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nnamon extract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38초

대추와 오미자 약선소스의 이화학적 밑 관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Development of Herbal Sauces of Jujube and Omija)

  • 곽은정;안준희;이호근;신민자;이영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11
    • /
    • 2002
  • Hydrothermal extraction from dates was done, and then 3 groups of the date extract liquid group (A), the date puree group (B) and the jujube skin flesh group (C) were prepared. And, the omija extract liquid was added to the 3 groups at respective rates of 3:7, 5:5 and 7:3. Then, total 9 medicated diet sources were prepared by adding cinnamon, the ginger extract liquid, honey and pectin. And their physicochenmical and sensory attributes were examined. Total sugar, free sugar and pH increased in the samples of the 3 groups as the addition amount of the jujube extract increased. In chromaticity of respective samples, the "L" value did not show any difference among the 3 groups, but the "a" value was the highest in the "A"group, and "b"value was the highest in the "B"group. In the date puree group and the jujube skin flesh group, their viscosity increased as the addition amount of the jujube extract increased, but in the jujube extract liquid group, no difference was found in its viscosity.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discrimination test, it was identified that the as the addition amount of the jujube extract was increased, color and sweet taste were feltto be stronger and our taste was felt to be weaker in all 3 groups. In the jujube puree group and the jujube skin flesh group, as the addition amount of the jujube extract increased, the jujube fragrance was felt to be stronger, but in the jujube extract liquid group, no difference was found in its fragrance. And, no difference was found in brightness and viscosity between samples.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palatability test, no difference was showed in the appearance, but as for the overall palatability including texture, taste and fragrance, preference increased as the addition amount of the jujube extract increased.

생약제(Herbs, Plant Extracts)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ry Herbs and Plant Extracts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 우경천;김찬호;남궁연;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3-52
    • /
    • 2007
  • 육계 사료에 허브와 식물체의 추출물의 첨가가 생산능력, 영양소 소화율, 장내 미생물, IgG, 혈액의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2차례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1은 대조구, 항생제($Aviilamix^{(R)}premix-avilliamycin$ 0.02 %) 0.03%구, Herb M (Herb $mix^{(R)}$-지황 10%, 산약 10%, 당귀 20 %, 오미자 5%, 감초 5%, 천궁 10%) 0.2%구, Plant extract B(BIOSTONG $510^{(R)}-Anise$ Extract 20%, Thyme Extract 17%, Quillaja 30%) 0.02%구, Plant Extract A($APEX^{(R)}$ - garlic, anise, cinnamon rosemary, thyme, Talin등 50%) 0.02%구 등 5개 처리구를 두었다. 시험 2는 대조구, 항생제($Aviilamix^{(R)}$premix- avilliamycin 0.02%) 0.03% 구, Plant Extract D($Digestarom^{(R)}$-peppermint oil, gentian, horse-tail herb, saponins, oak bark 50 %) 0.02 %구, Plant extract P($Phellozyme^{(R)}$ -Kilmora lavan extract, bromelain extract, bioflavonoid, propolis 15%) 0.1%구, Plant Extract G($Galicin^{(R)}$-allicin 10%) 0.05%구, Plant Extract C(CRINA $POULTRY^{(R)}$-cinnamon, lemongrase, savory, rosewood, spearmint, tea) 0.05%구 등 6개 처리구를 두었다. 시험 1은 1일령 육계($Ross^{(R)}$종) 1,000수(암 수 각각 500수)를 공시하여 5처리 4반복 반복당 50수(암 수 동수) 씩을 floor pen(가로: 2.0 m, 세로: 2.4 m)에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2는 1일령 육계($Ross^{(R)}$종) 240수(암 수 각각 120수)를 공시하여 6처리 4반복, 반복당 10수(암 수 동수) 씩을 케이지(가로: 35.5 cm, 세로: 45 cm, 높이: 55 cm)에 완전 임의배치하여 각각 35일간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1에서 생산지수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들이 높은 경향이 있었고 herbs M구가 가장 높았다. 시험 2에서 $4{\sim}5$주 사료 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사료 요구율은 항생제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낮았다. 시험 1의 RBC와 적혈구 용적 (HCT 또는 PCV), Hb는 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시험 2의 BA는 대조구보다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시험 1과 시험 2의 혈청 IgG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시험 1과 시험 2의 장내 미생물 균총과 영양소 이용율은 처리간에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일부 한방제와 생약제제는 육계에서 항생제를 대체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혈액의 성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약재 추출물 첨가가 in vitro 반추위 발효 시 메탄생성 및 발효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rbal Extracts Supplementation on Ruminal Methane Produc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vitro)

