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rus pectin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7초

In Vitro법에 의한 식이섬유의 포도당 및 담즙산 흡수 지연 효과 (Retarding Effect of Dietary Fibers on the Glucose and Bile Acid Movement Across a Dialysis Membrane in Vitro)

  • 이경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7호
    • /
    • pp.738-746
    • /
    • 1996
  • In order to anticipate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dietary fibers, glucose and bile acid retarding effects were experimented by using in vitro methods based on dialysis for commercial fibers and dietary fiber residue of food samples. The glucose retarding effect in commercial fibers increased in the order of alginic acid, guar gum, CM-cellulose, citrus pectin > apple pectin > $\alpha$-cellulose and the effect in food fiber residues increased in the order of sea mustard > Korean cabbage, apple > rice bran, barley, soybean, and tangerine. The bile acid retarding effect in commercial fibers increased in the order of citrus pectin, guar gum > CM-cellulose, alginic acid > apple pectin > $\alpha$-cellulose and the effect in food fiber residues increased in the order of barley, rice bran > sea mustard > tangerine > Korean cabbage, soybean > apple. The higher the retarding effect of glucose movement through the dialysis membrane, the more effective the control of the human blood glucose level. As the retarding effect of bile acid movement across the dialysis membrane increased, the human serum cholesterol level correspondingly reduced. Consequently these in vitro methods can be used as a preceding test before undertaking animal and human experiments to predict the physioloical effects of fiber residues from diverse food samples as well as commercially refined fibers.

  • PDF

감귤과 유자중의 펙틴질의 이화학적 성질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ctic Substances from Citrus Fruits)

  • 이헌주;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12
    • /
    • 199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solated pectic substances from Citron, Satsuma mandarin, Marumero, and Natsudaidai. Among varieties, Citron had the highest value of isnoluble pectin and Marumero had the hightest ratio of soluble pection. The total pectin contents isolated by 2% Sodium hexameta-phosphate(SHMP) varied in the range of 1.85% ~ 2.63%. Anhydrogalacturonic acid(AUA) contents were 78.64%~89.14% and were lower than commercial pectin. Isolated pectin contained above 7% methoxyl content and above 50% esterification. The apparent molecular weight of commercial pectin and isolated pectin were 72,000 and 42,000~46,000 respectively. Esterification and ester methoxyl content were the lowest and apparent molecular weight was the highest in Satsuma mandarin. Citron's values were a little higher in esterification and ester methoxyl content and lower in apparent molecular weight than the others.

  • PDF

감귤류 펙틴 용액의 리올리지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Citrus Pectin Solutions)

  • 황재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99-806
    • /
    • 1995
  • 고유점도가 3.75 dL/g인 감귤류 펙틴 용액의 전단점도 및 점탄성에 대한 농도의존성을 연구하였다. 전형적인 자수법칙 흐름 현상이 2.0% 이상의 펙틴 농도에서 관찰되었으며, 전단점도의 전단속도 의존성은 농도의 증가에 따라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eta}_{sp.o}$$C[\eta]$를 양대수 좌표에 그렸을 때 묽은 영역에서 진한 영역으로의 전이를 나타내는 $C^{*}[\eta]$는 약 4.0이었으며, 이때 ${\eta}_{sp.o}$의 값은 약 10.0을 나타내었다. 묽은 용액$(C[\eta]과 진한 용액$(C[\eta]>C^{*}[\eta])$에서 ${\eta}_{sp.o}$ $C[\eta]$의 기울기는 각각 1.1과 4.5였다. 전단점도를 ${\eta}/{\eta_0}$${\gamma}/{\gamma}_{0.8}$에 대하여 그렸을 때 $2{\sim}5%$의 농도에서는 잘 중첩되었으나, 6%의 고농도에서는 중첩곡선에서 벗어나는 현상을 보였다. 펙틴 용액의 점탄성을 조사한 결과 전 농도범위에서 손실탄성률$(G^{\prime\prime})$의 값이 저장탄성률$(G^\prime)$보다 훨씬 높은 값을 보여 점성이 전체 점탄성을 지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 농도에서 전단점도는 복소점도와 거의 비슷한 값을 보여 Cox-Merz 법칙에 잘 부합하였으나, 농도가 높아질수록 두 값은 차이를 보였다.

