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mate(氣候)

검색결과 4,743건 처리시간 0.036초

메타모델을 활용한 기후변화 통합영향평가 (Integrated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Using Meta Model)

  • 유명수;송영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410-410
    • /
    • 2019
  • 기후변화는 전 지구적인 환경문제 중 하나이며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4차 평가보고서에서는 인류가 직면한 최대 위협이라고 하였다. 또한, IPCC는 현재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은 명백히 나타나고 있으며 향후 기후변화에 의한 기상이변 예측과 적응 정책 및 조치가 중요하다고 권고하였다. 적응 정책 및 조치를 위한 기후변화의 영향분석은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진행하고 있으나 개별 및 분류의 선형의 순차적 관계에 따라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기후변화는 자연생태계와 인간 활동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기에 개별적 연구 보다는 타 부문의 영향 및 결과가 환류되고 반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후변화 영향평가는 농업, 물, 산림, 생태, 건강 등 다양한 부문 내/간 상호작용을 고려할 수 있는 통합 평가 방법이 필요하다. 통합 평가를 위해 플랫폼 개발은 필수적이며, 신속한 분석을 위해서는 개별 부문의 상세모델을 모방한 메타모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통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메타모델을 개발하고, 상호 연결을 통해 다양한 연계양상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

21세기 기후 및 사회체제 변화와 관련하여 동아시아 수산활동에서 떠오르는 사안들 (Emerging Issues of East Asian Fisheries in Conjunction with Changes in Climate and Social Systems in the 21st Century)

  • 김수암
    • 환경정책연구
    • /
    • 제10권3호
    • /
    • pp.73-91
    • /
    • 2011
  • 2000년대 초반의 동아시아 수산활동을 기후변화와 사회경제적 개발과 연관하여 연구하였다. 세계 인구의 약 1/3이 동아시아 지역에 살고 있는데, 이들은 많은 수산물을 생산하고, 소비하며, 국제무역에 기여하고 있다. 지역적으로, 전지구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기후변화와 더불어 해수의 온난화 및 산성화는 수산생물과 수산업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동아시아 지역의 잦은 태풍은 연안의 사회집단에 막대한 손실과 희생을 유발할 것이며, 이러한 환경의 변화속도는 우리가 효과적으로 대응하기에 벅찰 정도로 빠르게 진행 중이다. 과학적 활동은 기후변화의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찾아내고, 더 나아가 효과적인 해결책을 만들기 위한 기본 지침을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수산관리 계획은 기후변화와 더불어 사회체제의 변화를 고려하여 수립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 해역에서 공동과학연구를 추진하고, 수산자원을 보존하고 관리하는 국제적 공조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는 제안은 매우 논리적이다.

  • PDF

초·중학생의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 이지숙;박혜경;정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2호
    • /
    • pp.274-282
    • /
    • 2011
  • 이 연구는 초 중학생의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후변화현상, 지구온난화,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영향, 지구온난화를 줄이기 위한 실천 등을 내용으로 하는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5학년 118명, 7학년 121명으로 중학교는 환경을 배우는 학교와 그렇지 않은 학교를 표집하였다. 연구 수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 중학생들의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수준은 낮았다. 둘째, 지구온난화에 대해 대부분 학생들은 온실가스, 빙하, 환경오염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지구온난화의 원인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은 과학 개념을 가지고 있었으나, 일부 학생들은 지구온난화가 오존층 파괴로 일어난다는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지구온난화의 원인에 대해 일부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은 유사한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 PDF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계획기법 및 도시계획 전략 연구 (Urban Planning Strategy and Technique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 이성희;김정곤
    • 토지주택연구
    • /
    • 제6권4호
    • /
    • pp.153-164
    • /
    • 2015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도시계획 측면의 계획기법을 도출하고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4단계에 걸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통하여 이론상에서 제시되고 있는 계획목표와 계획기법을 도출하였다. 둘째,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도시계획기법의 적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사례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앞서 두 단계에 걸쳐 도출된 계획기법에 대하여 여러 차례에 걸친 실무진 및 전문가 브레인스토밍을 진행하여 최종 계획기법을 도출하였으며, 적용가능한 공간위계와 기상재해와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적응 도시의 부문별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정책적 차원에 머무르고 있던 기존의 연구 단계에서 벗어나 실제 적용가능한 계획기법을 모색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지역 물수지 추정 (Estimation of Regional Water Balance in Various Climate Change Scenarios)

