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 2 malocclusion

검색결과 494건 처리시간 0.03초

Lefort I 술식 후 후기 합병증으로 발생한 상악동 점액낭종 1례 (Maxillary Sinus Mucocele as a Late Complication in a Patient Underwent Lefort I Procedure)

  • 조상현;박병윤;이정권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4호
    • /
    • pp.501-503
    • /
    • 2007
  • Purpose: The authors report unusual one case of a patient presenting with maxillary sinus mucocele who had underwent Lefort I procedure 7 years ago. Methods: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Results: A 25 year old man came to us with fullness, pain and nasal obstruction on his left cheek area. He had a history of multiple operations due to cleft lip and palate since birth. Two jaw surgery was performed for correcting class III malocclusion 7 years ago. Computed tomography showed haziness, and fluid filled cystic mass on left maxillary sinus. Nasoendoscopy revealed the bulging of inferior turbinate and mucosa coincided in medial wall of maxillary sinus. Antrostomy with Caldwell-Luc approach was performed. Mucin contaning brownish exudate was leaked out. Severe inflammation of maxillary inner wall and exposure of 2 screws fixed previously were noticed. The curettage and marsupialization were accomplished. The symptoms of patient were improved after that procedure. Conclusion: Maxillary sinus mucocele is related with Lefort I procedure and it may occur even long after that procedure.

중안면부 함몰과 하악전돌을 동반한 III 급 부정교합자의 교정-악교정수술 복합치료 (COMBINED ORTHODONTIC-SURGICAL TREATMENT FOR CLASS III PATIENT WITH MIDFACIAL DEFICIENCY AND MANDIBULAR PROGNATHISM)

  • 조은정;김종태;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37-645
    • /
    • 1996
  • 성장이 완료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는 골격 부조화의 심도, 절치 치축, overbite와 연조직 측모의 심미성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 교정치료와 악교정수술을 병행하여 골격과 치아관계 개선에 따른 기능의 증진외에도 안모의 심미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특히 전후방적, 수직적, 횡적인 골격 부조화가 크거나 안면비대칭이 있는 경우, 또한 악교정수술후의 안정성이나 보다 이상적인 안모를 위하여 양악수술을 시행한다. 중안면부 함몰환자에서 안와하연과 관골부는 보존하며 비상악체를 전방이동하는 pyramidal Le Fort II osteotomy 를 시행할 수 있으며, 안와하연과 관골부치 전방이동을 필요로 할 때는 quadrangular Le Fort II osteotomy 를 시행할 수 있다. 이 수술법은 안와하연의 위치를 변화시켜 안와체적에 영향을 미치므로 상악골의 횡적, 수직적 이동량이 5 mm 이상일 때는 시행할 수 없다. 서울대학교병원 치과진료부 교정과에 내원하여 중안면부 함몰과 하악전돌을 동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교정-악교정수술 (Le Fort II osteotomy 와 BSSRO) 복합치료를 받은 2명의 환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Pattern of lip re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lip incompetence in patients with Class II malocclusion

  • Mei Ling Fang;Sung-Hwan Choi;Yoon Jeong Choi;Kee-Joon Lee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76-285
    • /
    • 2023
  • Objective: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compare changes in hard tissue and soft tissue after the four first premolars were extracted with anterior teeth re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p incompetence.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the four first premolars were extracted with anterior teeth retraction were divided into competent (n = 20) and incompetent lip (n = 20) groups. Cephalometric measurements for hard tissue and soft tissue changes were performed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Results: In the competent group, the upper and lower lips retreated by 2.88 mm and 4.28 mm, respectively, and in the incompetent group by 4.13 mm and 5.57 mm,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 (p < 0.05).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traction of the upper lip and upper incisors was observed in both groups (p < 0.05), whereas a correlation between retraction of the lower lip and lower incisors was only found in the incompetent group. A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attern of lip retraction following the retraction of the anterior teeth was more predictable in the incompetent group than in the competent group.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itial evaluation of lip incompetence in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 is essential for the accurate prediction of the soft tissue changes following retraction of the anterior teeth in premolar extraction treatment. Therefore, sufficient explanation should be provided during patient consultations.