  • PDF

펙틴분해물의 항균특성과 식품보존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Pectin hydrolysate and its Preservative Effect)

  • 박미연;최승태;장동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9-105
    • /
    • 1998
  • Citrus 펙틴을 효소로 가수분해시켜 얻은 펙틴 분해물이 35%가 되면서부터 항균력이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하여 75% 이상에서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완전분해(100)%)된 펙틴 분해물을 배지에 2.0% 첨가하면 $35^{\circ}C$에서 24시간까지 Escherichia coli ATCC 11229의 생육을 완전히 억제하였다. 펙틴분해물의 항균력은 pH 4.9~5.5 범위에서 가장 좋았으며 균종별로는 젖산균을 제외한 대부분의 세균에 대하여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젖산균과 곰팡이류에 대해서는 항균효과가 약하였으며 효모에 대하여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대부분의 세균은 펙틴 분해물을 2.0~3.0% 첨가하므로써 $35^{\circ}C$에서 48시간까지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으나 Lactococcus Lactis ATCC 19435, Lactobacillus Bulgaricus, Pencillium funiculosum ATCC 11797은 대조구에 비하여 30~40% 만이 억제되었으며 Saccharomyces formosensis와 Saccharomyces cerevisiae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한편, glycine, ethanol, sodium ascorbate, sodium chloride 또는 sodium acetate 등의 화학보존료를 병용하면 펙틴 분해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항균력이 상승하였다. 김치에 펙틴 분해물을 1.0% 첨가하여 $4^{\circ}C$에 저장하면 섭취하기에 알맞은 김치를 pH를 유지하는 기간이 대조군에 비하여 적어도 15일 이상 연장되었다. 또한 빵속에 펙틴분해물을 1.5% 첨가하면 $25^{\circ}C$에서 저장 4일째 대조구에 비하여 4 log cycles 그리고 저장 10일까지도 2 log cylces 정도 균의 성장이 억제되었다. 따라서, 펙틴 분해물은 천연식품보존제로 이용가능하며 특히, 젖산균이나 효모에 대해서는 항균작용이 미약하거나 없으므로 젖산균이나 효모를 이용하는 발효식품의 품질보존제로서 아주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기존의 화학 보존료와 병용하므로써 화학 보존료의 첨가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 PDF

감귤류 펙틴의 리올로지 특성에 대한 NaCl 첨가효과 (Rheological Properties of Citrus Pectin Solutions in the Presence of NaCl)

  • 황재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870-874
    • /
    • 1999
  • 농후한 점도영역에서 감귤류 펙틴용액에 NaCl을 첨가하였을 때 점도 및 점탄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NaCl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펙틴용액의 점도도 점차 증가하였으며, 1.5 M의 NaCl을 첨가한 경우 점도가 약 3배 증가하였다. NaCl의 첨가에 따른 점도특성의 일반화 곡선으로서 ${\eta}/{\eta}_0$$\dot{\gamma}/\dot{\gamma}_{0.8}$ 관계는 상대적으로 낮은 중첩도를 보였다. Zero-shear viscosity $({\eta}_0)$와 NaCl 농도(C)와는 ${\eta}_0\;{\propto}\;10^{0.32C}$의 관계를 보였으며, 이때 상관계수(R2)는 0.995였다. 한편,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저장탄성률(G#)과 손실탄성률(G@)이 모두 증가하였다.

  • PDF

납의 In Vitro 흡수에 미치는 식이 섬유의 억제효과 (A Suppressive Effect of Dietary Fiber on in Vitro Absorption of Lead)

  • 이서래;이경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3-67
    • /
    • 1989
  • 식이섬유가 중금속인 납의 흡수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투막을 이용한 in vitro법으로 흡수실험을 실시하였다. 식이섬유중 cellulose는 억제효과를 거의 기대할 수 없었고 guar gum과 carboxymethyl cellulose는 약간 나타났으며 citrus pectin과 sodium alginate는 매우 크게 나타났다. 섬유질 식품중 쌀겨, 밀기울, 배추, 무우, 미역은 납의 흡수억제 효과가 컸으며, 귤, 사과, 김은 효과가 다소 적었다.

