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culture system

검색결과 472건 처리시간 0.033초

생쥐 난자성숙에 미치는 $Ca^{++}$ Ionophore와 $Ca^{++}$ Channel Blocker의 영향 (Effect of $Ca^{++}$ Ionophore and $Ca^{++}$-Channel Blocker on the Mouse Oocyte Maturation)

  • 배인하;김현숙;김문규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9권2호
    • /
    • pp.105-116
    • /
    • 1992
  • The present study was examined to clarify the role of calcium ion as a factor for the maturation of mouse oocytes. Follicles and cumulus-enclosed oocytes were isolated with two sharp needles under a stereomicroscope from female mouse (ICR) ovaries which were treated PMSG 5 IU 45-46 hours previously. Isolated follicles and cumulus-enclosed oocytes were cultured for 14-16 hours in an organ culture system at $37^{\circ}C$, 5% $CO_2$ in air and 100% humudified in incubator. MHBS was the basic medium used from which A23187, verapamil, $NiCl_{2.}$ $6H_2O$ and $LaCl_{3.}$ $7H_2O$ were added depending on the experimental groups. In follicle- or cumulus-enclosed oocytes wre cultured in these differently treated media.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1. The calcium ionophore A23187 directly or indirectly seems to stimulate GVBD of follicle-enclosed mouse oocytes. Increasing concentration of ionophore A23187 1ed to an increase in oocytes degeneration from the cumulus-enclosed mouse oocytes. 2. The organic $Ca^{++}$ channel blocker, verapamil does not induce GVBD of follicle-enclosed mouse oocytes. Specially, higher dose of 1 mM verapamil induced GVBD of follicle-enclosed mouse oocytes. However, cytoplasm of GVBD oocytes in 1 mM verapamil treated groups appeared shrunk. In the cumulus-enclosed oocytes, polar body formation was reduced in verapamil treated groups and degeneration increased. Verapamil inhibit oocyte maturation (polar body formation). 3. The $Ca^{++}$ inhibitor, Nickel ($NiCl_{2.}$ $6H_2O$) inhibits maturation of the follicle-enclosed oocytes. In the cumulus-enclosed oocytes the progression to MII (PB formation) was reduced and degeneration of mouse oocyte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Ni^{++}$ increase. The results indicates that nickel act as an inhibitor of calcium. 4. The $Ca^{++}$ inhibitors, Lanthanum ($LaCl_{3.}$ $7H_2O$) has shown different effect from that of nickel. In follicle-enclosed oocytes, 0.01mM lanthanum induced maturation of mouse oocytes. Polar body formation was reduced in the cumulus-enclosed oocytes all lanthanum treated group.

  • PDF

Feeder Free 상태에서 배양된 인간 배아 줄기세포를 이용한 중간엽 줄기세포 분화 및 단백체학을 이용한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와의 비교 (Derivation of MSC Like-Cell Population from Feeder Free Cultured hESC and Their Proteomic Analysis for Comparison Study with BM-MSC)

  • 박순정;전영주;김주미;선정민;채정일;정형민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4권3호
    • /
    • pp.143-151
    • /
    • 2010
  • Pluripotency of human embryonic stem cell (hESC) is one of the most valuable ability of hESCs for applying cell therapy field, but also showing side effect, for example teratoma formation. When transplant multipotent stem cell, such as mesnchymal stem cell (MSC) which retains similar differentiation ability, they do not form teratoma in vivo, but there exist limitation of cellular source supply. Accordingly, differentiation of hESC into MSC will be promising cellular source with strong points of both hESC and MSC line. In this study, we described the derivation of MSC like cell population from feeder free cultured hESC (hESC-MSC) using direct differentiation system. Cells population, hESC-MSC and bone marrow derived MSC (BM-MSC) retained similar characteristics in vitro, such as morphology, MSC specific marker expression and differentiation capacity. At the point of differentiation of both cell populations, differentiation rate was slower in hESC-MSC than BM-MSC. As these reason, to verify differentially expressed molecular condition of both cell population which bring out different differentiation rate, we compare the molecular condition of hESC-MSC and BM-MSC using 2-D proteomic analysis tool. In the proteomic analysis, we identified 49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s in hESC-MSC and BM-MSC, and they involved in different biological process such as positive regulation of molecular function, biological process, cellular metabolic process, nitrogen compound metabolic process, macromolecule metabolic process, metabolic process, molecular function, and positive regulation of molecular function and regulation of ubiquitin protein ligase activity during mitotic cell cycle, cellular response to stress, and RNA localization. As the related func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s, we sought to these proteins were key regulators which contribute to their differentiation rate, developmental process and cell prolifera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expressions of these proteins between the hESC-MSC and BM-MSC, could give to us further evidence for hESC differentiation into the mesenchymal stem cell is associated with a differentiation factor. As the initial step to understand fundamental difference of hESC-MSC and BM-MSC, we sought to investigate different protein expression profile. And the grafting of hESC differentiation into MSC and their comparative proteomic analysis will be positively contribute to cell therapy without cellular source limitation, also with exact background of their molecular condition.