변형된 페이스 마스크의 치아 및 골격적 효과 (Effects of conventional and modified facemask therapies on dentofacial structures)

  • Yagci, Ahmet;Uysal, Tanca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32-443
    • /
    • 2010
  • 이번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페이스 마스크와 변형된 페이스 마스크의 치아 및 골격적 효과를 평가하고자 III급 부정교합환에서 치료군과 비치료군을 비교하였다. 24명의 환자(여자: 13명, 남자: 11)로 구성된 기존의 페이스 마스크 그룹(Group 1, mean age, $9.2{\pm}1.4$ years)과 24명의 환자(여자: 12명, 남자: 12명)로 구성된 변형된 페이스 마스크(Group 2, mean age, $9.3{\pm}1.6$ years); 그리고 21 명(여자: 11 명, 남자: 10명)으로 구성된 대조군 그룹(Group 3, mean age, $9.8{\pm}1.9$ years)으로 분류하였다. 그룹 내 그룹 간에 치료군과 대조군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룹 내 비교는 비모수적인 방법의 Wilcoxon's test으로 그룹 간의 변화는 Kruskal-Wallis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후 그룹 간의 통계적인 유효성 검증을 위하여 Mann-Whitney test와 Bonferroni's correction 을 시행하였다 (p < 0.016). Group 1에서 SNB 변화가 대조군보다 적었다. SNA, ANB, SN-MP, A to N perp과 Upper lip to E plane이 증가하였다. Group 2에서는 SNB, U1-NA (mm) U1-NA ($^{\circ}$) and Pog to N perp (mm) 변화는 대조군보다 적었다. SNA, ANB, SN-MP, A to N perp과 Upper lip to E plane이 증가하였다. 변형된 페이스 마스크는 상악 열성장이 있는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악궁 확장을 동반한 페이스 마스크를 통하여 상악은 회전을 야기시키지 않고 전방으로 이동하였으며 모든 치료군에서 하악은 후하방으로 이동하였다.

안면골격 형태와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CO-CR DISCREPANCY AND FACIAL SKELETAL TYPE)

  • 조진영;이영준;박영국;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39-853
    • /
    • 1998
  • 이 연구는 각 유형의 부정교합과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량 간의 상호관련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각 부정교합자 군에서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를 3차원적으로 비교 평가하고, 각 안면골격 형태의 특징에 따른 변위량의 차이 유무를 분석하고, 각 유형의 부정교합 골격형태에서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와 두개안면골격 계측요소 간의 상관성을 검정하였다. 242명의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중심교합위 상태에서 얻어진 측모두부X선규격사진을 계측하고 이들을 수평적, 수직적 관계에 의하여 9군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들로부터 중심위와 중심교합위에서의 교합기록을 채득하고 face-bow로 안궁이전을 한 뒤 석고모형을 교합기에 중심위 상태로 탑재하였다. CPI를 이용하여 중심위와 중심교합위의 하악과두위치를 측정하고 이들과 각 군의 측모두부X선규격사진 계측치와의 상관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통계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의 양과 방향에서 좌측과 우측은 증등도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후방보다는 상하변위의 좌 우측 상관성이 다소 높았다. 2. II급 부정 교합군이 I 급과 III급 부정교합군에 비해 좌우측간의 중심 교합위-중심위 변위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3. 각 부정교합군에서의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 유형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중심교합위 상태의 측모두부X선규격사진상에서의 안면골격의 형태요소와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간에는 상관성이 적었다. 5. II급 brachyfacial skeleton과 III급 mesofacial skeleton의 일부 계측치에서 CPI수치를 예측할 수 있는 항목들이 나타났다.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의 양과 방향은 특정한 안면형태요소와는 무관하며 하악과두의 위치변이는 부정교합양태나 안면골격 형태와 관계없이 발현되었다.

  • PDF

성인에서 골격형 제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 수술 전, 후와 정상교합자의 근활성도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MUSCLE ACTIVITIES OF PRE- AND POST-ORTHOGNATHIG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AND NORMAL GROUP)