  • PDF

감과피와 대추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의 포도당, 담즙산 , 카드뮴 투과 억제에 관한 in vitro 연구 (Retarding Effect of Dietary Fiber Isolated from Persimmon Peels and Juubes on in vitro Glucose, Bile Acid, and Cadmium Transport)

  • 이혜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4호
    • /
    • pp.809-822
    • /
    • 1998
  • Retarding effects of the dietary fibers from persimmon peels (PTDF ; total dietary fibers, PIDF ; insoluble dietary fibers, PSDF ; soluble dietary fibers) and dried jujubes (JTDF ; total dietary fibers, JIDF ; insoluble dietary fibers, JSDF ; soluble dietary fibers) on glucose, bile acid and cadmium transport were evaluated by in vitro dialysis sack method. These effec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ommerical citrus pectin, CM-cellulose (CMC) and $\alpha$-cellulose. Yields of PTDF, PIDF and PSDF on wet weight basis were 14.04% , 11.61%, 1.76%, respectively, and those from dried jujubes were 14.80%, 9.98% and 2.80%, respectively. The amount of soluble fibers in JTDF was higher than PTDF. Soluble fibers had the retarding effects on glucose transport but insoluble fibers did not have. CM-cellulose showed the greatest retarding effect, which was followed by citrus pectin and JSDF. Among the soluble fibers, PSDF had the lowest retardig effect. Retarding effect of TDF was dependent upon the amount of SDF in TDF. Regarding bile acid dialysis , insoluble dietary fibers as well as soluble dietary fibers showed the retarding effects, among which JSDF had the greatest retarding effects, among which JSDF had the greatest retarding effect, followed by citrus pectin. Among the extracted fibers, dietary fibers from dried jujube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se from persimmon peels, and SDF seemed to show higher retarding effects than IDF and TDF. On cadmium transport retardation , all dietary fibers except $\alpha$-cellulose had the retarding effects and PSDF showed the greatest effect which was followed by PIDF and CMC, The extracted fibers showed higher retarding effect on Cd transport than glucose and bile acid transport, and dietary fibers from persimmon peels showed higher retarding effects than those from dried jujubes.

  • PDF

Synergistic Effects of PectaSol-C Modified Citrus Pectin an Inhibitor of Galectin-3 and Paclitaxel on Apoptosis of Human SKOV-3 Ovarian Cancer Cells

  • Hossein, Ghamartaj;Keshavarz, Maryam;Ahmadi, Samira;Naderi, Nim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561-7568
    • /
    • 2013
  • Galectin-3 (Gal-3) is a carbohydrate-binding protein which is thought to be involved in cancer progression but its contribution to epithelial ovarian cancer (EOC) remains unclear. The present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role of Gal-3 in chemoresistance of the human SKOV-3 ovarian cancer cell line to paclitaxel (PTX) using recombinant human Gal-3 (rhGal-3) and PectaSol-C modified citrus pectin (Pect-MCP) as a specific Gal-3 competitive inhibitor. Our results showed 41%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36% decreased caspase-3 activity and 33.6% increased substrate-dependent adhesion in the presence of rhGal-3 compared to the control case (p<0.001). Treatment of cells with a non-effective dose of PTX (100nM) and 0.1% Pect-MCP in combination revealed synergistic cytotoxic effects with 75% reduced cell viability and subsequent 3.9-fold increase in caspase-3 activity. Moreover, there was 39% decrease in substrate-dependent adhesion compared to control (p<0.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hibition of Gal-3 could be a useful therapeutic tool for combination therapy of ovarian cancer.

