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stal waters

검색결과 1,513건 처리시간 0.026초

흐름의 영향을 고려한 정상상태 스펙트럼 파랑모델의 적용 및 분석 (Application and Analysis of the Steady State Spectral Wave Model Take into Account the Effect of Current)

  • 이학승;이중우;양상용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7-104
    • /
    • 2004
  • 복잡한 수심을 가진 연안해역에서 조석, 바람과 파랑에 의해 발생된 흐름의 영향까지를 고려한 파랑모델의 도입은 대부분의 해안공학 설계나 방재 문제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근해역에서 수심변화에 의한 굴절 및 천수효과, 흐름에 의해 유발되는 굴절효과, 파형경사에 따를 쇄파, 회절, 바람에 의한 파의 성장, 파랑 상호간의 간섭, 파랑과 흐름의 상호 간섭 및 에너지 재분포 등을 다룰 수 있다는 점에서 정상상태 스펙트럼 모델의 현장 전용은 지금까지 여러 모델이 다루지 못한 부분을 해소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신항만 건설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덕인접의 넓은 수역에 대해 파랑의 변환과정을 보다 합리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스펙트럼 모델을 적용하고 기존의 모델 결과와 비교 분석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가 가까운 장래에 항만설계 및 방재시스템 분야에서 보다 안전하고 널리 스펙트럼 모델을 적용하게 하는 계기가 되도록 의도하였다.

한반도 연안 오징어의 Nybelinia surmenicola 충미충 역학조사 및 형태학적 연구 (A Survey and Morphological Study of Plerocercoidal Nybelinia surmenicola (Cestoda: Tentaculariidae) in the Common Squid from the Korean Coastal Waters)

  • 김현철;박진호;유도현;채준석;류재규;심철호;최경성;박배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39-242
    • /
    • 2015
  • 오징어에 기생하는 Nybelinia surmenicola의 충미충 감염상을 조사하고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을 적용하여 종을 동정 하였다. 대전 어물전에서 시판하는 총 200 마리의 오징어를 검사하여 54 마리 (27%)에서 N. surmenicola의 충미충을 검출하였다. 양성 오징어의 충미충 출현빈도는 2.28이였다. 충체의 길이와 폭은 $6.1-11.1(8.05){\times}2.0-2.2(2.1)mm$이였고 흡구는 $2.4-2.8{\times}0.62-0.69(2.65{\times}0.64)mm$로 계측되었다. 문 (tentacule)은 돌출되어 있으며 사선으로 16개의 갈고리가 무장되어 있었다. 문초(tentacle sheaths)는 bulb 가까이에서 1회 꼬여 있었다. 흡구 가장자리에 사상의 microtriches가 존재하였다. 4개의 거대한 흡구는 가장자리에서 사상모양의 microtriches에 의해 분리되었다. 본 논문은 한반도 연안 오징어에서 N. surmenicola 충미충 검출의 최초 보고이다.

한국 남해 중부 해역의 장기수질환경변화와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Long-term Water Quality Variations and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in the Mid-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 이문옥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9-3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지난 17년간의 국립수산과학원의 해양환경관측망 자료에 근거하여, 광양만에서 고흥연안에 이르는 한국 남해 중부의 6개 수역의 수질환경과 적조발생상황을 분석하였다. 이들 해역의 수온은 대체로 3~5년을 주기로 변동하였으며, 표층 수온(특히 8월)은 거의 연변화가 없었으나 저층 수온은 점차 하강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반면, 염분은 표 저층 모두 점차 상승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적조는 전 해역에서 1990년대 중반을 정점으로 하여, 이후 발생회수와 출현종수는 점차 감소 추세를 나타내었다. 이들 해역에서 고르게 출현을 보인 탁월종은 C. polykrikoides이었고, 특히 고흥연안에서는 1995년 이후 거의 매년 출현하였다. C. polykrikoides 적조는 여자만을 제외하고는 해역의 평균 수온이 대략 $26^{\circ}C$ 전후일 때 발생하였다. 반면, 적조발생시의 염분은 가막만, 남해도 남안, 고흥 연안에서는 31.0~31.5의 범위로 유사하였으나, 여수연안은 28.68로 현저히 낮았다. 한편, C. polykrikoides 적조발생시 DO를 비롯한 DIN 및 DIP, TN 및 TP 농도를 조사한 결과, 적조는 이들 수질항목의 변동과 거의 관계없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 polykrikoides 적조 발생에 있어 가장 지배적인 요인은 수온으로 판단되었다.

