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oud resource management interfac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3초

Experience in Practical Implementation of Abstraction Interface for Integrated Cloud Resource Management on Multi-Clouds

  • Kim, Huioon;Kim, Hyounggyu;Chun, Kyungwon;Chung, Youngjo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1호
    • /
    • pp.18-38
    • /
    • 2017
  • Infrastructure-as-a-Service (IaaS) clouds provide infrastructure as a pool of virtual resources, and the public IaaS clouds, e.g. Amazon Web Service (AWS) and private IaaS cloud toolkits, e.g. OpenStack, CloudStack, etc. provide their ow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APIs) for managing the cloud resources they offer. The heterogeneity of the APIs, however, makes it difficult to access and use the multiple cloud services concurrently and collectively. In this paper, we explore previous efforts to solve this problem and present our own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cloud API, which can make it possible to access and use multiple clouds collectively in a uniform way. The implemented API provides a RESTful access and hides underlying cloud infrastructures from users or applications. We show the implementation details of the integrated API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it comparing the proprietary APIs based on our cloud testbed. From the evaluation results, we could conclude that the overhead imposed by our interface is negligibly small and can be successfully used for multi-cloud access.

Cloud Radio Access Network: Virtualizing Wireless Access for Dense Heterogeneous Systems

  • Simeone, Osvaldo;Maeder, Andreas;Peng, Mugen;Sahin, Onur;Yu, Wei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8권2호
    • /
    • pp.135-149
    • /
    • 2016
  • 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refers to the virtualization of base station functionalities by means of cloud computing. This results in a novel cellular architecture in which low-cost wireless access points, known as radio units or remote radio heads, are centrally managed by a reconfigurable centralized "cloud", or central, unit. C-RAN allows operators to reduce the capital and operating expenses needed to deploy and maintain dense heterogeneous networks. This critical advantage, along with spectral efficiency, statistical multiplexing and load balancing gains, make C-RAN well positioned to be one of the key technologies in the development of 5G systems. In this paper, a succinct overview is presented regarding the state of the art on the research on C-RAN with emphasis on fronthaul compression, baseband processing, medium access control, resource allocation, system-level considerations and standardization effort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O Performance Benchmarking Framework for Linux Container

  • Oh, Gijun;Son, Suho;Yang, Junseok;Ahn, Sungy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3권1호
    • /
    • pp.180-186
    • /
    • 2021
  • In cloud computing service it is important to share the system resource among multiple instances according to user requirements. In particular, the issue of efficiently distributing I/O resources across multiple instances is paid attention due to the rise of emerging data-centric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nd deep learn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 I/O resource distribution of a Linux container, which is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of cloud computing, since conventional I/O benchmarks does not support features related to container manage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I/O performance benchmarking framework that can easily evaluate the resource distribution of Linux containers using existing I/O benchmarks by supporting container-related features and integrated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with trace-replay benchmark, the proposed benchmark framework has induced negligible performance overhead while providing convenience in evaluating the I/O performance of multiple Linux containers.

클라우드 방송 서비스 플랫폼 (Cloud Broadcasting Service Platform)

  • 김홍익;이동익;이종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3호
    • /
    • pp.623-638
    • /
    • 2017
  • 클라우드(Cloud) 기술이 적용되는 영역은 기술의 발전과 서비스의 다양화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방송 플랫폼에도 투자 효율화, 운영 효율화, 서비스 경쟁력 확보 등의 측면에서 클라우드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클라우드 방송 플랫폼이 UI와 서비스에 도입되면서 서비스 경쟁이 가속화 되고 있다. 클라우드 방송 기술은 단말기의 자원과 소프트웨어 구조에 종속성 없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단말기 별로 분리되어 관리되고 있던 UI와 서비스를 서버기반으로 통합하여 운영될 수 있도록 한다.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방송 플랫폼에 대해서 설명하고 적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가상머신 할당기법 및 임대 서비스 구현 (Implementation of Virtual Machine Allocation Scheme and Lease Service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s)

  • 황인찬;이봉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146-1154
    • /
    • 2010
  • 오픈 소스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인 OpenNebula를 이용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가상머신 임대 서비스를 구현하고 클라우드 자원 관리와 서비스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웹기반 클라우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다. OpenNebula의 가상머신 할당 기법은 가상화 소프트웨어의 CPU 할당 스케줄러를 고려하지 않아 성능 저하의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클러스터 노드의 유휴 CPU 자원의 우선순위와 Xen의 Credit 스케줄러를 고려하여 OpenNebula의 가상머신 할당 스케줄러의 성능을 개선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가상머신 할당기법은 기존 방식에 비하여 수용 가능한 가상머신 수와 CPU 자원 할당량에서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스마트 환경연동 3D 뷰어제공 사용자정의 클러스터링 자원관리 모니터링 플랫폼 (Monitoring Platform of Clustering Resource Management as Supporting 3D Viewer with Smart Interface)

