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dogram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산 늑대거미과의 게통분류학적 연구 (The Systematic relationship of Korean Lycosidae(Araneae))

  • 김주필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3권1호
    • /
    • pp.45-52
    • /
    • 1997
  • 계통분류학의 분지(cladistics)의 원리와 방법들을 한국산 늑대거미과(Lycosidae)의 7 속들 사이의 계통분류학적 관계를 분석하는데 적용시켰다. 형질( ∼)의 형태적, 생리적 그리고 생태적 특성에 기초를 둔 분석으로부터 분지도(cladogram) Fig. 1, 2, 3을 만들었다. 한국산 늑대거미과는 아로페늑대거미속, 논늑대거미속, 짧은마디늑대거미속, 긴마디늑대거미 속, 부이표늑대거미속, 곤봉표늑대거미속, 마른마디늑대거미속의 7속으로 나누어진다. 필자는 그간의 국내외 여러학자들이 연구한 사항을 정리하여 지금까지 짧은마디 늑대거미아과에 속 해있는 논늑대거미속과 곤봉표늑대거미속을 이 아과에서 분리하여 논늑대거미아과를 새로 설정하였다. 이로써 한국산 늑대거미과에는 부이표늑대거미아과, 긴마디늑대거미아과, 짧은 마디늑대거미아과, 논늑대거미아과의 4개 아과로 새로이 정리하였다.

  • PDF

mtDNA Diversity and Origin of Chinese Mongolian Horses

  • Li, Jinlian;Shi, Youfei;Fan, Caiyun;Manglai, Dugarjavi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12호
    • /
    • pp.1696-1702
    • /
    • 2008
  • In order to learn the origin of the Chinese Mongolian horse, we analyzed polymorphisms within the mtDNA D-loop variable region in 305 horses of 6 types of 3 different breeds, including one imported breed, one cultivated breed and 4 types of one local breed. We detected 13 different haplotypes, and subsequent sequence analysis showed that all 6 horse types were genetically diverse. By constructing a cladogram of mtDNA D-loop sequences from the 6 horse types along with homologous sequences from several other horse types obtained from GenBank, we showed that Chinese Mongolian horses have a close genetic relationship with other horse types from Mongolia. We also speculate that several Chinese Mongolian horses descended from Przewalskii horse. Additionally, the 13 haplotypes were dispersed throughout the cladogram, suggesting that Chinese Mongolian horses likely originated from multiple female ancestors. A phylogenetic map of the 6 horse types showed that the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Wuzhumuqin and Wushen types were the closest. The Xinihe and Baerhu were also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slightly more distantly related to the cultivated Sanhe breed. All five of the local Chinese horse types had a much more distant relationship with the imported Thoroughbred breed.

일배체형에 기초한 고혈압과 ACE 유전자의 연관성 분석 (Haplotype-Based Association and Linkage Analysis of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ACE) Gene with a Hypertension)

  • 김진흠;남정모;강대룡;서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18권2호
    • /
    • pp.297-31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강화연구(서일, 2004)를 통해 수집된 277명의 환자-대조군 자료와 40개의 가계 자료를 이용하여 ACE(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유전자 내에 있는 4개의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으로 이루어진 일배체형(haplotype)과 고혈압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배체형에 기초한 환자-대조군의 우도비 검정과 가계 자료의 TDT(transmission/disequilibrium test)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또한 이 일배체형을 동정(identification)할 수 있는 tag-SNPs에 기초하여 동일한 연구를 하고자 하며, Seltman 등(2003)이 제안한 분기도(cladogram) 분석 방법을 써서 일배체형의 진화 과정에서 가깝게 위치하고 질병 발생 위험이 비슷한 클레이드(clade)를 찾아내고 이 클레이드와 고혈압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Family Metridinidae (Copepoda: Calanoida)

  • Soh Ho Young;Ohtsuka Susumu;Suh Hae-Lip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권2호
    • /
    • pp.122-128
    • /
    • 1999
  • Several differences are revealed in the segmentation and setation of the antennule, maxillule, maxilliped and fifth legs between three genera of the family Metridinidae, Metridia, Pleuromamma, and Gaussia.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re cladistically analyzed on the basis of 10 morphological characters. The cladogram shows that Gaussia and Pleuromamma form a sister group, with Metridia which is the first branch to diverge within the family. The presence Of quadritheks on the male antennules of Metridia and Pleuromamma seems to be an important synapomorphy. The loss of quadritheks in Gaussia represents likely evidence of a character reversal into the ancestral condition.

  • PDF

나자식물이 꽃피는 식물로 인식되고 있는 잘못된 관행의 분석 (Analysis of the misguided practice of recognizing Gymnosperms as flowering plants)

  • 이규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88-297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식물학이 시작된 이후 57년이 넘도록 나자식물 분류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잘못 인식되어 온 관행의 원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즉, 수많은 식물(분류)학 관련 매체들에서, 나자식물(꽃이 피지 않는 종자식물)의 생식구조(cone 및 pollen)에 관한 용어 및 기재에 피자식물(꽃이 피는 종자식물)에서 사용되는 생식기관(꽃)의 용어들을 그대로 적용하여 쓰고 있다. 이로 인하여, 마치 나자식물이 꽃이 피는 식물(피자식물)인 것처럼 오도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오류의 관행은 각급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들이 꽃에 대한 개념 및 정의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커다란 혼란을 불러 일으키고 있으며, 이는 식물(분류)학 교육에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많은 식물학 관련 매체들로부터 나자식물에 대하여 잘못 표현된 용어 및 기재를 조사하여, 이를 분계도, 생식구조의 해부학, 분류체계의 역사적 배경 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제주고사리삼을 중심으로한 고사리삼과 식물의 계통 (Phylogeny of the family Ophioglossaceae with special emphasis on genus Mankyua)

  • 선병윤;백태규;김영동;김찬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35-142
    • /
    • 2009
  • 엽록체 rbcL gene의 염기서열과 포자의 형태를 바탕으로 고사리삼과 식물의 계통과 제주고사리삼속의 계통학적 위치를 추정하였다. 엽록체 DNA rbcL 염기서열의 분석 결과 고사리삼과는 뚜렷하게 고사리삼계보 (Botrychioid lineage)와 나도고사리삼계보 (Ophioglossoid lineage)의 두 군으로 구분되었다. 고사리삼계보에 있어 제주고사리삼속(Mankyua)은 Helmintostachys속과 함께 분계의 기저에서 고사리삼속(Botrychium)의 자매분류군으로 분지하였으나, 이들 고사리삼속(Botrychium), 제주고사리삼속(Mankyua), 및 Helmintostachys속 사이의 계통적 유연관계는 결정되지 못했다. 고사리삼속의 경우 Sceptridium아속과 Botrychium아속이 뚜렷한 단계통을 형성하였으나, Botrypus아속에 속한 분류군들은 고사리삼속의 기저에서 다른 고사리삼속 분류군의 자매분류군으로 분지하면서 단계통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나도고사리삼계보를 형성하는 나도고사리삼속(Ophioglossum)의 경우, Ophioglossum아속은 단계통을 형성하였으며, Ophioglossum아속에 대해 Cheiroglossa아속 및 Ophioderma 아속이 차례로 자매분류군으로 분지하였다. 염기서열 계통수, 포자의 형태 및 외부형태의 고찰에 있어 제주고사리삼속은 Helminthostachys와 유사하지만, 계통수에서 patristic distance 뿐 아니라 포자소엽의 형태가 뚜렷이 구분되어 이들 2속은 독립된 속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