한국 연안의 적조형성과 기상인자간의 관계에 대한 통계적 해석 (Statistical Analys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Red Tide Formation and Meteorological Factors in the Korean Coastal Waters)

  • 윤홍주;서영상;정종철;남광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926-932
    • /
    • 2004
  • 1981년부터 2002년까지의 적조 발생에 대한 변화를 보면, 1995년 이후로 매년 적조가 발생했으며 특히 강우량이 많은 7∼8월에 집중하였다. 다중회기분석에서 적조발생건수와 기상인자 (수온, 강우량, 일조시수 그리고 풍속) 간의 상관성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R = 0.856). 단, 수온은 15∼$30^{\circ}c$의 범위 내에서 적조 성장에 제한 인자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온이 $15^{\circ}c$되는 날로부터 적조가 발생하는 날까지 걸리는 일수는 78∼104일 정도이며, 해역에 따라 다소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남해중부 및 남해동부해역이 남해서부 및 동해남부해역에 비해서 적조 발생 빈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주로 적조경보의 범주에 들어간다. 이때 대체로 두 해역은 24.$5^{\circ}c$$25^{\circ}c$의 높은 수온과 1000 Cells/ml 이상의 높은 밀도를 보였다.

다중빔음향측심 자료분석에 의한 한국 연안 사퇴의 해역별 지형 특성 (Regional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Sand Ridge in Korean Coastal Waters on the Analysis of Multibeam Echo Sounder Data)

  • 백승균;서영교;정자헌;이영윤;이은일;변도성;이화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7권1호
    • /
    • pp.33-47
    • /
    • 2022
  • 다중빔측심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 연안 해역에 발달한 해저 사퇴의 분포를 확인하고, 해역별 지형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립해양조사원의 황해와 대한해협 수심자료를 이용하여 DEM 자료를 작성한 후 TPI 기법을 적용하여 사퇴의 경계를 정밀하게 추출하였다. 그 결과 우리 해역에 분포하는 총 200개의 사퇴를 확인하였으며, 그들의 규모(폭, 길이, 둘레, 면적, 높이)와 형태(폭/길이 비율, 높이/폭 비율, 선형·분기형, 노출·비노출형)에 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여 사퇴의 지역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연안 항해안전은 물론 해양지명 선정 지원, 해사골재자원 파악, 수산자원 관리 등에 활용될 수 있다.

통영 연안의 잠재독성 Pseudo-nitzschia 출현종 (Potentially toxic Pseudo-nitzschia species in Tongyeong coastal waters, Korea)

  • 박종규;김응권;임월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4권3호
    • /
    • pp.163-170
    • /
    • 2009
  • Pseudo-nitzschia 속의 일부 종은 신경독 domoic acid(DA)를 생산하여 기억상실성 패독을 일으킨다. 이들의 잠재적인 독성 피해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아직 출현종의 조성과 그 출현 시기가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통영 연안해역에 출현하는 Pseudo-nitzschia 속의 종조성과 출현 시기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8년 5월부터 11월까지 격주 간격으로 시료를 채집하여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종은 P. americana, P. brasiliana, P. caciantha, P. calliantha, P. cuspidata, P. delicatissima, P. micropora, P. multiseries, P. multistriata, P. pseudodelicatissima, P. pungens, P. subfraudulenta, P. subpacifica로 모두 13종이었다. 월별 출현종은 5월에 4종으로 가장 적었고, 그 이후 조금씩 증가하여 9월에 12종으로 최고에 이르렀으며, 9월 이후로 다시 감소하여 11월에는 5종만 출현하였다. 출현종 중 6종, P. americana, P. brasiliana, P. caciantha, P. calliantha, P. micropora, P. pseudodelicatissima는 5종만 출현하였다. 출현종 중 6종, P. americana, P. brasiliana, P. caciantha, P. calliantha, P. micropora, P. pseudodelicatissima는 국내 연안에서 처음 보고하는 종이며, P. calliantha, P. cuspidata, P. delicatissima, P. multiseries, P. multistriata, P. pungens 6종은 문헌상 DA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잠재 독성종이다. 통영 연안에서 이들의 독성 여부는 확인 하지 못하였다.

한국 제주 인근해역에 서식하는 전갱이, Trachurus japonicus Temminck et Schlegel의 재생산 연구: 성숙과 산란 (Reproduction of the jack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Temminck et Schlegel in the coastal waters around Jeju Island, Korea: Maturation and spawning)

  • 차형기;이재봉;강수경;장대수;최정화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5권4호
    • /
    • pp.243-250
    • /
    • 2009
  •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jack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samples captured in the coastal waters around Jeju Island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08. Gonadosomatic index began to increase in March, and reached a maximum between April to June. After spawning it began to decrease from August. Reproductive season was estimated to March-July, with peak in April. Fecundity wa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female, with the clutch size varying from 33,493 eggs in the smallest female(FL=27.0cm) to 627,061 eggs in the largest(FL=40.6cm). Size at 50% sexual maturity(FL50), determined from mature females, was 26.6cm FL. Annual reproductive cycles of this species could be divided into six successive stages; immature stage(September-December), nucleolus stage(January-February), yolk vesicle stage(February-March), vitellogenic stage(March-April), ripe stage(April-July) and spent stage(July-September).

