal wetland mapping. Five data fusion models, three algebraic models (Multiplicative (MT), Brovey (BT) and Wavelet transform (WT)) and two spectral domain models (Principals component transform (PCT) and Intensity-Hue-Saturation (IHS)) were implemented and tested over the multisensor data. The fused images were then compared based on visual and statistical approaches. The results show that the wavelet transform provides greater flexibility for combining optical data sets and has good potential for preserving the spatial and spectral content of the original images . However, this model yields poor information when combining optical and microwave data. Brovey transform is more reliable for fusing optical and microwave image data and yields improved information about different wetland features of the coastal zone.

  • PDF

갯벌복원의 함의와 복원추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Multiple Implications of the Restoration of Coastal Wetland Eco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a Strategic Restoration Framework)

  • 남정호;손규희;김종성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7권3호
    • /
    • pp.211-223
    • /
    • 2015
  • Korean society has been recently promoting the restoration of coastal wetlands. These efforts might become the basis of a policy framework that compensates for the limitations of a regulation-oriented policy such as the designation of Marine Protected Areas (MPAs). The shift in government policy could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socioeconomic infrastructure of coastal development through the accumulation of ecological capital. Although our scientific efforts and social demands in regard to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coastal wetlands have increased during the past years, the bases for restoration in Korea requires that scientific, technological, financial, social and legal aspects be enhanced. The present study re-examined the concept and attitudes behind coastal wetland restoration in the light of changing circumstances in Korea. Herein, we first defined coastal wetland restoration as "An act of recovering the functions of the ecosystem of coastal wetlands to a state that resembles conditions prior to being damaged." Next, this study discussed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such restoration efforts based on the descriptive analyses of recent restoration practices from social, economic, and technological aspects. Finally, we suggest future policy directions regarding coastal wetland restoration on the basis of a PFST (Policy, Financial, Social, and Technological) analysis; 1) re-arranging legal mechanisms, 2) setting multi-dimensional restoration goals, 3) establishing a multi-discipline- and convergence based R&D system, 4) linking spatial management and local development to the restoration, 5) building restoration governance at the local level, 6) implementing an ecosystem service payment system, and 7) applying test-bed projects in accordance with proper directions.

Sentinel-2 위성영상과 SRTM DEM을 활용한 연안습지 탐지: 서해안 곰소만을 사례로 (Detection of the Coastal Wetlands Using the Sentinel-2 Satellite Image and the SRTM DEM Acquired in Gomsoman Bay, West Coasts of South Korea)

  • 정윤재;김경섭;박인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2-63
    • /
    • 2021
  • 기존 연구에서는 연안습지를 탐지하기 위해 위성/항공 영상의 다중분광 밴드로부터 산출한 식생지수 또는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였으나, 단일 센서만을 활용할 경우 토지피복정보와 지형정보를 동시에 고려하는 것에 한계가 있어 높은 정확도의 연안습지 탐지 및 대규모 연안습지 관리 업무 수행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서해안 곰소만 지역을 촬영한 Sentinel-2 위성영상의 다중분광 밴드와 디지털 지형 모델인 SRTM(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사용하여 서해안 곰소만의 대규모 연안습지를 다음의 과정을 통해 탐지하였다. 우선 Sentinel-2 위성영상의 Green 및 근적외선 밴드를 활용하여 정규수분지수 영상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정규수분지수 영상에서 픽셀의 밝기값 0.2를 임계치로 설정하여 물과 육지를 구분하는 이진화 영상을 제작하였으며, SRTM DEM에서 픽셀의 밝기값 0을 임계치로 설정하여 해수면 아래와 해수면 위를 구분하는 이진화 영상을 제작하였다. 최종적으로는 두 장의 이진화 영상에 중첩 분석을 적용하여 이진화 영상 기반 연안습지 지도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술을 활용하여 제작한 이진화 영상 기반 연안습지 지도의 정확도는 94%로서 매우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연안습지가 아닌 내륙습지, 산지습지 등은 탐지되지 않아서 연안습지 관리 업무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황해 연안습지 생태계 보전을 위한 초국경협력 방향 - 갯벌의 세계자연유산 등재를 중심으로 - (Pan-Yellow Sea Cooperation for the Conservation of Ecosystems in Coastal Wetlands of Yellow Sea - Focusing on the World Natural Heritage of coastal wetland-)

  • 최현아;한동욱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13-219
    • /
    • 2023
  • 기후변화 위기상황에서 습지 생태계의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기능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탄소흡수원으로서 갯벌의 생태계 서비스가 중요시되고 있다. 현재 황해지역 갯벌 중 남한과 중국의 경우 UNESCO 세계자연유산 2단계 등재를 위한 준비를 하고 있으며, 향후 황해지역 갯벌을 통한 남북한 및 중국의 초국경협력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동성 조류 서식지, 휴식지, 중간기착지로서 황해지역 갯벌의 중요성과 보전, 관리, 남북한 및 중국의 협력체계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UNESCO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남한의 서남해안 갯벌과 중국의 옌청자연보호구, 잠정목록에 등재된 북한의 문덕 습지보호구를 포함한 황해지역 갯벌을 중심으로 남북한 및 중국의 생태계 보전 협력 여건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동성 조류 서식지, 휴식지, 중간기착지로서 황해지역 갯벌의 중요성과 황해 연안습지 주요 특징, 북한과의 협력여건 등을 분석하여 황해 연안습지의 초국경보전지역 등재를 위한 생태계 보전 협력 방향을 제시하였다

