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ron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2초

유자 과피가루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쿠키의 품질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gar Cookies using Citron Powder)

  • 공희정;김혜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5호통권95호
    • /
    • pp.712-719
    • /
    • 2006
  • Sugar cookies using various levels of citron powder were prepared an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pH of the dough was relatively lower in the groups with increased citron powder. The yellowness of dough colo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value of 23.47 to 36.99 as the substitution levels of citron powder content was increased (p<0.05). The degree of gelatinization of the dough measured using DSC was reduced with increasing delayed with the increased amount of the powder content. Cookies with powders content of 4-6 g showed significantly lower water contents than compared to those with 0-2 g(p<0.05). The spread factor tended to decrease as the substitution levels of the sample groups were increased. The results of sensory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itterness and lower sweetness with the 6 g substituted sample group at (p<0.05). Desired citron cookie was prepared with the group of a substitution levels of 4 g citron powder from the confounded viewpoint of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that were investigated.

유자 첨가 동치미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Dongchimi added with Citron (Citrus junos))

  • 장명숙;김나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86-292
    • /
    • 1997
  • 본 연구는 유자를 0, 1, 2, 4, 6%로 첨가하여 동치미를 담그고 1$0^{\circ}C$에서 저장하였을 때 동치미 발효숙성 중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 유자가 동치미의 발효 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1. 발효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pH는 모든 처리구에서 점차로 낮아졌는데, 유자 첨가구의 pH가 유자를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보다 담근 직후에도 낮았으며, 전반적으로 낮았다. 2. 총산도와 탁도는 발효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유자 첨가량이 많을수록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나 다소 빨리 숙성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는데 발효숙성말기인 36일에는 0% 처리구의 수치가 급격히 높아져 0% 처리구와 비슷하였다. 3. 환원당은 발효숙성 15일과 23일째에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그 후 크게 감소하였다. 4.총 비타민 C는 유자를 첨가한 처리구들이 첨가하지 않은 것 보다 발효숙성 초기에 4배 이상의 많은 함량을 보였으며 유자 첨가량이 많을수록 전반적으로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5. 발효숙성이 시작되면서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서서히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유자 첨가구의 젖산균수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며 2% 첨가구가 마지막까지 높은 젖산 균수를 유지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에서는 전반적으로 유자를 첨가한 동치미의 총 비타민 C함량이 유자를 첨가하지 않은 동치미보다 많았으며, 이화학적 특성에 있어서 발효숙성 초기에는 유자를 첨가한 처리구들의 발효숙성이 다소 빨리 진행되었으나, 발효숙성말기에는 오히려 1~4% 첨가한 동치미가 저장성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감귤류를 첨가한 증편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Properties of Jeungpyun added with Citrus Fruits)

  • 양미옥;최원석;조은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719-726
    • /
    • 2007
  • The results of adding citrus to Jeungpyun in order to diversify the kinds of Jeungpyun available as well as enhance the usage of citrus fruits, were assessed in this study. During fermentation pH was reduced carbon dioxide development was lowest in the citron product and then the tangerine, cumquat and control Jeungpyun, respectively. Volume and specific volume of Jeungpyun were highest id the cumquat Jeungpyun. For all the citrus additions, except for the cumqu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The tangerine product showed the highest redness and yellowness among the types of citrus, fellowed by cumquat, citron, and lemon. In the textural property tests, hardness was highest in the lemon Jeungpyun. Then, less hardness occurred in the order of citron, control, tangerine and the cumquat Jeungpyun was the softest. In the sensory evaluation, preferred color was in the order of tangerine, cumquat citron, and lemon Jeungpyun. Ultimately, the tangerine Jeungpyun had the best color. In the taste test, preferred taste was in the order of cumquat, citron, tangerine, and lemon Jeungpyun, all resulting in better taste than the pure Jeungpyun. The softness of the Jeungpyun was good in the order of cumquat, tangerine, control, citron, and lemon Jeungpyun. Thus, the cumquat Jeungpyun was softest, while lemon Jeungpyun was hardest. Finally, overall acceptance was good in the order of cumquat, tangerine, citron, control, and lemon Jeungpyun.