  • 정경진;손병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55-373
    • /
    • 1995
  • 두개악안면 영역은 많은 해부학적 구조를 포함하는 근골격구조(musculodentos keletal system)로 두부골격의 구조, 악궁상태, 저작근의 형성 및 기능은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두개악안면 영역의 성장과 발육은 유전적인 요인이외에 환경적인 요인들 즉, 두개안면부의 근육을 포함한 주위조직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반대로 두개안면부의 골격구조가 변화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두개안면근육의 기능 또한 변화, 적응되는지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연구결과가 미흡한 상태이다. 저자는 골격형 제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수술 전, 후의 근활성도의 변화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 두부 골격구조와 교합상태에 따른 저작근 기능의 상호관계 및 변화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정상교합을 가진 성인남자 15명과 술전 및 술후 골격형 제 III급 부정교합자 각각 15명을 대상으로 측모두부 방사선사진과 저작효율검사 및 rest, clenching, chewing, swallowing시의 전측두근, 교근, 상순의 근활성도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하악의 안정위(rest)에서 술전 부정교합군에서 술후군보다 전측두근, 교근, 상순에서 높은 활성도를 보였으며, 술후군에서는 상순에서만 정상대조군보다 의미있는 높은 근활성도를 보였다. 2. 최대교합(clenching)시는 술후군에서 술전 부정교합군보다 전측두근, 교근, 상순에서 높은 근활성도를 보였다. 3. 저작(chewing)시는 술후군이 술전 부정교합군보다 전측두근 및 교근에서 높은 활성을 보인 반면 상순에서는 감소된 근활성도를 보였다. 4. 연하(swallowing)시 술후군에서 상순은 술전 부정교합군보다 감소되었으나 정상대조군보다 증가된 근활성도를 나타냈으며, 각 군간에 전측두근 및 교근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5. 저작효율은 술전부정교합군에서 정상대조군보다 낮았으며, 술후군에서 술전 부정교합군보다 증가되었으나 두군 모두 정상대조군과 유의차를 보였다.

  • PDF

2급 1류 부정교합 환자에서 activator유형에 따른 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eatment effects of different activator types in Angle's Class II div.1 malocclusion patients)

  • 김덕상;이진우;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31-444
    • /
    • 1997
  • Activator는 성장기 아동에서 치성 및 악골 부조화를 개선하기 위해 성장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악기능장치중 대표적인 것으로 1930년대부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사용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그 사용여부, 작용방법, 효과에 향을 주어 골격적 관계를 변화시킨다는 의견도 있다. 현재에는 많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기능성 장치가 성장중이고 협조적인 환자에서 2급 관계를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에 대부분 의견을 공유하고있다. 본 연구는 하악골의 후방 변위를 보이는 Angle씨 2급 1류 부정교합 환자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activator를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하악골의 수평적 성장을 유도하기 위한 horizontal type activator와 수평적 성장과 함께 수직적 성장도 유도하기 위한 vertical type activator로 분류하여 사용한 결과 나타나는 치료 효과의 차이를 비교 연구하고, 각 군내의 남여군간에 치료 효과나 성장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Horizontal type activator를 사용한 군의 치료 전후 비교시 하악의 전방위치와 LAFH, AEH등 안면 전방부의 수직적 증가가 관찰되었다. 2. Horizontal type activator를 사용한 군의 남자군에서는 두개저에 대한 하악의 길이 증가를 동반한 상악의 후방위치가 관찰되었으며, 여자군에서는 하악의 길이 증가뿐만 아니라 하악전치의 순측 경사와 하안면 고경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3. Vertical type activator를 사용한 군의 치료 전후 비교시 전안면고경, 전하안면고경, 후안면고경, 후하안면 고경의 증가와 함께 두개저에 대한 하악의 길이 증가가 두드러졌다. 4. Vertical type activator를 사용한 남자군에서는 하악의 길이 증가뿐만 아니라 전안면 고경과 후안면고경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여자군에서는 전안면 고경의 증가만 주로 관찰되었다. 5. Horizontal type activator 와 Vertical type activator를 사용한 군들의 치료 전후 비교시 치료전에는 골격적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치료후에는 치성관계에서만 차이를 나타내어 서로 다른 activator의 사용이 주로 치성 성분에 대한 효과에만 차이를 나타낸다고 사료된다. 6. 치료전에는 차이가 없던 남,여군 사이에 치료후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치료 효과에 관계없이 남여에 따른 성장양상의 차이가 그대로 표현된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는 거대 편도를 가진 기능성 III급 부정 교합자의 구개 편도 절제술 전후의 인두강, 설골, 두부 위치의 변화 양상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단국 대학교 부속 치과 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남녀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PDF