지리정보체계와 원격탐사에 의한 연안습지목록 개발에 관하여 (Development of coastal wetland inventory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Remote Sensing)

  • 이기철;임병선;우창호;양효식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49-159
    • /
    • 1996
  • 연안지역의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현명한 계획을 하기 위해서는 개별 습지의 위치, 크기, 분포와 규모에 관한 정보와 인근 지역의 토지이용 정보가 필요하다. 지리정보체계와 원격탐사 기법에 의해 이러한 정보를 나타내는 습지목록을 제작하는 것은 전형적인 현장 조사와 지도제작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자료보다 효율적이다. 더욱이 이렇게 만들어진 목록은 습지의 관리에 필요한 여러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습지토양 및 연안퇴적물의 유기물질 및 영양물질 보유 특성 (Retention properties of organic matters and nutrients in wetland soils and coastal sediments)

  • 박소영;이용민;윤한삼;성기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65-275
    • /
    • 2012
  • 최근에 기후변화와 수질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습지토양의 탄소와 영양물질 보유 특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퇴적물과 인공습지, 자연습지(내륙, 하구, 갯벌)와 같이 연안퇴적물 및 다양한 유형의 습지토양에서의 유기물과 영양물질의 보유특성을 알아 보고자하였다. 또한 유기물, 영양물질, 입도에 따른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이들 항목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유기물이나 영양물질의 보유정도가 습지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내륙습지가 하구나 연안습지보다 질소의 보유 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같은 육상생태계에서도 더 오랜 기간 동안 오염물질이 유입되고 자체적으로 유기물을 생산하여 축적하고 있는 자연습지에서 유기물과 질소의 농도가 인공습지보다 더 높은 것을 조사되었다. 연안지역의 경우 해수의 흐름이 원활한 하구나 갯벌 보다 해수의 유통이 느린 만 지역에서 유기물과 질소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화학적산소요구량은 총유기탄소 및 총질소농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어 화학적산소요구량 자료를 이용하여 해당 습지의 총유기탄소나 총질소 농도를 효과적으로 추정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Determination of Initial Denitrification in Intact Cores under Various Freshwater Wetland Types

  • Seo, Dong-Cheol;Delaune, R.D.;Lane, Robert R.;Day, John W.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0-24
    • /
    • 2012
  • Denitrification rate was determined for various freshwater wetland types in the Mississippi River Coastal delta plain. Site 1 and 4 were collected from forested-tupelo dominated wetland, and site 2 and 3 were from floating emergent marsh. The maximum $N_2O$ emission was $7.47mg\;N\;m^{-2}$ for site 1 at day 6 after the addition of nitrate, $6.96mg\;N\;m^{-2}$ for site 2 at day 4, $6.63mg\;N\;m^{-2}$ for site 3 at day 3, and $9.64mg\;N\;m^{-2}$ for site 4 at day 4. The denitrification rate was determined using the acetylene inhibition method $1.24mg\;N\;m^{-2}d^{-1}$ for site 1, $1.93mg\;N\;m^{-2}d^{-1}$ for site 2, $2.24mg\;N\;m^{-2}d^{-1}$ for site 3, and $2.78mg\;N\;m^{-2}d^{-1}$ for site 4. The maximum denitrification rate was in the order of site 4 > site 3 > site 2 > site 1.

한국의 습지 훼손 분쟁 사례 연구에 기반한 연안 이해상충 해결 (Toward Coastal Conflicts Resolution based on Several Case Studies of Wetland Conversion Disputes in Korea)

  • 이기철;최용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9-48
    • /
    • 2001
  • 연안습지의 손실은 국내 연안을 둘러싼 이해상충의 주요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해상충과 관련된 국내 연안관리 및 습지손실과 관련된 상황, 이해상충의 배경 및 특성, 한국의 대규모 습지 훼손사례로 볼 수 있는 시화호, 순천만, 금강하구, 강원도 석호지역에 대한 이해상충의 실태와 조정사례를 근거로 이해상충해결을 위한 조정방법과 절차를 정리하였다.

  • PDF

A Review of Wetland Policies and Related Guidelines of Leading Nations and Korea with Emphasis on Creation of Artificial Wetlands

  • Lee, Yong-Hee;Lee, Mi-Ji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93-114
    • /
    • 2002
  • Legal regimes of major countries actively involved in wetland programs including USA, Japan, Germany, Netherlands, and Denmark, show that these leading nations have developed their own legal regimes and policies for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wetlands since early 1990s. The main feature of their position is to preserve, create and restore wetlands, including tidal flats. However, this approach, so called 'mitigation' policy, is thus far, not a fully established policy but an evolving one. For Korea, there are only a few laws and policies which hint at the importance of creating coastal wetlands as a conservation measure, however, most of those systems only exist as vague provisions which lack any tangible and compulsory implementing procedures and technical guidelines. It seems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legal measures for conserving coastal wetlands in Korea including specifying economic assessment methods and funding sources for the creation, restoration and rehabilitation of tidal flats to firmly establish a national wetland mitigation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