  • PDF

유자즙을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발효기간 중 이화학적 특성 및 제조된 막걸리의 관능적 특성 (Ferment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Liquor (Makgeolli) Added with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Juice)

  • 양희선;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38-445
    • /
    • 2011
  • 유자즙을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적절한 유자즙 첨가량을 확정하기 위하여 유자즙의 첨가량을 3, 6, 9%로 하여 막걸리를 제조하여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막걸리의 이화학적 특성은 몇몇 결과를 제외하고는 각 실험구들 간에뚜렷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그 중, 유자즙 6%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경우 이화학적 특성은 다른 실험구들과 거의 유사한 특징을 보이며, 관능적 특성이 가장 우수하므로 유자즙을 6% 첨가한 막걸리의 제조가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연구를 통해 유자에 함유되어 있는 hesperidin, naringin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의 섭취가 유자즙을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를 통해서 가능하다고 보여지며, 유자의 활용 방안 중 한 가지 대안을 제시했다고 생각된다.

유자의 향미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avor Constituents of the Citron (Citrus junos))

  • 강성구;장미정;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04-210
    • /
    • 2006
  • 유자의 부위별 주요 화학적 성분을 조사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무기질,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및 향기성분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유자의 부위별 비율은 과피가 44.7%, 과육이 42.9% 및 씨가 12.4%로 나타났다.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은 과피가 과육에 비하여 더 높게 나타났으며, 수분, 탄수화물 및 가용성물질은 과육이 과피보다 높게 나타났다. 당은 과피에 6.2%, 과육에 9.8% 이며 과피는 과당이 3.3%로 가장 많고, 과육은 포도당이 4.3%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무기물은 K가 과피에 309 mg%, 과육에 175 mg% 이었고, 인(P)은 과피에 15.9 mg%, 과육에 22.4 mg%로서 인을 제외하고는 과피에 무기질의 함량이 높았다. 유기산은 6종이 검출되었는데, 유기산의 총량은 과피 4.6%, 과육 6.6%이었다. 과피는 구연산, 수산, 사과산 순으로 많았으며, 과육은 구연산, 사과산, 수산의 순이었다. 구성아미노산은 과피에 671.9 mg% 과육에 315.7 mg% 함유되었으며, 그 함유 순서는 과피와 과육 공히 aspartic acid, proline, glutamic acid, histidine이었고, 유리아미노산은 과피 324mg%, 과육280mg%이며 과피와 과육 공히 proline, ser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의 순이었다. 이들은 아미노산은 함량이 높아 전체의 대부분을 차지한 반면 다른 아미노산은 낮은 함유량을 보이고 있다. 유자의 향기성분은 약49여종이 분리되었으며 그 중 26종을 동정할 수 있었고, 과피는 추출법에 관계없이 limonene 80%, terpinene 10%로서 이 2가지 성분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과육에서는 증류법이 linalool(28%)과 limonene(21%), Purge & trap방법이 limonene(81%)과 carene(8%) 및 methanol추출법 이 limonene(40%)과 linalcol (11%)등으로 각각 나타나 추출방법에 따라서 주 성분과 조성 비율이 차이를 보였다.

Rosemary와 유자과피 분말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POV, TBARS, 미생물 및 아질산염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Rosemary and Citron Peel Powder on POV, TBARS, Microorganisms and Nitrite Scavenging of Emulsion-type Sausages)