3-Dimensional analysis for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 Kim, Eun-Ja;Ki, Eun-Jung;Cheon, Hae-Myung;Choi, Eun-Joo;Kwon, Kyu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9권4호
    • /
    • pp.168-174
    • /
    • 2013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2-dimensional (2D) cephalometric measurement and 3-dimensional (3D)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easurement, and to evaluate the availability of 3D analysis for asymmetr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Twenty-seven patients were evaluated for facial asymmetry by photograph and cephalometric radiograph, and CBCT. The 14 measurements values were evaluated and those for 2D and 3D were compared.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Patients in group 1 were evaluated for symmetry in the middle 1/3 of the face and asymmetry in the lower 1/3 of the face, and those in group 2 for asymmetry of both the middle and lower 1/3 of the face. Results: In group 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nine values out of 14 values. Values included three from anteroposterior cephalometric radiograph measurement values (cant and both body height) and six from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both ramus length, both lateral ramal inclination, and both gonial angles). In group 2, comparison between 2D and 3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10 factors. Values included four from anteroposterior cephalometric radiograph measurement values (both maxillary height, both body height) and six from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both ramus length, both lateral ramal inclination, and both gonial angles). Conclusion: Information from 2D analysis was inaccurate in several measurements. Therefore, in asymmetry patients, 3D analysis is useful in diagnosis of asymmetry.

Position of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 in different skeletal facial types: First radiographic evaluation in a group of Iranian patients

  • Shokri, Abbas;Mahmoudzadeh, Majid;Baharvand, Maryam;Mortazavi, Hamed;Faradmal, Javad;Khajeh, Samira;Yousefi, Faezeh;Noruzi-Gangachin, Maruf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4권1호
    • /
    • pp.61-65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osition of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s in different skeletal facial types among a group of Iranian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00 mandibular third molars in 200 subjects with different types of facial growth were radiographically investigated for their positions according to their types of facial growth on the basis of the ${\beta}$ angl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lass I, II, and III) according to ANB angle, representing the anteroposterior relationship of the maxilla to the mandible. Meanwhile, the subjects were also divided into three groups (long, normal, and short face) according to the angle between the stella-nasion and mandibular plane (SNGoGn angle). ANOVA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mean ${\beta}$ angl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lass I, II, and III malocclusions (df=2, F=0.669, p=0.513). The same results were also found in short, normal, and long faces (df=1.842, F=2, p=0.160). The mesioangular position was the most frequent one in almost all of the facial growth patterns. Distoangular and horizontal positions of impaction were not found in the subjects with class III and normal faces. In the long facial growth pattern, the frequency of vertical and distoangular positions were not different. Conclusion: In almost all of the skeletal facial types, the mesioangular impac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was the most prevalent position, followed by the horizontal position. In addition, ${\beta}$ angl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fferent types of facial growth.

Root proximity of the anchoring miniscrews of orthodontic miniplates in the mandibular incisal area: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analysis

  • Jeong, Do-Min;Oh, Song Hee;Choo, HyeRan;Choi, Yong-Suk;Kim, Seong-Hun;Lee, Jin-Suk;Hwang, Eui-Hwa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31-240
    • /
    • 2021
  • Objective: This outcome analysis study evaluated the actual positions of the orthodontic miniplate and miniplate anchoring screws (MPASs) and the risk factors affecting adjacent anatomic structures after miniplate placement in the mandibular incisal area. Methods: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images of 97 orthodontic miniplates and their 194 MPASs (diameter, 1.5 mm; length, 4 mm) in patients whose miniplates provided sufficient clinical stability for orthodontic treatment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or evaluating the actual positions of the miniplates and analyzing the risk factors, including the effects on adjacent roots, MPAS placement height (PH), placement depth (PD), plate angle (PA), mental fossa angle (MA), and root proximity were assessed using the paired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generalized linear model and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e mean PDs of MPASs at positions 1 (P1) and 2 (P2) were 2.01 mm and 2.23 mm, respectively. P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PH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 and PD at P1. Of the 97 MPASs at P1, 49 were in the no-root area and 48 in the dentulous area; moreover, 19 showed a degree of root contact (19.6%) without root perforation. All MPASs at P2 were in the no-root area. Conclusions: Positioning the miniplate head approximately 1 mm lower than the mucogingival junction is highly likely to provide sufficient PH for the P1-MPASs to be placed in the no-root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