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nnamyl derivative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신나밀계 화합물이 배추의 종자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innamly Derivatives on Crop Growth Inhibition of Brassica campestris.)

  • 김진효;최근형;박병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9-442
    • /
    • 2014
  • 신나밀계 화합물은 다양한 생물에 넓게 분포하는 생물 2차대사산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여러 생리활성이 규명되었다. 하지만, 작물의 생장조절기능성 연구결과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신나밀기를 갖는 acid, amide, alcohol, aldehyde, ester등 46종의 유도체를 대상으로 발아와 유근생장억제능을 비교평가 하였다. 시험 결과, cinnamyl group을 기본 골격으로 하는 화합물의 경우 carboxylic acid group보다는 ester, amide, aldehyde와 같은 functional group에서 유근생장 억제능이 쉽게 관찰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EWG는 meta-position에 위치할 때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cinnamamide, 3-chlorocinnamic acid와 4-methoxycinnamaldehyde는 100 mg/L 미만의 처리농도에서 배추에 대한 발아억제를 일으키지 않으며, 유근생장 생장억제기능성이 높아 작물 생장억제제로 사용가능한 cinnamyl 유도체임을 확인하였다.

계피 또는 데리스 추출물을 주원료로 하는 유기농업자재의 약효 성분 안정성 (The Shelf-life of Agricultural Organic Materials Containing Cinnamon or Derris Extract: Thermal Stability of Cinnamyl Derivatives and Rotenoids)

  • 최근형;진초롱;박병준;임성진;노진호;문병철;공승헌;김진효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7-202
    • /
    • 2016
  • 계피 추출물의 지표성분으로 알려진 cinnamaldehyde와 cinnamyl alcohol, 데리스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deguelin과 rotenone을 대상으로 유기농업자재 제품 중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시험은 $4^{\circ}C$, $23^{\circ}C$, $35^{\circ}C$, $45^{\circ}C$, $54^{\circ}C$에서 각각 진행하였으며, 계피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농업자재 중 고상제품(Biopesticide A, B)의 유효성분 반감기가 15.1-46.2 days로 액상제품(Biopesticide C, D)에 비해 보관 중 안정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동일 제품 내에서는 cinnamaldehyde의 안정성이 cinnamyl alcohol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데리스 추출물을 사용한 제품(Biopesticide E, F, G)의 rotenoid계 유효성분 반감기는 1.5-173 days로 제품별 보관온도에 따른 지표성분 안정성이 큰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동일 제품에서 deguelin과 rotenone의 안정성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ropolis의 휘발성 향기 성분 특성 (Volatile Flavor Characteristics of Propolis)

  • 송효남;김영언;황인경;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153-1158
    • /
    • 1999
  • 밀원식물을 달리하여 채집된 두 종류의 국내산 propolis의 향기성분을 Aroma Scan과 GC/MS로 분석하였다. Aroma Scan으로 아까시나무와 밤나무 유래의 두 propolis는 서로 다른 향기를 지닌 것을 확인하였다. GC/MS 분석한 propolis의 향기 성분은 아까시나무 유래 Propolis의 44종과 밤나무 유래 propolis의 47종을 포함한 총 55종이 검출되었다. Aldehydes 5종, alcohols 8종. ketones 5종, esters 3종. fatty acid 1종을 비롯하여 27종의 hydrocarbons과 2종의 terpenes 및 4종의 phenolic derivatives가 검출되었다. Benzaldehyde, cinnamyl alcohol, eudesmol 및 benzyl benzoate 등을 포함한 36종의 화합물은 두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되었고, geraniol과 n-undecane을 포함한 8종의 성분은 아까시나무 유래의 propolis에서만 동정되었으며, piperitenone과 valencene을 포함한 11종의 화합물은 밤나무 유래의 propolis에서만 검출되어 밀원 식물에 따라 향기성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배무채(xBrassicoraphanus)의 화학성분 분리 (Isolation of Chemical Compounds from xBrassicoraphanus)

  • 이연희;안규석;이수성;박영두;유시용;김성훈
    • 생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03-408
    • /
    • 2007
  • xBrassicoraphanus is an intergenic breed crossed between Brassica campetris L. ssp. pekinensis and Raphanus sativus L. that have been daily consumed. xBrassicoraphanus was known to have good tastes and biological activities. Nevertheless, its constituetnts were not elucidated yet. Thus, in the present study, to indirectly evaluate the biological activity of xBrassicoraphanus, 12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leaves and roots of xBrassicoraphanus.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evidences,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isolated from leaves of xBrassicoraphanus. were identified as ${\beta}-sitosterol$, indole-3-acetonitrile, ferulic acid, methyl ferulate, linolenic acid methyl ester, linolenic acid and coniferyl alcohol, while the chemical structures of compounds isolated from the roots of were xBrassicoraphanus were characterized as ${\beta}-sitosterol$, indole-3-acetonitrile, ferulic acid, methyl ferulate, linolenic acid methyl ester, 1-methoxyindole-3-acetonitrile, goitrin, 4-hydroxycinnamyl alcohol, coniferyl alcohol, palmitic acid and daucosterol. These can be classified as three steroids, two indole cyanides, two cinnamic acid derivatives, one cinnamyl alcohol derivative, three fatty acid derivatives one isothiocyana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pounds isolated from xBrassicoraphanus were almost identical with known components of Brassica campetris L. ssp pekinensis or Raphanus sativus L. However,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more about the difference of amounts of constituents according to harvest time and variant species amou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