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 2 malocclusion

검색결과 494건 처리시간 0.023초

Clinical changes of TMD and condyle stability after two jaw surgery with and without preceding TMD treatments in class III patients

  • Yoon, Sang-Yong;Song, Jae-Min;Kim, Yong-Deok;Chung, In-Kyo;Shin, Sang-Hun;Pusan Korea Pusan National University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7권
    • /
    • pp.9.1-9.7
    • /
    • 2015
  • Background: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symptomatic changes and condylar stability after 2 jaw surgery without preceding treatments for Temporomandibular joints(TMJ) in class III patients with the TMJ symptoms; and to assess therapeutic effect of 2 jaw surgery and the necessity of preceding treatment for alleviation of TMJ symptoms. Methods: 30 prognathic patients with preexisting TMJ symptom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preceding treatments before the surgery. We evaluated symptomatic changes on both TMJ by questionnaires and clinical examinations. And we reconstructed 3D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images before 2 jaw surgery, immediately after the surgery, and 6 months or more after the surgery with SimPlant software, and analyzed the stability of condylar position on 3D reconstruction model. Significances were assessed by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on SPSS ver. 20.0. Results: Both groups had favorable changes of TMJ symptoms after orthognathic surgery. And postoperative position of condyle had good stability during follow-up period. Conclusion: 2 jaw surgery without preceding treatments for TMD can have therapeutic effect for TMD patients with class III malocclusion.

최근 11년간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순구개열 환자의 내원 현황에 관한 연구(1988.3 - 1999.2) (The study on the cleft lip and/or palate patients who visited Dept. of Orthodon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during last 11 years (1988.3-1999.2))

  • 양원식;백승학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67-481
    • /
    • 1999
  • 순구개열은 악안면 선천성 기형 중에서 발생율이 가장 높으며, 여러 선학들의 조사연구에 의하면 순구개열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순구개열 환자의 치료에서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교정과의 순구개열환자의 내원동향에 관한 역학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순구개열 교정환자들의 연도별, 종류별, 성별, 연령별, Angle씨 부정교합군별 분포에 따른 역학적 특성과 국내병원에서의 수술시기 등의 치료현황에 대한 임상자료 등을 파악하고, 이를 순구개열 환자의 교정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88년 3월 1일부터 1999년 2월 28일까지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순구개열 환자(총 250명)와 그 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초진시의 문진, 시진을 통하여 기록한 교정 chart및 cleft chart내용, X-tay film과 모형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본 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순구개열 환자의 수는 1988년부터 1990년까지 증가한 후 1992년까지 감소추세를 보였고, 1993년부터 1996년까지 비교적 일정한 추세를 보이다가 1997년 이후 현저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2. 내원한 환자를 순구개열의 종류에 따라 조사한 결과 구순열:구순치조열:구개열:구순구개열이 7.6:19.2:9.6:63.6의 비율을 보였다. 편측 대 양측의 발생빈도는 구순열은 79:21, 구순치조열은 77:23,구순구개열은 75.5:24.5으로서 편측의 발생빈도가 양측에 비해서 높았다. 그리고 편측성에서 좌, 우측간의 발생빈도는 구순열이 53.3:46.7, 구순치조열이 59.5:40.5, 구순구개열이 59.2:40.8 으로서 좌측의 발생빈도가 우측에 비해서 높았다. 3. 순구개열의 남:여 발생빈도는 구순열은 57.9:42.1, 구순치조열은 68.8:31.2, 구순구개열은 76.1:23.9 로서 남자의 발생빈도가 여자에 비해서 높았다. 그러나 구개열에서는 41.7:58.3으로서 여자의 발생빈도가 남자에 비해서 높게 나타났다. 4. 내원 환자를 연령군 별로 조사한 결과 7-12세 군이 $52\%$로서 압도적으로 많았고, 0-6세 군 ($20.4\%$), 13-18세 군($17.2\%$), 18세 이상 군 ($10.4\%$)의 순이었다. 5. 구순열의 봉합수술시기로는 0-3개월 군이 $60.3\%$로서 가장 많았고, 4-6개월 군이 $17.9\%$로 두 번째였다. 6. 구개열의 봉합수술시기로는 1-2세군이 $31.7\%$로 가장 많았고, 0-1세군은 $25.6\%$, 2-3세군이 $12.1\%$였다. 구개 및 상악 성장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5세 이상 군은 $11.6\%$를 차지하였다.7. 구순 반흔 제거수술시기로는 4-6세군 ($27.5\%$), 6-8세군 ($19.6\%$), 2-4세군 ($13.7\%$)이 $60\%$이상을 차지하여 초등학교 취학 전에 구순의 반흔을 제거하려 함을 알 수 있었다. 8. 비변형 교정수술시기로는 0-2세군 ($7.1\%$), 2-4세군 ($14.3\%$), 4-6세군 ($21.4\%$), 6-8세군 ($14.3\%$)으로 초등학교 취학이전이 $57.1\%$로서 최근의 조기 치료경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9. 인두피판술은 평균 6세에 시행되었으며, 수술 시행 시기별의 차이를 보이지 않고 고른 분포를 보였다. 10. 내원한 환자를 순구개열 종류와 Angle씨 분류법에 의해 조사한 결과, 구순열군은 I급이 가장 많았고 III, II 급의 순이었으며, 구순치조열, 구개열, 구순구개열군은 III급이 가장 많았고, I, II 급의 순이었다. 그리고 III급의 발생빈도의 비율차이는 구순치조열은 $61.7\%$, 구개열은 $73.9\%$, 구순구개열군에서 $79.3\%$로서 구순구개열에서 압도적으로 III급의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11. 모든 연령군에서 III급 부정교합의 빈도가 가장 많아서($72.7\%$) 전치부의 반대교합이 주된 내원 동기가 됨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 PDF