백두대간 주민소득지원사업 개선방안 연구: 백두대간 보호활동의 주민참여를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Baekdudaegan Mountain Range Support Project for Resident Income: Focused on Citizen Participation in Baekdudaegan Protection Activities)

  • 전미리;강은지;김용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1호
    • /
    • pp.81-95
    • /
    • 2018
  • 2005년 9월 백두대간 보호지역 지정으로 지역경제 위축, 공동체 활동축소 등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산림청에서는 백두대간 주민소득지원사업을 시행해왔다. 그러나 백두대간 주민소득지원사업은 백두대간 보호라는 근본적인 목적과 연계성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무분별한 사업신청 등 다양한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조사와 담당공무원 설문조사를 통해 백두대간 주민소득지원사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역주민을 백두대간 보호 및 관리의 주체로 육성하여 백두대간 주민지원사업에 대한 책임의식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주민을 백두대간의 일부로 여기고 소득과 더불어 문화 및 공동체를 지킬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주민과 행정이 협력할 수 있는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백두대간의 체계적인 보호와 관리를 통한 지역 활성화를 실현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는 향후 백두대간을 보호하면서 개발제한구역의 주민과 지역발전을 이루는 사업추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장균에서 비천연 아미노산의 위치특이적 삽입을 위한 Amber Suppressor tRNA와 Aminoacyl-tRNA Synthetase의 Amber Suppression 활성측정시스템 개발 (Establishment of an In Vivo Report System for the Evaluation of Amber Suppression Activity in Escherichia coli)

  • 김경태;박미영;박중찬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15-221
    • /
    • 2009
  • 대장균에서 비천연 아미노산을 단백질 생합성시 특정 위치에 삽입하는 방법의 하나로 amber suppressor tRNA와 여기에 비천연 아미노산을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변형된 aminoacyl-tRNA synthetase 쌍을 이용한다. 이러한 기술의 개발을 위해 필요한 여러 요소 중 하나는 이러한 시스템이 대장균에서 얼마나 잘 작동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in vivo 보고시스템을 설정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beta$-galactosidase 유전자의 N-말단에 amber 코돈을 삽입한 보고유전자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대장균(DH10B)의 chromosomal DNA에 삽입하여 DH10B(Tn:lacZam) 균주를 개발하였다. Genomic PCR과 Southern blot 분석을 통하여 lacZ amber 유전자가 대장균의 염색체에 삽입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DH10B(Tn:lacZam)은 amber suppression을 유도할 수 있는 벡터가 형질 전환될 경우만 $\beta$-galactosidase 활성을 나타냈다. DH10B(Tn:lacZam)에 효모균의 amber suppressor $tRNA^{Tyr}$와 Tyrosyl-tRNA synthetase 쌍을 동시에 발현하는 벡터를 형질전환하였을 때, amber suppression에 의해서 $\beta$-galactosidase 활성이 나타났다. 하지만 이 활성은 대장균의 amber suppressor $tRNA^{Gln}$를 발현하는 pSupE2를 형질전환하였을 때와 비교 하여 매우 낮은 $\beta$-galactosidase 활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DH10B(Tn:lacZam) 균주가 $\beta$-galactosidase 활성을 통하여 정성 및 정량적으로 in vivo amber suppression 활성을 비교 분석할 수 있는 특성을 가졌음을 나타낸다.