  • 최성자;이강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77-83
    • /
    • 2010
  • 최근, IT 기반의 환경은 웹서비스의 플랫폼의 변화, 클라우딩 컴퓨팅환경으로의 진화, 스마트 시장의 저변확대로 급속히 변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함께 모니터링 개발 환경도 급속히 변화되고 있다. 이에, 사용자 정의가 가능한 SaaS기반의 모니터링 제공 서비스가 요구된다. 다양한 모니터링 환경을 지원하고 관리자가 요구한 자원 정보를 사용하고 있는 향상된 모니터링 프레임워크로써 클라우딩 컴퓨팅 환경의 SaaS 플랫폼의 고성능 저비용 클러스터 관리 시스템이 가능한 클라우딩 컴퓨팅 시스템이 요구된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목표는 클라우딩 컴퓨팅 환경의 SaaS 기반 플랫폼의 효율적이고 사용자 정의 가능한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가진 3D 뷰어가 제공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GPU를 공유하는 컨테이너 기반 클라우드 환경에서 다수의 사용자를 위한 원격 VR 서비스의 성능 관리 기법 (Performance Management Technique of Remote VR Service for Multiple Users in Container-Based Cloud Environments Sharing GPU)

  • 강지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1권1호
    • /
    • pp.9-22
    • /
    • 2022
  • VR(Virtual Reality) 기술은 사용자에게 컴퓨터 그래픽으로 구성된 가상 세계를 보여줌으로써 다양한 시청각 기반 응용에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인터페이스 기술이다. VR 기반 응용은 그래픽 처리 기반 응용이기 때문에 그래픽 처리를 위해 GPU(Graphics Processing Unit)가 장착된 고가의 컴퓨팅 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는 VR 응용 사용자에게 컴퓨팅 장치의 유지, 관리에 대한 비용 부담을 발생시키며, 이를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로써 서비스를 클라우드 환경에서 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컨테이너가 VR 응용을 실행하기 위해 GPU를 공유하는 컨테이너 기반 고성능 클라우드 환경에서 GPU 자원 경쟁으로 인해 발생하는 컨테이너 사이의 성능 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성능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성능 간섭으로 인한 성능 편차를 감소시켜 사용자에게 균일한 성능의 클라우드 기반 원격 VR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의 효율성을 검증한다.

Design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Electronic Library Based on SaaS and Web Standard

  • Lee, Jong-Hoon;Min, Byung-Won;Oh, Yong-Su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1권1호
    • /
    • pp.41-51
    • /
    • 2015
  • Management systems for electronic library have been developed on the basis of Client/Server or ASP framework in domestic market for a long time. Therefore, both service provider and user suffer from their high cost and effort in management, maintenance, and repairing of software as well as hardware. Recently in addition, mobile devices like smartphone and tablet PC are frequently used as terminal devices to access computers through the Internet or other networks, sophisticatedly customized or personalized interface for n-screen service became more important issue these day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cheme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electronic library based on SaaS and Web Standard. We design and implement the proposed scheme applying Electronic Cabinet Guidelines for Web Standard and Universal Code System. Hosted application management style and software on demand style service models based on SaaS are basically applied to develop the management system. Moreover, a newly improved concept of duplication check algorithm in a hierarchical evaluation process is presented and a personalized interface based on web standard is applied to implement the system. Algorithms of duplication check for journal, volume/number, and paper are hierarchically presented with their logic flows. Total framework of our development obeys the standard feature of Electronic Cabinet Guidelines offered by Korea government so that we can accomplish standard of application software, quality improvement of total software, and reusability extension. Scope of our development includes core services of library automation system such as acquisition, list-up, loan-and-return, and their related services. We focus on interoperation compatibility between elementary sub-systems throughout complex network and structural features. Reanalyzing and standardizing each part of the system under the concept on the cloud of service, we construct an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for generating, test, operation, and maintenance. Finally, performance analyses are performed about resource usability of server, memory amount used, and response time of server etc. As a result of measurements fulfilled over 5 times at different test points and using different data, the average response time is about 62.9 seconds for 100 clients, which takes about 0.629 seconds per client on the average. We can expect this result makes it possible to operate the system in real-time level proof. Resource usability and memory occupation are also good and moderate comparing to the conventional systems. As total verification tests, we present a simple proof to obey Electronic Cabinet Guidelines and a record of TTA authentication test for topics about SaaS maturity, performance, and application program features.

이동성 지원을 위한 SDN 기반의 네트워크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SDN-based Network Platform for Mobility Support)

  • 이완직;이호영;허석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401-407
    • /
    • 2019
  • 최근 급증한 클라우딩 컴퓨팅의 수요 해결과 네트워크 가상화 서비스 지원을 위해 등장한 SDN(Software Defined Networking)은 많은 기업과 단체들에 의해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원래 SDN이 설계된 유선 네트워크와는 달리,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SDN은 노드의 이동성을 제공해주지 못하는 제약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DN의 기존 오픈플로우 프로토콜을 확장하여, SDN Controller가 네트워크의 무선자원을 관리하고 노드들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SDN 기반의 네트워크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의 이동성 지원 기능은 SDN Controller의 무선 자원관리 기능을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노드의 이동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구현 기능을 시험하기 위해, 다양한 이동 실험에 따른 여러 전송 성능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측정하였고, 하나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했을 때와 두 개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했을 때의 성능에 관한 파라미터를 비교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SDN 기반 네트워크 플랫폼은 SDN 환경에서 무선 네트워크의 자원을 모니터링하고 노드들의 이동성을 지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