하악각측정치에 관한 측모두부방사선사진과 Orthopantomogram과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GONIAL AMOLES IN CEPHALOMETRIC ROENTGENOGRAM AND ORTHOPANTOMOGRAM)

  • 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1-75
    • /
    • 1981
  • The author has studied on the gonical angles in cephalometric roentgenograph and orthopantomograph. Lateral cephalometric roentgenograms and orthopantomograms were taken from 62 patients who were consisted of 32 boys and 30 girls with dentoalveolar Class I malocclusion. Genial angles were measured on cephalograms and orthopantomograms respectively, and calculated the mean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t' test was perform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phologram and orthopantomogram.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Mean value of genial angles was $126.47^{\circ}\;{\pm}\;5.62$ in cephalgram. In orthopantomograms the gonial angle was $125.23^{\circ}\;{\pm}\;6.68$ in left side and $126.47^{\circ}\;{\pm}\;6.85$ in the right side. 2. Result of 't' te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level of 1 percent.

  • PDF

교정치료후의 복귀현상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Relapse Following Orthodontic Treatment)

  • 이세희;이동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5-122
    • /
    • 1986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relapse amount in the various malocclusions and correlative coefficient with other factors. The sample were consisted of 60 orthodontic patients whose models were perfect before treatment, after treatment and after 6 months post treatment. For this study 8 liner lengths were measured in maxilla and mandible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hange with treatment of maxillary dental arch length was most large in non extraction group of Angle's class II malocclusion. 2. The relapse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 changes was most little in the arch perimeter. 3. The relapse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beginning age of the treatment in non extraction group. 4. The relapse of maxillary intermolar width was increased and those of overbite & molar relationship were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duration of active treatment. 5. The relapse of maxillary intercanine width was increased with a time goes after treatment.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양악 수술후 연조직 변화에 대한 연구 (SOFT TISSUE CHANGES FOLLOWING BIMAXILLARY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박홍주;최홍란;유선열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0권4호
    • /
    • pp.284-29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oft tissue changes using twenty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who treated with bimaxillary surgery for the correction of dentofacial deformitie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impaction and advancement of maxilla with mandibular set-back (Group 1), the other was downward and advancement of maxilla with mandibular set-back (Group 2).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one year cephalometric data were analyzed and compared.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ratio of horizontal changes of soft tissue to hard tissue at Nt to ANS, Ls to UI, Li to LI, sPog to Pog were 1:0.60, 1:0.79, 1:0.47, 1:0.63 in group 1 respectively, and 1:0.59, 1:0.48, 1:0.83, 1:1.09 in group 2 respectively. Soft tissue changes were highly predictable at the upper lip, lower lip, and chin area. 2. The ratio of vertical changes of soft tissue to hard tissue at Nt to ANS, Li to LI were 1:0.72, 1:0.06 in group 1, and other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ratio of horizontal changes of Ls to hard tissue movements at LI(h) was 1:-0.82 in group 1 and at UI(h), LI(h) were 1:0.48, 1:0.01 in group 2. These ratios of group 1 were greater than those of group 2. 4. The direction of horizontal change of Li was the same as that of hard tissue change. The ratio of horizontal changes of Li to LI was 1:0.47 in group 1 and other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5. The changes of upper lip thickness and length were -1.6mm, -1.4mm in group 1, and -1mm, -2.7mm in group 2. 6. The ratios of thickness of upper lip to ANS, UI, LI were 1:-0.83, 1:-0.37, 1:0.11 in group 1. There was similar trend in group 2,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diction of changes in soft tissue of upper lip, lower lip, and chin were 79%, 47%, and 63% in group 1, and 48%, 83%, and 109% in group 2. There was a tendency to decrease in thickness and increase in length of the upper lip.