  • 김만규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3-65
    • /
    • 1999
  • 기후변화와 이에 따르는 식생변화, 인위적인 토지이용 변화 등 '지역환경생태시스템의 변화'에 대한 '지역 물수지변화' 추정은 오직 필자가 개발한 BROO $K_{TOP}$과 같은 '물리기반 물수지 모델(Physical based Water Balance Model)'류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 중북부 농업지대와 산림지대에 대해서 $BROOK_{TOP}$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정립된 물리기반 지역물수지모델에 독일 포츠담 기후변화연구소(PIK) 시나리오와 체코 프라하대학에서 개발한 중부유럽 대상 GCM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물수지변화를 추정하였다. 이와 같은 기후와 지표.지하조건을 고려 한 지구온난화에 따른 수자원변화 예측시스템 개발은 하천수$\cdot$지하수 개발 및 수질 관리, 농업경작관리, 환경생태계 관리, 자연 재해 관리, 토지이용계획 및 지역개발계획 등을 위한 시스템개발의 기반이 된다

  • PDF

세계화.기후변화시대의 지역 경쟁력 요인 분석 (Determinants of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in the Era of the Globalization and the Climate Change)

  • 노용식;이희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01-614
    • /
    • 2012
  • 본 논문은 세계화 기후변화시대에 지역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정하고,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2001~2010년 동안 16개 광역시 도의 균형 패널 데이터를 구축하여 패널분석을 수행하였다. 1인당 지역민총소득을 종속변수로 하고 경쟁력 기반요인, 경제적 생산요인, 기후변화 적응요인을 설명변수로 하는 패널모델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델 1(전형적인 지역 경쟁력 모델)과 기후변화 적응요인을 추가시킨 모델 2를 비교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종속변수에 가장 영향력이 높은 요인으로는 지식기반산업 비율과 인적자본으로 나타났으며, 에너지 비효율성이 증가하면 지역 경쟁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모델 1에 비해 모델 2에서는 지역의 개방성과 기술혁신자본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세계화 기후변화시대에 지역 경쟁력을 강화시키는데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PDF

국제곡물가격에 대한 기후의 고차 선형 적률 인과관계 연구 (Linear causality in moments from climate to international crop prices)

  • 정기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1호
    • /
    • pp.67-74
    • /
    • 2017
  • 본 논문은 기후와 국제곡물가격의 인과관계를 분석한다. 기후는 곡물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지만 국제곡물가격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선행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논문은 대표적인 세계기후 변수인 해양표면온도 (sea surface temperature; SST)와 세계 3대 곡물인 밀, 옥수수, 콩의 국제가격을 이용하여 1987년 5월부터 2013년 7월까지 기간의 월별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서 비모수 커널방법으로 제시된 고차 적률 인과관계 개념 (Nishiyama 등, 2011)을 모수적인 방법으로 변환하여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기후는 1차 적률에서 3개 곡물가격 모두에 대해 그리고 2차 적률에서 옥수수와 콩의 가격에 대해 각각 인과관계를 가지며 3차 적률에서는 3개 곡물가격 모두에 대해 인과관계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산림자원조사 고정표본점 자료를 이용한 토지이용변화 평가 (Land-use Change Assessment by Permanent Sample Plots in National Forest Inventory)

  • 임종수;김래현;이선정;손영모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3-40
    • /
    • 2015
  • Forests are to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carbon sink under the UNFCCC that consist of above- and below-biomass, dead organic matter (DOM) such as dead wood and litter, and soil organic matter (SOM). In order to asses for DOM and SOM, however, it is relevant to land-use change matrices over last 20 years for each land-use category. In this study, a land-use change matrix was produced and its uncertainty was assessed using a point sampling technique with permanent sample plots in national forest inventory at Chungbuk province. With point sampling estimated areas at 2012 year for each land-use category were significantly similar to the true areas by given six land-use categories. Relative standard error in terms of uncertainty of land-use change among land-use categories ranged in 4.3~44.4%, excluding the other land. Forest and cropland covered relatively large areas showed lower uncertainty compared to the other land-use categories. This result showed that selected permanent samples in the NFI are able to support for producing land-use change matrix at a national or province level. If the $6^{th}$ NFI data are fully collected, the uncertainty of estimated area should be impro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