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ifying inquiry skill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관찰에 의한 분류하기 탐구 능력 평가 준거 개발 (Development of a Standard to Assess Classifying Inquiry Skills by Observation)

  • 주정은;차희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4호
    • /
    • pp.407-41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standards with which we can design an instrument to assess classifying inquiry skills by observing students' behavior and reported outcome which is not the paper and pencil test. This research is focused on developing a standard for analysis of classifying ability among research functions. To identify classifying inquiry skills, standards from classifying behaviors were comparing ways with other cards and us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ards; Standards selected from the final reports were the appropriateness, inconsistency and hierarchy of the classification outcome. The standards were initially selected during the class with picture cards printed various birds appearances on the front side and their traits on the back which was specially designed among sixth graders. The picture cards prepared with plant leaves and stems had designed to identify whether standards was effective to assess student's classifying ability. The standards was an effective tool to assess student's classifying inquiry skills.

  • PDF

초.중.고등학교 탐구 기능 요소에 대한 6차와 7차 과학 교육 과정의 비교 (Comparison with the 6th and 7th Science Curricular for Inquiry Skill Elements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 하소현;곽대오;성민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02-113
    • /
    • 2001
  • 제 6차와 7차 교육 과정의 교과서가 아니고 교육부 고시 교육 과정과 교육 과정 해설에 제시된 초 중 고등학교 탐구 기능 요소의 종류와 빈도를 포괄적으로 조사하였다. 제 6차 교육 과정에 제시된 탐구 기능 요소의 종류는 모두 17가지였고, 7차 교육 과정은 23가지로 조사되어 7차 교육 과정은 6차 교육 과정에 비해 탐구 기능 요소의 출현 종류가 약 1.3배 증가되었다. 탐구 기능 요소의 전체 빈도는 6차 교육 과정에서 408회, 7차 교육 과정에서 729회로 조사되어 7차가 6차에 비해 약 1.8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 탐구 기능 요소의 총 활용 빈도는 초등학교의 경우, 6차 교육 과정 14가지 요소에서 155회, 7차 교육 과정 18가지 요소에서 188회, 중학교의 경우, 6차 교육 과정은 7가지 요소에서 44회, 7차 교육 과정은 16가지 요소에서 196회, 고등학교의 경우, 6차 교육 과정의 공통 과학은 10가지 요소에서 44회, 7차 교육 과정은 10가지 요소에서 50회, 고등학교 과학 4영역 I, II 의 경우, 6차 교육 과정은 11가지 요소에서 165회, 7차 교육 과정은 21가지 요소에서 279회로 나타냈다. 7차 교육 과정의 중학교 단계에서 탐구 기능 요소의 활용 빈도가 6차에 비해 약 4.5배 증가하여 초 중 고등학교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였고 전체적으로 볼 때, 7차 교육 과정은 6차 교육 과정보다 탐구 기능 요소의 종류가 약 1.3배, 그 빈도가 약 4.5배로 더욱 강화되었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향상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고 그 중요성을 깊이 인식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분류 과제 제시 형태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잎 분류 행동 차이 (Difference in Elementary Student Behaviors according to the Material Types Provided as Classifying Leaves)

  • 이정경;하민수;차희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3호
    • /
    • pp.287-295
    • /
    • 2008
  • Elementary students' behaviors classifying leaves have been analyz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ypes provided for the classification class. 199 sixth grad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task classifying the leaves of various plants for the research. The three types of materials provided to them for the class were real leaves, photos of the leaves and explanation cards including the photos of leaves. One of the research findings was that the only material made students handle in the observed behaviors was the real leave of the material types given as classifying. Thre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time required and the number of using criteria for the class. The numbers of criteria had been applied to analyzing their behaviors as classifying the real leaves which were less than those with photo materials. The amount of taken time to classify the real leaves and photo materials were less than those of another material. Finally, the contents of criteria did not differ between groups except appearing properties presented to the task with photo and explanation materials.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can be contribut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for curriculum developers to choose appropriate instructional materials as constructing curriculum contents for elementary science to mak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quire classifying skill in science classes.

  • PDF

국민학생(園民學生)의 과학(科學) 탐구능력(探究能力) 측정(測定)을 위한 평가도구(評價道具) 개발(開發) (Development of a Test of Science Inquiry Skills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정완호;허명;은경용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0-91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reliable instrument for evaluating science inquiry skills through an R&D procedure. A total of ten seience inquiry skills were selec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strument, ie, observation, classifying, recognizing problems, measuring, inferring, formulating hypothesis, controlling variables, experimenting, interpreting and drowing a conclusion. And three items were developed for each sceince inquiry skill, totaling up to thirty items. The content areas of developed item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material and energy, life and environment, and the earth and the space. There are 10 items for each category. The content validity and the objectivity of developed items were checked, verified in the two field trials and revis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tems by seven experienced specialists with the degree of doctors in science education and five teachers who were studying for their master's degree in science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econd field trial.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nstrument was 91.1%, reliablity(K-R 20) 0.78, defficulty index 49.13%, discrimination index 0.42, mean achivement 61.85%, standard deviation 5.11, and standard error 2.40.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the developed instrument in this study is regarded as a appropriate instrument for evaluating science inquiry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PDF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과학 탐구능력 측정을 위한 평가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Test of Science Inquiry Skills for Elementary School Fifth and Sixth Graders)

  • 송경혜;이항로;임청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245-125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평가도구의 구비조건을 갖춘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과학탐구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과학탐구 능력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평가도구를 구성하는 문항은 R&D 방법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2차례에 걸친 과학교육 전문가의 점검과 2번의 현장 검증을 통해 문항을 수정 보완하였다. 각 평가 문항은 교과 내용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해결할 수 있는 범교과적인 문항으로 제작하여 과학탐구능력의 하위 요소들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SAPA 교육과정과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과학탐구과정 요소를 근간으로 관찰, 분류, 측정, 예상, 추리,문제인식, 변인통제,자료해석,결론도출,실험설계의 10가지 하위 요소들을 선정하고 각 요소에 대한 조작적 정의와 평가 목표를 설정하였다. 물질과 에너지, 생명과 환경, 지구와 순환의 3가지 내용 영역의 소재를 중심으로 총 30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을 과학교육 전문가에게 2회 의뢰하여 타당도, 객관도, 문항의 명료성을 점검 받았으며 2번의 현장 검증을 통해 신뢰도, 변별도, 난이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타당도 91.6%, 신뢰도 지수 Cronbach ${\alpha}$-값 0.79, 객관도 93.3%, 변별도 지수 0.30, 난이도 지수 66.1%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값들은 평가도구가 갖추어야 할 구비조건의 허용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보아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탐구능력 평가도구는 양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탐구능력 평가도구는 초등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성취 수준의 진단,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수 학습 자료 및 과학과 교수 학습 방법의 과학탐구능력 반영 수준을 평가하는 도구로도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