  • PDF

한국 치위생과 학생의 치열궁 크기 및 형태와 교합 (The Size, Form of Dental Arch and Occlus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in Korea)

  • 황지민;이춘선;한지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90-396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대생의 치열궁의 크기 및 형태와 교합유형을 조사하고 이들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치위생과 여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열궁의 크기 및 형태와 교합을 산술평균 및 빈도를 분석한 결과 상악의 견치 간 폭경은 34.38 mm, 제1대구치 폭경은 52.05 mm였으며, 견치 장경은 8.60 mm, 제1대구치장경은 28.69 mm였다. 하악은 견치 간 폭경이 26.42 mm, 제1대구치 폭경이 44.83 mm였으며, 장경은 견치가 5.54 mm, 제1대구치가 24.38 mm였다. 치열궁의 형태는 상악에서 정상이 29.0%, 협착이 60.5%, 공극이 10.5%였으며, 하악은 정상이 29.0%, 협착이 55.7%, 공극이 15.2%였다. 교합은 정상이 16.7%였으며, I급 부정교합이 55.7%로 가장 많았고, II급은 20.5%, III급은 7.1%였다. 치열궁의 형태와 교합에 따른 치열궁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 하악의 제1대구치 폭경이 치열궁의 형태가 공극인 경우에 45.95로 가장 컸으며, 정상이 44.73, 협착이 44.58을 기록하였다(p=0.032). 치열궁 형태와 교합관계는 상 하악 모두 I, II, III급 부정교합에서 협착이 71.8%, 76.7%, 60.0%와 69.2%, 60.5%, 60.0%로 가장 높았다(p<0.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과거에 비해 여러 원인으로 치열궁의 장 폭경이 줄어들고 있으며, 협착으로 인한 부정교합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정기적인 치과검진과 구강악습관의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하악 제3대구치 발거 시기가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lower third molar on the treatment of Class III malocclusion)

  • 손명호;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94-407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 시에 하악 제3대구치의 존재가 하악 치열의 원심 치군 이동(distal en masse movement) 및 치료 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을 받고, 이에 대한 교정 치료를 받은 36명(남자: 9명, 여자: 27명)을 선택하였다. 모든 환자는 제3대구치 이외의 다른 치아는 발거하지 않았다. 이를 하악 제 3대구치의 발거 시기에 따라 세 군으로 분류하였는데. 제1군은 하악 제 3대구치를 발거하지 않고 MEAW를 사용하여 치료를 종료한 12명이며, 제 2군은 MEAW 적용 후에 하악 제 3대구치를 발거한 8명. 제 3군은 MEAW를 적용하기 전에 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한 18명이다 각 환자들에 대하여, 전체 치료 기간 및 MEAW 적용 기간을 구하였으며, 치료 전 후의 측모 두부 계측 방사선 사진을 분석하였다. 각 군에 대한 치료 기간 및 치료 전 후의 변화를 ANOVA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체 치료 기간은 각 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MEAW를 적용한 기간은 제 2군(MEAW 적용 후에 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한 군)에서 가장 길었다. 제3군(MEAW를 적용하기 전에 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한 군)에서, 치료 후에 형성된 overjet이 가장 컸다. 제3군(MEAW를 적용하기 전에 하악 제5대구치를 발거한 군)의 경우 치료 후에 IMPA가 감소하였으나, 제1군(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하지 않고 치료를 종료한 군)과 제 2군(MEAW 적용 후에 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한 군)에서는 IMPA가 증가하였다 제2대구치의 원심 치체 이동량은 세 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원심 경사 이동량은 세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제 2군 제 3군 제 1군의 순이었다. 따라서, MEAW를 적용하기 이전에 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하는 것이 III급 부정교합의 교정적 치료에 더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 2군의 경우, 하악골의 전방 회전 결과, 하악 평면각의 감소가 있었으며 이러한 골격 변화가 치료 기간의 연장에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된다.