  • 이제룡;곽석준;정재두;하영주;어용준;조현소;성낙주;도창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647-654
    • /
    • 2005
  • 본 연구는 유화형 소시지 제조시 rosemary, 유자과피 분말 단일 및 rosemary와 유자과피 분말을 혼합 첨가하여 소시지를 제조한 다음 소시지의 POV, TBARS, 미생물 및 아질산염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소시지의 POV 값은 rosemary, 유자과피 분말 단일 및 혼합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며, 특히 저장 60일에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POV 값을 나타내었다(P<0.05). 소시지의 TBARS은 저장 20일과 40일에 rosemary, 유자과피 분말 단일 및 혼합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며(P<0.05),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가장 낮은 TBARS를 나타내었다. 소시지의 미생물 수는 저장 20일과 45일에 rosemary, 유자과피 분말 단일 및 혼합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P<0.05). 소시지의 아질산염 소거효과는 rosemary, 유자과피 분말 단일 및 혼합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저장 20일과 60일에 rosemary 첨가 소시지는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이상에서, rosemary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는 대조구에 비해 지방산화와 미생물 성장을 지연시키면서 잔존 아질산염 소거능이 높았고, rosemary와 유자과피 분말 혼합 첨가의 시너지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한 히비스커스 첨가 유자 음료 제조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preparation method of citron (Citrus junos Sieb.) beverage containing hibiscu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창주;이우진;박종석;김성우;정성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87-194
    • /
    • 2021
  • 히비스커스와 유자를 이용하여 생리활성과 소비자 선호도를 증대시키는 유자음료제조의 최적 배합비율을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유자 음료의 제조 조건으로는 유자농축액의 농도(40, 50, 60%), 구연산의 비율(0.34, 0.64, 0.94%), 히비스커스의 비율(0.3, 0.5, 0.7%)을 달리하여 품질 특성과 생리활성을 조사하고, 소비자기호도를 평가하여 최적 배합비율을 선정하였다. Box-Behnken design을 이용한 히비스커스 유자 음료의 이화학적 특성 결과는 당도와 색도의 변화는 유자농축액, 산도는 구연산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었다. 항산화 활성은 유자농축액과 히비스커스의 교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자농축액은 항산화 활성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나 히비스커스는 유자농축액과 혼합하면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히비스커스의 첨가 양이 최소가 될 때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소비자 기호도 평가 결과 유자농축액 40%, 구연산 0.34%, 히비스커스 0.5%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리활성과 소비자 기호도 평가결과를 종합해 볼 때 히비스커스 유자 음료의 최적 조건은 소비자 기호도 평가의 최적 조건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결과는 다양한 히비스커스와 유자를 이용한 식품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되어 향후 제품개발수행에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호박꿀차의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umpkin-Citron-Honey Drink)

  • 박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25-630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pumpkin-citron-honey(PCH) drink. The product is made fro natural ingredients : pumpkin, citron and honey. It does not contain any kind of food additives. It's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are as follows. The product is a water soluble pumpkin(WSP) paste from natural ingredients only. It is easily soluble in water, and becomes a PCH drink with a good taste and a beautiful color. Dried pumpkin powder and dried WSP paste powder contain β-carotene which contents are 1/3 of total carotenoids.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of WSP paste and PCH drink showed good response to number of people.

  • PDF

건조유자과피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발효기간 중 이화학적 특성 및 제조된 막걸리의 관능적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with Dried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Peel)

  • 양희선;황수정;이성희;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03-610
    • /
    • 2011
  • 건조유자과피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최적 첨가량을 확정하기 위하여 건조유자과피를 각각 3, 6, 9%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해서 건조유자과피를 첨가한 막걸리에서 관능적 결과가 더 낮았고, 이는 건조유자과피의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기호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거의 모든 이화학적 특성에서 각 샘플들 간의 유의차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관능적 기호도로 볼 때 건조유자과피는 3% 첨가량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그러나 대조구에 비해서 관능적 기호도가 낮으므로 이는 적절한 첨가 형태라고 볼 수 없으며, 향후 적정 첨가시기, 발효 기간 등에 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국산(韓국産) 유자의 향기성분(香氣成分) (Aroma Components in Korean Citron (Citrus medica))

  • 이현유;김영명;신동화;선봉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61-365
    • /
    • 1987
  • 유자의 이용성 확대를 위하여 유자원료와 유자차의 이화학적 특성, 향기성분 및 유자씨의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였다. 유자의 평균충량은 196g으로 이중 과즙이 18.8%, 씨 16.3%, 껍질 46.6%이고 과육이 28.3%였다. 유자원료의 당도는 $8.8^{\circ}\;Bx$, 산도 2.1%로 당산비율은 4.2이었고 유자차는 당도 $45^{\circ}\;Bx$, 산도 0.9%였다. 유자에는 fructose, glucose, sucrose가 각각 1.17%, 1.01%, 0.93% 함유되어 있으며 유자차에는 4.46%, 5.53%, 3.27%였다. 유자씨의 성분은 조지방 34.2%, 조단백 15.5% 함유되어 있고, 지방산은 palmitic acid 21.6%, stearic 3.1%, oleic 35.2%, linoleic 37.6%, linolenic이 2.6%였다. 유자의 향기성분은 limonene이 72.4%로 가장 많았으며 탄화수소류 17종, 알코올류 4종, 알데하이드 1종, 기타 6종을 포함 28종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