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lass 2 malocclusion

검색결과 496건 처리시간 0.033초

10-12세 아동의 측두하악장애와 부정교합의 유병율에 관한 연구 (Prevalence of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and Malocclusion in 10 - 12 year Old Children)

  • 이남기;최동순;이혜미;차봉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1호
    • /
    • pp.29-40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10-12세 성장기 아동에서 측두하악장애의 증상과 징후 및 부정교합의 유병율과 이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강릉시에 위치한 6개 초등학교의 10-12세 아동 465명(남자 233명, 여자 232명)을 대상으로 간이병력조사와 간이임상검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 측두하악장애 증상 중 두통의 유병율(34.6%)이 가장 높았으며, 여자(40.4%)가 남자(28.8%)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 그 밖의 측두하악장애 증상은 연령 증가에 따라 혹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측두하악장애 징후 중 단순관절음의 유병율(32.9%)이 가장 높았으며, 연령 증가에 따라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악관절 촉진시 측방 압통의 유병율은 18.1%이었으며, 연령 증가에 따라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근육 촉진시 압통에서 교근의 유병율(15.1%)은 전측두근과 후측두근 보다 높았으며, 연령 증가에 따라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냈다. 개구제한의 유병율은 30.3%를 차지하였으며, 연령 증가에 따라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모든 측두하악장애 징후의 유병율은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ngle's I급 부정교합(73.3%)이 가장 흔하였으며, 다음으로 III급 (12.9%), II급 1류 (11%), II급 2류 (2.8%) 순을 보였다. 각각의 교합상태의 유병율은 성별에 따라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측두하악장애 증상 및 징후에 관련된 교합상태는 II급 1류와 III급 부정교합이었다 (p<0.05). 본 연구결과는 성장기 아동에서 측두하악장애 증상 및 징후가 높은 유병율을 나타내, 성장기 아동의 측두하악관절 평가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성장기 III급 환자에서 MTA(modified Tandem Appliance)를 이용한 교정치료 (The treatment of skeletal Class III growing patient using MTA(Modified Tandem Appliance))

  • 문철현;남지선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6권2호통권465호
    • /
    • pp.88-99
    • /
    • 2008
  • In growing patients with Class III malocclusion and midfacial deficiency, the treatment protocol calls for orthopedic maxillary protraction and clinicians choose the facemask therapy generally. But facemask is not esthetic or comfortable to patients because it should be worn extraorally. Consequently it is difficult to obtain patients cooperation, and this often influences the treatment effects negatively. MTA (modified tandem appliance), that is a small intraoral appliance, is carried conveniently and esthetic relatively. So it seemed more patient-friendly than a facemask. While the treatment effect of this is similar to that of a facemask. This report presents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two cases treated by MTA with good results.

  • PDF

1급부정교합(一級不正咬合)에 관(關)한 두부방사선계측학적(頭部放射線計測學的) 연구(硏究) (A ROENTGENOCEPHALOMETRIC DESCRIPTION OF CLASS I MALOCCLUSION)

  • 황선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05-110
    • /
    • 1979
  • In order to define what the average Class I malocclusion looks like, 72 Class I malocclusions were compared with corresponding measurements from 90 cases of normal occlusion sample. This sample was obtained from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Infirma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 SNA, Fac(NP) to SN measurem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normal occlusions and smaller than the normal occlusion means. 2. 'Y' axis to SN, Mandibular plane to SN, $\underline{1}$ to Occlusal plane, $\bar{1}$ to NB(linear) measurem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normal occlusions and larger than the normal occlusions. 3. ANB, Occlusal plane to SN, AB to Occlusal plane, $\underline{1}$ to SN, $\bar{1}$ to SN, $\bar{1}$ to Occlusal plane measurem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s.

  • PDF

심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가진 성인 두개안면골격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RANIOFACIAL STRUCTURES IN SEVERE ADULT CLASS III MALOCCLUSION)