한국인 2급 1류 부정교합자의FHI(Facial Height Index)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A Cephalometric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FHI (Facial Height Index) in Angle's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Patients)

  • 박영일;이진우;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01-413
    • /
    • 1996
  • 안모의 수직적 부조화는 안면의 전방 고경 요소와 후방 고경 요소 사이의 상관 관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므로, 전 하안면 고경에 대한 후하안면 고경의 비인 FHI에 따라 수직적 control이 치료 성공의 관건인 2급 1류 부정 교합을 분류하고 FHI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여 치료의 지침으로 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교정과에 내원한 혼합치열기의 2급 1류 부정 교합자를 대조군의 FHI(평균 0.6999)의 1 S.D (0.25)를 기준으로 수직적으로 분류하였다. 임상적으로 수직적 부조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었던 상악 제 1 대 구치 치조 고경, 구치간 각도, 구개평면 기울기, 하악지 기울기 등의 영향을 검증하고, 만약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어느 요소가 FHI에 영향을 미치는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각 군간에 골격적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2급 1류 부정 교합자의 FHI에 주로 기여하는 요소는 구개 평면과 하악 평면 사이의 경사도이고, RH, ID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구개 및 하악 평면의 독립적인 경사도 보다는 상호 경사도가 중요하게 나타났다. 2급 1류 부정 교합의 양상은 FHI에 따라보면, Low group은 상악이 전돌되고 하악지의 발육이 아주 강하며 하악체의 길이 및 전후방 위치는 정상이다. Normo group은 상악은 약간 전돌되고 하악지의 발육이 정상보다 약하고 하악이 다소 후방에 위치하고, High group은 상악은 정상위치이고 하악지 및 하악체의 발육이 제일 약하며 하악이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급 1류 부정 교합자의 각 군간 FHI를 결정짓는 요소를 보면 Low group은 MP-PP각이 아주 작고, ID는 정상군과 유사하나 RH가 아주 커서 FHI가 크게 된다. Normo-group은 PP-MP각이 정상이고, ID는 정상군보다 약간 작고 RH 가 정상군보다 작아 FHI가 정상비를 유지하였다. High group은 PP-MP각이 아주 크고 ID는 정상군과 유사하나 RH가 정상군보다 작아 FHI가 작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성장기 하악골 열성장 환자의 Berlin standard activator를 이용한 부정교합 치료: 증례보고 (Berlin standard activator in the treatment of growing patients with mandibular deficiency: Case report)

  • 이승엽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8권11호
    • /
    • pp.819-828
    • /
    • 2010
  • Activator is a removable functional appliance used for correcting the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in children with the mandibular deficiency. Berlin standard activator modified from Andresen activator has following characters; do not cover the palatal surface for tongue space, relief on lingual surface of mandibular incisors and resin capping 1/3-1/2 of crown height on mandibular incisors for preventing labioversion of mandibular incisors, L-hook between maxillary lateral incisor and canine for anterior high pull headgear, relief on mandibular posterior bite block for differential eruption of posterior teeth. Two cases presented here had a mandibular deficiency and slight maxillary protrusion. First case (an 11-year-old girl) treated with Berlin standard activator and anterior high pull headgear for 13 months followed by fixed orthodontic appliance for another 29 months. Second case (a 12-year-old boy) treated with Berlin standard activator for 6 months followed by fixed appliance for another 24 months. Treatment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agittal skeletal and occlusal relationship without premolar extraction. Mandibular condyles were concentric in TMJ [ossa, and masticatory muscle activities were normalized after treatment. In the retention period facial harmony and occlusal stability was maintained.

상악골 급속확장에 의한 Angle씨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안모형태 변화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A CEPHALOMETRIC STUDY ON THE HARD AND SOFT TISSUE CHANGES BY THE PAPID PALATAL EXPANSION IN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 탁선근;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1-172
    • /
    • 1984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cephalometric changes of the soft tissue and skeletal profile subsequent 10 the rapid palatal expansion in 25 Angle's Class III cases, ranging in age from six to fifteen years, with cross-bite of the anterior teeth, underdevelopment of maxilla and facial disharmony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NS moved downward, Point A presented forward & downward movement increasing SNA and Point B presented backward & downward movement decreasing SNB. 2. Mandible was rotated to backward & forward and maxilla moved forward & downward with the bite opening and improvement of anterior teeth cross-bite. 3. Soft tissue on mandible was rotated to backward & forward following hard tissue changes causing the decrease of facial convexity angle and backward & downward rotation of Point B', Pog'. 4. Response of the upper lip was more significant in downward than forward direction, and correlated with the upper central incisor and mandible rotation. 5. Response of the lower lip was more significant in downward than backward direction, and correlated with the mandible rotation. 6. There was a rather high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skeletal profile and soft-tissue profile, 1 : LS, $\bar{1}$:Pog', Pog:LS, Pog:LI, Pog:Pog' in horizontal measurements and $\bar{1}$:Pog', Pog:LI, Pog:Pog' in vertical measure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