비특이 면역증강제 $Barodon-FX^{(R)}$ 첨가 TCM199에서 생쥐 및 소 초기배의 체외 배반포 발달에 관한 연구 (In-Vitro Development of Early Stage Mouse and Bovine Embryos to Blastocysts in TCM 199 Supplemented with nonspecific Immunostimulator $Barodon-FX^{(R)}$)

  • 정영채;나광빈;김창근;류재원;최수일;전경수;류범룡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1-138
    • /
    • 2001
  • 생쥐 초기배의 배반포 발달율이 BSA첨가 배양액에 Barodon-FX(equation omitted) 첨가로 증가되지 않았으나 PVP 첨가 배양액에 0.25% 첨가에서는 부화배반포 발달율이 54.7%로 대조구(32.5%)보다 크게 향상 되었다(P <0.05). 1∼2% Barodon 첨가는 배발달을 월등히 저하시켰다. Barodon 첨가에 따른 체세포 증식율은 BOEC와 GC의 경우 0.25∼0.5%에서 대조구보다 각각 24∼40%와 17∼22%더 크게 증가되었다(P<0.05). 그러나 GC와 CC에서는 1%이상 첨가시 세포증식이 크게 억제되었다(P <0.05). Barodon의 효과는 체세포간에 큰 차이가 있었다. 소 초기배에서 상실배이상의 배발달율은 BOEC와 GC 공배양조건에서 Barodon 0.5% 첨가에서 대조구보다 크게 향상되었다(P<0.05). 그러나 다른 처리 수준에서는 배 발달율이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Barodon의 세포증식효과는 세포종류에 따라 차이가 많았으며 0.5% 수준의 첨가는 소 초기배의 배반포발달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Agrobacterium rhizogenes를 이용한 Populus tremuloides의 형질전환 (Transformation of Populus tremuloides Using Agrobacterium rhizogenes)

  • 소인섭;유장걸;고영환;이선주;;류기중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2호
    • /
    • pp.123-128
    • /
    • 1995
  • Agrobacterium rhizogenes를 매개로 한 Populus의 형질전환계를 확립하고자 형질전환율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들을 검토하고, 형질전환 식물체를 분화시켜 도입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줄기조직보다 잎조직이 kanamycin에 대한 감수성이 커 형질전환체의 선발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접종용액의 박테리아 밀도는 $4{\times}10^5{\sim}7{\times}10^9\;cfu$의 범위내에서 형질전환율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공배양 기간은 1일 이내가 바람직하였고, 박테리아 제거배지의 항생제 농도는 cefotaxime과 ampicillin 각각 $250\;{\mu}g/ml$가 적당하였다. 배지에 acetosyringone을 첨가하여 배양한 박테리아를 사용했을 때 형질전환율이 증가했는데 acetosyringone의 적정농도는 $50\;{\mu}M$이었다. 형질전환된 gall은 kanamycin 농도가 $100\;{\mu}g/ml$ 이상인 배지를 사용하거나, 생장조절제가 들어있지 않은 배지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유기 및 증식시킬 수 있었다. A. rhizogenes를 접종시킨 조직으로부터 유기된 gall은 생장조절제를 포함하는 배지뿐만 아니라, 생장조절제가 없는 배지에서도 3주 이내에 뿌리를 형성하였다. NAA 0.05 mg/ml와 BA 0.5 mg/ml를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된 gall로 부터 약 6주일 후 식물체가 분화되었다. A. rhizogenes를 접종시켜 얻은 gall,그리고 gall로부터 재분화된 식물체의 추출물에서 agropine과 mannopine이 검출되어, 도입된 opine합성 유전자가 발현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음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누에체액 유래 30K 단백질의 정제와 정제된 단백질이 인간세포 배양 증식에 미치는 영향 (One-step Separation of 30K Protein from the Silkworm Hemolymph by Anion-exchange Chromatography and Its Effect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Cells)

  • 신현종;정찬희;최용수;임상민;한규범;구윤모;박태현;김동일
    • KSBB Journal
    • /
    • 제20권3호
    • /
    • pp.233-237
    • /
    • 2005
  • 누에체액 성분 중의 30K 단백질은 Q-Sepharose FF를 이용한 단계별 농도구배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로 0.16 M NaCl 용출 조건에서 쉽게 얻을 수 있었다. 얻어진 단백질을 인간유래 정상세포에 처리하여 세포 증식 향상이 확인되었고, 이는 30K 단백질이 인간을 위한 세포치료제에 이용되는 세포의 증식을 위한 첨가물로 사용될 수 있음으로써 의료 분야에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확립된 30K 단백질의 간단한 정제 공정은 향후 대량 생산 공정으로 scale-up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 결과들은 동물세포를 생산 숙주로 사용할 때 생산 물질 자체의 생산량 증대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세포치료제를 위한 세포의 증식에도 효과를 보일 수 있으므로 세포배양을 이용한 생산 공정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종양이식 모델 쥐에서 동결건조 시판 막걸리가 종양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mercial Makgeolli on tumor growth in tumor xenograft mice)