  • 박창진;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9-229
    • /
    • 1998
  • 심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가진 성인환자는 많은 경우 심미성증진과 기능증진을 위해 악교정수술과 교정치료를 병행하여 치료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경조직 및 연조직 측모윤곽선의 형태를 정상교합자와 비교 분석하고, 두개악안면구조의 특성을 파악하여 부조화의 소재를 규명하고자 이 연구가 시행되었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된 환자 중 ANB각의 차이가 -2이하인 18세 이상의 성인남녀 환자 112명의 측모두부 규격 엑스선 사진을 연구자료로 이용하였으며 평균연령은 23.1세였다. 대조군으로는 성인 정상교합자 50명의 측모 두부 규격 엑스선 사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 녀 각 25명씩이었다. 전후방기준으로는 Nasion perpendicular to FH line을 사용하였으며, 수평 기준선으로는 FH line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정상교합자와 비교한 심한 III급 부정교합자 안면골격의 특징을 다음과 같다. 1. 나지온점에서 프랑크프르트 수평선에 내린 수선을 기준선으로 III급 부정교합자의 경조직 측모 윤곽을 평가하였을 때, III급 부정교합자의 전두부, 상악의 전방돌출도는 정상과 유사하였으나, 하악은 정상에 비하여 심하게 돌출되어 있었다. 2. III급 부정교합자의 연조직 측모윤곽은 오목하였다. III급 부정교합자의 연조직 두께는 전두부에서는 정상과 차이가 없었으나, 상순은 두껍고 비상순각은 작았으며, 하순과 하순구부위의 연조직은 얇고 하순의 외번도는 작았다. 3. III급 부정교합자의 두개저(전방두개저의 길이, 후방두개저의 길이 및 안상각)는 정상에 비하여 작았다. 4.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두개저에 대한 중안면부(안와하연점)의 전후관계는 정상과 유사하였으나,중안면부의 길이는 짧았다. 5.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두개저에 대한 상악의 전후방관계는 정상과 유사하였으나 상악골의 길이는 짧았다. 6.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두개저에 대한 하악의 전후관계는 전방돌출되어 있었으며, 하악지 및 하악체 길이는 크고, 하악각이 크며, 이부각(Chin angle)이 작았다. 7. III급 부정교합자의 상악 절치는 전방경사되어 있었으며, 하악 절치는 설측경사되어 있었다.

  • PDF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초경시기와 골성숙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NARCHE AND SKELETAL MATURITY AMONG VARIOUS MALOCCLUSION GROUPS)

  • 김경호;백형선;손은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81-589
    • /
    • 1998
  • 부정교합 환자에서 사춘기 성장 가속화시기의 치료는 악안면 골격 부조화의 교정과 안모의 개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사춘기의 성장을 예측하고 성장 잠재력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교정학에 있어서 개개인의 성장 가속화시기와 연관해서 신체의 성장 발육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교정치료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이 에 본 연구에서는 부정교합 분류에 따라 초경시기에 차이가 있는지와 초경시 골성숙도를 조사하기 위해, 1급 부정교합자 64명, II급 부정교합자 51명, III급 부정교합자 38명의 초경 전후 3개월 이내의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골성숙도를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초경시 평균 연령은 $12.50{\pm}1.01$세 였다. 2. 각 군별 초경연령은 I급 부정교합군이 $12.36{\pm}1.04$세, II급 부정교합군이 $12.81{\pm}1.03$세, III급 부정교합군이 $12.32{\pm}0.82$세로서, II급 부정교합군이 I급 부정교합군 과 III급 부정교합군에 비해 늦은 초경연령을 보였다. 3. 초경시 수완부 골성숙도는 부정교합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4. 초경시 수완부 골성숙도는 SMI 7이 $45.10\%$, SMI 8이 $27.45\%$, SMI 9가 $10.46\%$, SMI 6이 $7.84\%$, SMI 10이 $7.84\%$, SMI 5가 $1.31\%$ 였다. 5. 초경연령과 수완부 골성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r=0.25430).

  • PDF

2급 부정교합에서 교정 전 Trainer를 이용한 조기치료 효과와 예후관찰 (The effects and follow-up of early preorthdontic trainer treatment on class II malocclusions)

