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ation data analysis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3초

거대 인용 자료를 이용한 문서 추천 방법 (Documents recommendation using large citation data)

  • 채민우;강민수;김용대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5호
    • /
    • pp.999-101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논문이나 특허 등의 문서들의 인용 정보를 활용하여 연관성이 높고 중요한 특허를 추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문서 간의 연관성 지표인 공통피인용횟수와 중요도 지표인 HITS를 적절한 형태로 결합한 뉴먼 커널로부터 두 정보의 반영 정도를 조율하는 것이 핵심이다. 제안하는 방법은 미래의 인용에 대한 예측 오차를 최소화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뉴먼 커널의 조율모수 ${\gamma}$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거대 인용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계산 기술에 대해서 자세히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미국 등록 특허 400만 건에 대한 실증적 자료 분석을 시행한다.

효율적인 인용분석을 위한 한국 SCI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 Korea SCI System for Efficient Citation Analysis)

  • 이계준;조현양;최재황;윤희준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1권2호
    • /
    • pp.174-182
    • /
    • 2004
  • 정보가 생성되어 소멸되기까지의 과정에서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내기 위해서 어떠한 형태로든 서비스되고 있는 정보를 수집하여 이것을 참고하고 인용하여 새로운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인용한 문헌과 인용된 문헌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고 관련 정보를 저장하여 서비스에 반영하는 KSCI (Korea Science Citation Index)을 구축하였다. KSCI 시스템은 현재 ISI사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SCI(Science Citation Index)가 가지는 문제점인 순환 적인 검색을 해결하기 위하여 패스인코딩(Path Encoding) 색인 기법을 사용하여 본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서 저장의 측면에서 약 8.98%의 효율과 검색의 측면에서 약 40% 정도의 결과를 얻었다.

Bibliometric Approach to Research Assessment: Publication Count, Citation Count, & Author Rank

  • Yang, Kiduk;Lee, Jongwook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권1호
    • /
    • pp.27-41
    • /
    • 2013
  • We investigated how bibliometric indicators such as publication count and citation count affect the assessment of research performance by computing various bibliometric scores of the works of Korean LIS faculty members and comparing the rankings by those scores. For the study data, we used the publication and citation data of 159 tenure-track faculty member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epartments in 34 Korean universities. The study results showed correlation between publication count and citation count for authors with many publications but the opposite evidence for authors with few publication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as authors publish more and more work, citations to their work tend to increase along with publication count. However, for junior faculty members who have not yet accumulated enough publications, citations to their work are of great importance in assessing their research performance. The study data also showed that there are marked differences in the magnitude of citations between paper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and papers published in international journals.

국내 통계학 관련 학술지의 인용지수 비교 및 네트워크 분석 (Network analysis and comparing citation index of statistics journals)

  • 원동기;최경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2호
    • /
    • pp.317-325
    • /
    • 2014
  • 최근 들어 연구자의 연구능력평가와 함께 학술지의 내용과 질적 수준에 대한 평가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를 중심으로 통계학 관련 국내 학술지들이 어떠한 수준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다양한 KCI 인용지수를 이용하여 비교해보고, 상호인용 빈도를 활용하여 학술지 간 연결망을 사회네트워크분석 관점에서 조망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자기인용비율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 물리학, 화학에 비하여 통계학 관련 학술지들의 영향력지수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타 학술지들에서 통계학 관련 학술지들을 인용한 빈도는 높지 않았다. 셋째,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의 경우 연결망분석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나, 노력의 여지는 있어 보인다.

특허인용 수명분석을 이용한 기술의 경제적 수명 추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echnology Economic Life Using Patent Citation Life Analysis)

  • 성웅현;유선희
    • 지식경영연구
    • /
    • 제8권1호
    • /
    • pp.49-63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a new methodology that allows the influence of technological obsolescence and technology composite competitiveness to estimate technology economic life. In this paper the patent citation life analysis is used to estimate technology representative life, and technology residual life analysis is employed to estimate residual life using the linear and inverse functions. The technology economic life will be determined by combining the estimation results of patent citation life analysis and technology residual life analysis. This paper includes an example of applying it to the US patent data for 5 communications areas. Therefore, this logical concept can be applied usefully to determine the technology economic life and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obtain credibility of technology valuation.