  • 신은주;김재호;성기승;염성관;황진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4-109
    • /
    • 2016
  • 본 연구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막걸리를 알콜과 수분을 제거한 막걸리 동결건조물로 만들어 AGS위암세포주가 이식된 종양이식 마우스 모델을 가지고 종양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면역세포가 결핍된 C57/BL/6누드마우스를 이용하여 AGS위암 세포 이식 군(Induction), AGS위암 세포 이식+시판막걸리 동결건조물 $100mg/kg{\cdot}day$군(ML), AGS위암 세포 이식+시판막걸리 동결건조물 $500mg/kg{\cdot}day$군(MH), AGS위암 세포 이식+5-FU $18mg/kg{\cdot}day$군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시판막걸리 동결건조물에서 종양의 성장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와 더불어 각 군 간에 체중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 막걸리의 투여에 의한 체중감소 등의 특이한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포도당(葡萄糖) 이성화(異性化) 효소(效素)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3보(第三報) 분리(分離) 선정(選定)된 균주(菌株) 효소(酵素)의 작용(作用)에 미치는 금속염(金屬鹽)의 영향(影響)에 대(對)해서- (Studies on the Glucose Isomerizing Enzyme -Part III The Effects of Metal Ions on the Reaction of K-17 Strain's Glucose Isomerizing Enzyme-)

  • 서정훈;김종규;기우경;이인구;권태종;우두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1권
    • /
    • pp.55-61
    • /
    • 1969
  • 본(本) 연구(硏究)에서 사용(使用)한 K-17 균주(菌株)의 효소생성(酵素生成)및 그의 금속염(金屬鹽) 등(等)에 대(對)한 영향(影響)등(等)을 요약(要約)하면 대략(大略) 다음과 같다. 1. 본(本) 균주(菌株)는 Glucose Isomerizing Enzyme 생성(生成)에 있어서 Xylose를 절대적(絶對的)으로 요구(要求)하지 않는다. 2. 본(本) 효소(酵素)는 Free Incubation 상태(狀態)에서는 $75^{\circ}C$, 30시간(時間)의 가열(加熱)로서 대부분(大部分)의 효소(酵素)가 실활(失活)된다. 3. 금속(金屬) Ion 중(中) $Mg^{++}$는 효소작용(酵素作用)에 있어 일종(一種) 의 Activator로 작용(作用)하며 $Co^{++}$는 Activator로 서의 작용(作用)은 없고 효소(酵素)의 열(熱) 실활(失活)을 보호(保護)하는 작용(作用)을 나타낸다. 4. 본(本) 효소작용(酵素作用)에 있어서 Glucose의 용매(溶媒)로서는 Phosphate Buffer가 가장 우수(優秀)한 결과(結果)를 나타내었다. 5. 본(本) 균주(菌株)의 효소(酵素) 생성(生成) 배지(培地)로서는 탄소원(炭素源)으로서 주어지는 당류(糖類)의 혼용(混用)이 단용(單用)에 비(比)해 균체(菌體)의 수량(收量)이나 효소능(酵素能)이 다같이 높아짐을 알게 되었다.

  • PDF

사과 갈라 품종의 Agrobacterium이용 형질전환에 영향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Agrobacterium Mediated Transformation of 'Gala' Apple)

  • 송관정;성은수;황정환;제갈성;차지은;김정희;신용억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21-225
    • /
    • 2001
  • 사과 갈라 품종의 고효율 형질전환 기술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Agobacterium을 이용한 형질전환에 관여하는 상처유도 방법, 배지 고형물, 엽절편체 기원, acetosyringone의 농도와 MES첨가 등 몇 가지 요인이 재분화 및 형질전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엽절편체의 상처유도는 수술용 핀셋 (non-traumatic forcep)의 사용보다는 단순한 절단 후 균접종과 3일 공동배양을 할 경우 재분화와 형질전환율이 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Agar (A)와 Gelrit $e^{ }$(G)의 조성에 따른 배지 고형물의 처리에서는 Gelrite의 농도가 높을수록 재분화율이 증가하였으나, 형질전환율에 있어서는 2.5 G, 3.5 A+l.2 G 및 7.0 A의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엽신장배지 또는 증식배지 유래가 재분화 및 형질전환율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증식배지 유래가 형질전환율을 더 높이는 경향을 나타냈다. Acetosyringone은 0.1 mM 이상의 농도가 첨가할 경우 높은 재분화 및 형질전환을 나타냈고, 0.15 mM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형질전환율을 나타냈다. MES의 재분화와 형질전환에 미치는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