  • 이신자;이성실;문여황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1315-1322
    • /
    • 2011
  • 본 연구는 반추동물에 있어서 결명자, 계피, 산초 및 감초 등의 한약재 추출물의 첨가가 메탄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In vitro 반추위 발효기질로는 대두박을 사용하였으며, 한약재 추출물 첨가수준은 기질의 10%로 하여 시간대별(0, 3, 6, 9, 12, 24 hr)로 $39^{\circ}C$에서 발효시켰다. In vitro 반추위 배양액의 pH는 6.46~6.89 수준으로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총 가스발생량은 감초, 산초, 계피, 결명자 처리구 순으로 감초 추출물 첨가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모든 한약재 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많았다. 메탄생성 비율은 3시간 발효 시, 감초 추출물 처리구가 타 처리구에 비해 낮았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비율이 오히려 높아졌으며, 한약재 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수소가스의 생성비율은 6시간 발효 시까지는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12시간 발효 시에는 한약재 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암모니아 생성량은 발효 3시간대에는 산초 추출물 첨가구와 감초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나, 발효 12시간대에는 감초 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본 시험에 사용된 한약재 추출물은 가스 생성량을 비롯한 메탄 생성량을 증가시키고, 메탄 발효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붕어고음 잔사분말을 첨가한 Cookies의 품질특성 (Protein Qualities and textural Properties of Cookies Containing Crucian Carp Extraction Residue)

  • 김오순;황은영;이진화;류홍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82-487
    • /
    • 2001
  • To find the possibility in utilizing the fish meat processing by-products, protein nutritional quality and textural properties of crucian carp extraction residue (CCER, feeze dired) incorporated into cookies were investigated. Moisture, ash and protein contents in cookies were increased with the higher residue treatments, but lipid contents were similar within all levels (3%, 9% and 15%). Major constitutional amino acids were revealed as glutamic acid, proline, leucine and arginine, and the sum of those amino acids was about 50% of total amino acid contents. Cookies with residue (CCER) had higher (80.74~84.50%)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than standard cookies (83.32%), while slightly lower trypsin indigestible substrate (TIS) contents were showed in CCER containing cookies than control. CCER treatments resulted the decreased protein nutritional quality in C-PER (computed protein efficiency ratio) value from 2.41 (standard) to 1.15 (cinnamon flavored. 9% CCER), and those C-PER of all cookies were lower than ANRC casein (2.50). Lipophilic browning was developed steadily till 60 days storage and a significant (p<0.05) changes of browning ws not noteed between 60 days and 90 days storage. Color of cookies, expressed as L, a and b value, was significantly (p<0.05) lightened with the increased CCER. Similar trends by treatments were noted for hardness. Cookies containing 9% CCER were similar to control regarding textual and sensory properties.

  • PDF

Bioactivities of the Herb Extracts Used for Gamhongroju, a Korean Liqueur

  • Lee, Sae-Rom;Jung, Ha-Na;Cho, Hyunn-Ho;Jhin, Chang-Ho;Hwang, Keum-Taek;Jeong, Seok-Tae;Kim, Tae-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4호
    • /
    • pp.333-338
    • /
    • 2011
  • In this study,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herb (cinnamon, clove, glehnia root, ginger, violet-root cromwell, licorice, citrus peel and longan) extracts used for gamhongroju, one of the popular liqueurs in Korea, were investigated. Twenty grams of individual herbs were extracted in 60% purified ethanol and freeze-dried. A mixture of the individual herb extracts (HEM) was separately prepared. Cytotoxicity of the individual extracts and HEM on murine RAW264.7 macrophage cells were examined along with their recovering activity on $H_2O_2$-treated RAW264.7 cell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extract-treated cells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activities, an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2 (PGE2) levels. Violet-root cromwell extract showed the least cytotoxicity in terms of treated concentration. Most of the extracts, below levels of cytotoxicity, recovered the $H_2O_2$-treated cells. Treatment with some of the extracts increased SOD and GPx activities and TEAC levels while a majorit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O and PGE2 in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cells.