Season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Coastal Waters off Tongyeong in Korea

  • Lee, Jin-Hwan;Chae, Jin-Ho;Kim, Won-Rok;Jung, Seung-Won;Kim, Jong-Ma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245-253
    • /
    • 2001
  •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s and the their season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a study was conducted at 6 selected stations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99 to October 2000 in the marine ranching ground off Tongyeong. One hundred ninety species of phytoplankton were identified, including 146 diatoms, 38 dinoflagellates, 4 silicoflagellates and 2 euglenophytes.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varied extensively by months and stations, ranging from $3.0{\times}10^4\;cells/l\;to\;1.0{\times}10^6\;cells/l.$. The dominant species varied from the vertical distribution as well as seasonal changes. In April and July 1999, Skeletonema costatum and Ceratium fusus were predominant in both the surface and the bottom water columns. Leptocylindrus danicus was the dominant species in April and June 2000, and Thalassiosira spp. were also predominant in bottom waters in June 2000. Pseudonitzschia pungens and Chaetoceros spp. were the dominant species at both surface and near bottom waters in August and October 2000, respectively. Zooplankton abundance was comparatively high in April and July in 1999, and April, June, and October in 2000, but extremely low in November 1999. The density of dominant zooplankton was higher in 2000 than in 1999. Copepods were the most predominant group except for July 1999 when the bivalve larvae showed extremely high abundance. Acartia omorii and Oithona similis were the dominant or subdominant copepod species mainly in April 2000, and June/July, while O. davisae and O. plumifera had peaks in August and October 2000. Corycaeus affinis and Paracalanus sp. also showed higher peaks in April and June (or July), even though they occurred in all sampling time. Centropages abdominalis occurred abundantly only in April 1999. Oikopleura dioica, a gelatinous zooplankton, was another important zooplankton, showing high density in all samples except in July 1999.

  • PDF

한국 연근해 생태계의 잠재 재생산 지수 (Fish Reproduction Potential Indices in the Coastal and Offshore Ecosystems in Korea)

  • 이선길;이재봉;장창익;이동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4-30
    • /
    • 2007
  • We developed an ecosystem indicator (EI) for the coastal and offshore areas of Korean waters. One of the major scientific challenges of this undertaking was to translate broad policy statements for ecosystem-based fisheries management (EBFM) into practical terms. Fish reproduction potential (FRP) was defined as an EI to describe the reproductive probability of adult fisheries resources in Korean waters. The FRP was estimated as the ratio of adult fish composition to total catch, catches (in metric tons) by species and by ecosystem, and fishery effort (in horse power per metric ton). The FRP indices of the East/japan Sea Ecosystem (EJSE), Yellow Sea Ecosystem (YSE), and East China Sea Ecosystem (ECSE) began to decrease after the mid-1980s, and the current indices have decreased further, at 0.63 (EJSE), 1.22 (YSE), and 0.68 (ECSE) index points compared to the indices of 1975, when similar catch amounts were recorded. Lower FRPs in the Korean marine ecosystems were the result of higher proportion of immature fisheries resources in the total catch. Because this kind of ecosystem-level indicator is thought to reflect scientific approaches to EBFM and to provide an important tool for assessing the current status of marine ecosystems with respect to both quantity and quality, more EIs should be developed for Korean waters.

1983년 춘계 제주해협의 해황과 해류 (Hydrography and Sub-tidal Current in the Cheju Strait in Spring, 1983)

  • 장경일;김구;이석우;심태보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03-215
    • /
    • 1995
  • 1983년 4월과 5월에 걸쳐 제주해협에서 부표와 해류계를 이용한 해류관측과 함께 2회에 걸쳐 수온-염분관측을 실시하였다. 관측자료로부터 고온, 고염인 흑조 의 한 지류가 제주도 서쪽을 돌아 제주해협으로 유입됨을 명확히 보였다. 제주도 서쪽을 우회하는 해류는 제주도 서쪽에서는 그 폭이 약 60 km이며 제주 해협내 에서는 20∼30 km 이내에 존재하여 제주도 서쪽에서는 5 cm/s 미만으로 유속이 작은 반면에 제주해협의 서쪽입구와 해협 내에서는 10 cm/s 이상의 큰 유속을 갖는다. 제주해협의 동쪽에는 역시 흑조로부터 기원된 대마난류의 영향이 인지 되었다. 난류수와 연안수 사이에 형성되는 수온, 염분전선의 변화는 제주 해협의 서쪽에서 황해연안수가 남하함을 제시하였다. 난류수역에서는 5월에 수온이 상승 한 반면에 다른 해역에서는 수온이 감소하였다. 5월에 제주해협 중앙부에서는 해 협의 서쪽으로부터 저온, 저염의 해수가 유입되어 4월에 비해 수온과 염분이 급격 히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