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ron seed extract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8초

천연 물질의 항균 효과 (The effect of Natural Antimicrobial Agent)

  • 조춘구;한창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87-99
    • /
    • 1999
  • 천연 물질로 지용성인 뉴질랜드산 차나무 정유(Manuka oil), 그 구성 성분인 $\alpha$-pinene, Oxy’less clear, 수용성인 자몽 종자 추출물(Citrex) 및 그 구성성분인 R-limonene의 항균력 을 측정 평가하여 항균력을 보다 향상시키고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부제의 처방을 제안하였다. 항균력 측정에는 disk diffusion법이 사용되었으며, 균주로는 그람 음성균인 Escherichia coli와 그람 양성균인 Staphylococcus aureus을 사용하였다. Manuka oil과 $\alpha$-pinene은 항균력이 10${\mu}\ell$/paper disk일 때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2${\mu}\ell$/paper disk이하의 소량의 시료에서는 Manuka oil이 $\alpha$-pinene에 비해 월등하게 우수하였다. Citrex가 R-limonene보다 두 균주에 대하여 항균력이 모든 농도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Oxy’less clear은 두 균주에 대하여 모든 농도에서 파라벤류 propyl para hydroxybenzoate(PPHB)나 R-limonene보다는 항균효과가 우수하며 $\alpha$-pinene과는 비슷하게 나타났고, Manuka oil과 Citrex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 본 결과 Manuka oil과 Citrex가 다른 물질들에 비해 항균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균력이 우수한 지용성 물질 Manuka oil과 확산도가 큰 수용성 물질 Citrex를 적절히 혼합하여 항균력을 향상시키고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상적인 혼합비(Manuka oil : Citrex)를 구하였는데 Escherichia coli에 대해서는 75 : 25이었고 Staphylococcusureus에 대해서는 25 : 75 이었다.

  • PDF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유자씨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ion on Citron Se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우관식;정지영;황인국;이윤정;이연리;박희정;박의석;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84-390
    • /
    • 2009
  • 유자씨 추출물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에 대한 최적 추출조건을 선정하기 위하여 추출온도($30{\sim}70^{\circ}C;\;X_1$), 추출시간($1{\sim}5$시간; $X_2$) 및 교반속도($200{\sim}600rpm;\;X_3$)를 독립 변수로 추출된 추출물의 추출수율, 총 polyphenol 함량, DPPH radical 소거활성 및 아질산염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수율의 최적조건은 추출온도, 추출시간 및 교반속도 각각 $50.23^{\circ}C$, 3.03시간, 400.06 rpm으로 최대 20.23%로 예측 되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의 최적조건은 $49.88^{\circ}C$, 2.72시간 및 400.39 rpm으로 최대 4.37 mg/g으로 예측되었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50.28^{\circ}C$, 3.42시간 및 399.96 rpm으로 최대 49.69%로 예측되었으며, 아질산염소거활성은 추출온도, 추출시간 및 교반속도 각각 $49.19^{\circ}C$, 0.68시간 및 602.95 rpm으로 최대 47.79%로 예측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자씨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위한 최적 조건은 추출온도, 추출시간 및 교반속도가 각각 $50^{\circ}C$, 3시간, 400 rpm로 결정하였으며, 이 조건에서 추출물을 제조하여 추출 수율,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radical 소거활성 및 아질산 염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각각 20.31%, 4.22 mg/g, 49.54% 및 44.30%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