  • PDF

데이터사이언스 연구의 지적 구조 분석 및 시각화 (Analyzing and Visualiz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Data Science)

  • 박형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18-29
    • /
    • 2022
  • 본 탐색적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Clarivate Analytics사의 Web of Science(WoS)에 색인된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논문을 분석의 대상으로 했다. 2012년부터 2021년까지 WoS에 색인된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논문 총 17,997편을 분석했다. 데이터사이언스 연구의 지적 구조를 집중 분석하기 위해 기술 분석, 인용 분석, 공동 저자 네트워크 분석, 동시 출현 네트워크 분석, 서지 결합 분석, 동시 인용 분석을 수행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연구의 방향성 모색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인용정보 데이터를 활용한 과학기술 학술정보서비스 개발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using Citation Information Data)

  • 박유나;배수영;이혜진;이석형;최희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41-249
    • /
    • 2020
  • 학술자원의 인용정보는 선행연구로부터 흘러온 지식의 흐름을 담고 있어 관계론적 측면에서 파편화된 연구를 연결할 수 있다. 인용관계 기반의 정보는 연구의 종합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어 기존 연구결과를 발전시키거나 관련된 연구 분야를 도출하여 융합연구를 촉진하는 등 연구논문의 새로운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단순 공개수준으로 제공하던 학술문헌 인용정보 데이터를 인용관계를 통해 재생산하여 시계열 기반으로 인용, 피인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인용이 전파되는 과정에 단계를 설정하여 인용 범위를 넓히며 연구의 흐름을 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인용, 피인용 문헌의 주요 연구 내용을 시계열기반으로 시각화하는 학술정보서비스인 논문타임라인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이는 인용정보가 담고 있는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서비스로 학술자원을 접근하는 새로운 방법이 될 것이다.

특허인용분석을 통한 기술분야의 수명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Technology Life Span Using Analysis of Patent Citation)

  • 유선희;이용호;원동규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11
    • /
    • 2006
  • A citation-based method of estimating the life span of a patented technology is proposed In this study. The suggested framework Includes : (1) estimation of citation frequency of an individual patent within a technology group. (2) calculation of a mutual citation frequency between citing patent and cited patents, (3) calculation of the period for cited patents from the year of registration to the year of being cited most recently and (4) description for technology group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mean, median, mode, etc. The framework suggested in this study was applied to the US patent data between 1976 and 2004 for 5 communications areas.

Web of Science 데이터학술지 게재 데이터논문의 지적구조 규명 (An Investigation of Intellectual Structure on Data Papers Published in Data Journals in Web of Science)

  • 정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53-177
    • /
    • 2020
  • 오픈과학의 흐름에서 데이터 공유와 재이용은 중요한 연구자의 활동이 되어가고 있다. 데이터 공유와 재이용에 관한 여러 논의 중에서 데이터학술지와 데이터논문의 발간이 가시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데이터학술지는 여러 학문 분야에서 발간되고 있으며, 논문의 수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데이터논문은 데이터 자체와는 다르게 인용을 주고 받는 활동이 포함되어, 따라서 이들이 형성하는 고유한 지적구조가 생겨나게 된다. 본 연구는 데이터학술지와 데이터논문이 학술커뮤니티에서 구성하는 지적구조를 규명하고자 Web of Science에 색인된 14종의 데이터학술지와 6,086건의 데이터논문과 인용된 참고문헌 84,908건을 분석하였다. 저자사항과 함께 동시인용분석과 서지결합분석을 네트워크로 시각화하여 데이터논문이 형성한 세부 주제 분야를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저자, 저자소속기관, 국가를 추출하여 출현빈도를 살펴보면, 전통적인 학술지 논문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데이터의 생산이 용이한 기관과 국가에 주로 데이터논문을 출간하기 때문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동시인용분석와 서지결합분석 모두 분석도구, 데이터베이스, 게놈구성 등이 주된 세부 주제 영역으로 나타났다. 동시인용분석결과는 9개의 군집으로 형성되었는데, 특정 주제 분야로 나타난 영역은 수질과 기후 등의 분야이다. 서지결합분석은 총 27개의 컴포넌트로 구성되었는데, 수질, 기후 이 외에도 해양, 대기 등의 세부 주제 영역이 파악되었다. 특기할만한 사항으로는 사회과학 분야의 주제 영역도 나타났다는 점이다.

저자동시 인용분석에 의한 1990년대 한국문헌정보학의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Intellectual Structure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1990s Using Author Co-citation Analysis)

  • 윤구호;서말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9-197
    • /
    • 2001
  • 학문의 연구동향 및 연구변화가 문헌의 서지적 현상 속에 숨겨져 있을 것이라는 가설아래, 1990년대의 한국문헌정보학의 지적구조 및 변화를 저자동시인용분석을 통하여 규명해 보았다. 3개 학회지(한국 문헌정보학회지, 정보관리학회지,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의 10년분을 통해 선정된 50명의 저자를 대상으로 다차원축척기법에 의한 저자간의 상관관계, 군집분석에 의한 저자군집, 요인분석에 의한 하위주제영역, 교차분석에 의한 전체주제영역 및 하위주제영역의 변화추이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