한국산(韓國産) 감귤과피(柑橘果皮)의 효율적(效率的)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펙틴, 헤스페리딘, 나린진의 함량(含量)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Korean Citrus Peel Waste -II. Contents of Pectin, Hesperidin and Naringin-)

  • 장호남;남경은;허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51-254
    • /
    • 1977
  • $60^{\circ}C$의 열풍으로 1시간 동안 유속 160 fpm의 속도로 건조한 감귤과피에서 펙틴, 헤스페리딘, 나린진을 추출하여 페과피의 효율적 이용을 도모하고저 하였다. (1) 추출된 펙틴의 함량은 전 펙틴질(온주밀감 26.0%, 하밀감 : 28.5%)로 가장 높았고 용해 펙틴질의 제일 낮았다(온주 : 13.5%, 하 : 15.6%). 제3의 방법(pH 1.5에서 물로 추출 후 이소푸로필 알콜로 침전)에 의한 펙틴 함량은 전 펙틴질과 용해 펙틴질의 중간 정도였다(온주 : 18.1%, 하 : 20.8%). 무수 유론산의 함량은 제3의 방법에 의한 펙틴(온주 : 92.0%, 하 : 90.3%)에 가장 높았으며 용해 펙틴질에 80%(온주및 하밀감), 외국제 (Sunkist Groups, 미국)의 경우 71.6% 및 전 펙틴질의 경우가(온주 : 58.0%. 하 : 63.4%) 제일 낮았다. (2) 전 펙틴질의 메톡실 함량이 가장 낮았고(온주 : 4.81%. 하 : 4.88%) 다른 펙틴들과 커다란 차이는 없었다(5.27%-7.20%). (3) 젤리의 강도는 제3의 방법에 의한 펙틴의 경우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외제 펙틴, 용해 펙틴질, 전 펙틴질의 순서였다. (4) 온주밀감 과피의 헤스페리딘 함량은 5.07%(건조중량비)였고 하밀감 과피의 나린진 함량은 3.03%(건조중량비)였다.

  • PDF

Ganoderma lucidum이 생산하는 Polygalacturon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Polygalacturonase from Ganoderma lucidum)

  • 윤숙;김명곤;홍재식;김명숙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8-308
    • /
    • 1994
  • Ganoderma lucidum이 생산하는 polygalacturonase의 유용활용 방안을 위한 효소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버섯배양물로부터 효소를 생산하고 정제하여 그 특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Endo-polygalacturonase는 배양여액으로부터 ammonium sulfate 침전, Biogel P-100, DEAE-cellulose, Sehpadex G-15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정제되었고, Sehpadex G-150 column chromatography에서 re-gel filtration까지 실시한 결과 specific activity가 892unit/mg protein로 배양여액보다도 약 56배의 정제도를 나타냈으며, exo-polygalacturonase는 ammonium sulfate침전, Biogel P-100,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까지 부분정제한 결과 9.2배의 정제도를 나타냈다. SDS 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을 실시한 결과 단일 band를 나타냈으며, 분자량은 54,000 dalton이었다. Endo-polygalacturonase와 exo-polygalacturonase는 citrus pectin이나 pectic acid보다 apple pectin에 친화도가 높았으며, Lineweaver-Burk plot로부터 계산된 apple pectin에 대한 Km 치는 각각 1.44와 10.6 mg/ml이었다. 이 두 효소의 작용 최적 pH는 4.0이었으나 pH 안정성에서는 endo-polygalacturonase는 $pH\;4.0{\sim}6.0$에서, exo-polygalacturonase는 $pH\;3.5{\sim}5.5$ 범위에서 안정하였다. 효소반응 최적 온도는 endo-polygalacturonase는 $40^{\circ}C$ 이었으나 exo-polygalacturonase는 $60^{\circ}C$에서 최대의 활성을 나타냈고 열안정성도 exo-polygalacturonase가 endo-polygalacturonase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도 안정하였다. 또한 endo-polygalacturonase는 $Ca^{++}$$Mn^{++}\;ion$에, exo-polygalacturonase에는 $Ca^{++}\;ion$에 의해 효소반응이 촉진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