  • 심연수;김아현;안소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303-309
    • /
    • 2013
  • TRAINER for Kids ($T4K^{TM}$, Myofunctional. Research Co, Australia)는 주로 구강악습관으로 혀내밀기, 구호흡, 혀의 하방위치, 혀, 손가락 빨기에 의한 변형 등에 의한 부정교합이 야기되었거나 발생하고 있는 어린이들에게 쓰이고 있는 기성 근기능 교정장치이다. Trainer 장치는 기성품으로서 작은 부피와 부드러운 질감으로 어린 환자들의 장착 동의율을 높이는 데 장점을 가진다. 장치에 포함된 lip bumper는 과도한 하순의 힘을 차단하여 주고, 하순 내측 전정을 자극하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부적절한 혀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는 요소는 환자들이 장치를 장착하는 동안 부가적인 혀 운동을 할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산본치과병원에 2010년 1월과 6월에 내원한 혼합치열기의 II급 부정교합 환자에게 약 6~10개월간 Trainer를 착용한 후 동일한 환자를 3년간 정기적으로 예후관찰(follow up)한 결과 값을 가지고 이 장치의 임상적 효용 가치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구강 내 장치의 일종인 Trainer를 혼합치열기 2급 부정교합 환자에게 사용한 결과 치료 전 존재하였던 상악 전치부 전돌 증상이 개선되어 안모의 심미적인 개선효과가 있었다. 둘째, 정상 교합에 비교하여 과도한 수직, 수평 피개 교합이 개선되었다. 셋째, 치료기간 및 예후 관찰기간동안 SNB 값은 증가하고, ANB 값은 감소하여 하악이 전방으로 성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Trainer system은 혼합치열기 2급 부정교합 어린이에서 조기 교정 전치료로 임상에 활용 가능한 방법이다.

Maxillary protraction using skeletal anchorage and intermaxillary elastics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 Esenlik, Elcin;Aglarci, Cahide;Albayrak, Gayem Eroglu;Findik, Yavuz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95-101
    • /
    • 2015
  • The aim of this case report is to describe the treatment of a patient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 maxillary retrognathia using skeletal anchorage devices and intermaxillary elastics. Miniplates were inserted between the mandibular lateral incisor and canine teeth on both sides in a male patient aged 14 years 5 months. Self-drilling mini-implants (1.6 mm diameter, 10 mm length) were installed between the maxillary second premolar and molar teeth, and Class III elastics were used between the miniplates and miniscrews. On treatment completion, an increase in the projection of the maxilla relative to the cranial base (2.7 mm) and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facial profile were observed. Slight maxillary counterclockwise ($1^{\circ}$) and mandibular clockwise ($3.3^{\circ}$) rotations were also observed. Maxillary protraction with skeletal anchorage and intermaxillary elastics was effective in correcting a case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out dentoalveolar side effects.

Angle II급 2류 부정교합의 두부방사선학적 연구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N ANGLE'S CLASS II, DIVISION 2 MALOCCLUSIONS)

  • 서정훈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9권1호통권140호
    • /
    • pp.67-71
    • /
    • 1981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 craniofacial morphology of Class II Division 2 malocclusions in children by means of roentgenocephalometry. The subjects consisted of twelve boys and thirteen girls with Class Ii, Division 2, thirty seven boys and fifty three girls with Class II, Division 1, and forty six boys and eighty one girls with normal occlusion, ranged from 10 years old to 18 years ol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anteroposterior relationship of the maxilla to the cranium in the Class II, Division 2 malocclusion similar to the normal occlusion, but the mandible was the posterior position in th the cranial anatomy.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nteroposterior relationship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between Class II, Division 1 and Class II, Division 2 malocclusions. 3. In Class II, Division 1 the axes of maxillary incisors showed labial inclination, but lingual inclination in Class II, Division 2 malocclusions. 4. Overbite was prominent one in Class II, Division 2, on the other hand overjet was distinguished in Class II, Division 1.

  • PDF

Dilemma of gonial angle measurement: Panoramic radiograph or lateral cephalogram

  • Radhakrishnan, Pillai Devu;Varma, Nilambur Kovilakam Sapna;Ajith, Vallikat Velath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7권2호
    • /
    • pp.93-97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panoramic imaging in measuring the right and left gonial angles by comparing the measured angles with the angles determined using a lateral cephalogram of adult patients with class I malocclus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gonial angles of 50 class I malocclusion patients (25 males and 25 females; mean age: 23 years) were measured using both a lateral cephalogram and a panoramic radiograph. In the lateral cephalograms, the gonial angle was measured at the point of intersection of the ramus plane and the mandibular plane. In the panoramic radiographs, the gonial angle was measured by drawing a line tangent to the lower border of the mandible and another line tangent to the distal border of the ascending ramus and the condyle on both sides. The data obtained from both radiographs were statistically compared. Resul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gonial angle measured using the lateral cephalograms and that determined using the panoramic radiographs. Furth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sured gonial angle with respect to gender. The results also showed a statistically in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of the right and the left gonial angles measured using the panoramic radiographs. Conclusion: As the gonial angle measurements using panoramic radiographs and lateral cephalogram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anoramic radiography can be considered in orthodontics for measuring the gonial angle without any interference due to superimposed im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