피부 주름개선 소재개발을 위한 식용작물의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활성 (Inhibitory Activity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 Formation of Edible Plants for Development of Anti-Wrinkle Ingredients)

  • 이현순;윤진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86-192
    • /
    • 2010
  • 피부의 주름은 노화과정의 결과로 유도되어지는데, 비효소적 glycation 반응은 주름생성의 원인 중에 하나로 단백질의 비가역적 가교결합에 의해 생성된 최종당화산물(AGEs)이라고 불리는 갈색화합물을 생성한다. 비교적 반감기가 긴 collagen은 쉽게 glycation이 일어나고 collagen의 가교결합(cross-linking)이 일어나면서 여러 단계의 반응을 거쳐 최종적으로 생성된 AGEs가 피부에 축적되어 피부의 탄력감소 및 주름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피부 내에 glycation된 collagen의 축척은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하는 것을 방해한다. 수종의 식용작물로부터 항주름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메탄올 및 열수추출물을 조제한 후 AGEs 형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검색하였다. 먼저 서양향신료 중에서는 월계수잎, 계피, 정향, 오레가노, 로즈마리, 사보리, 팔각과 한약재 중에서는 복분자, 달개비, 삼지구엽초, 가자와 해당화의 메탄올 및 열수추출물에서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활성이 높았다. 그러나 국내 식물 중에서는 단지 참취 및 녹차 추출물의 메탄올과 열수추출물만이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해조류 중에서는 활성이 높은 시료는 없었다.

유기농업자재 패키지를 통한 시설 고추 꽃노랑총채벌레 방제 효과 (Control Effect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Using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Package in a Pepper Greenhouse)

  • 이희아;이영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73-74
    • /
    • 2024
  • 시설 고추 주요 해충인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의 방제를 위해 유기농업자재들의 단독 처리 및 종합 투입시 방제 효과를 검정하였다. 황색끈끈이롤트랩은 지제부에 설치하고, 포식성 천적(Hypoaspis miles)은 지제부에 접종하며, 식물추출물(커스터드애플시드 오일 50% + 계피 추출물 10%)은 경엽살포하는 방식으로써 각각의 단독 처리시 방제 효과는 45.3, 36.6, 50.2%였다. 한편, 3종의 유기농업자재들을 종합 투입했을 경우 고추 수확기 방제 효과가 무처리 대비 62.4~80.9%로 유지되어, 시설 고추 꽃노랑총채벌레 친환경 방제용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생물학적 살선충제의 뿌리혹선충 (Meloidogyne incognita) 방제 효과 (Control Effect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by Biological Nematicide)

  • 박문현;;김선중;윤민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62-168
    • /
    • 2012
  • 친환경 선충 방제제 개발을 위해 경북 성주군 선남면 및 충남 공주군 우성면의 시설원예 재배지 토양으로 부터 선충 포식성이 뛰어난 곰팡이 Arthrobotrys thaumasia Nema-1과 선충 표피성분인 collagen과 알집 주성분인 gelatin 분해능이 뛰어난 Bacillus subtilis C-9를 분리 하였다. 이들 분리균을 대상으로 포트실험을 통해 선충치사 효과의 지표인 난낭수 감소를 검토한 결과, 균밀도가 $7.0{\times}10^3cfu\;g^{-1}$인 A. thaumasia Nema-1 곰팡이 제제 $5,000mg\;kg^{-1}$을 처리 시 뿌리혹 선충의 난낭수가 무처리 대비 35% 감소하였다. 포식성 곰팡이 Nema-1 제제와 균밀도가 $8.5{\times}10^5cfu\;g^{-1}$인 B. subtilis C-9 세균 제제 각각 $5,000mg\;kg^{-1}$ 혼합 처리구에서는 난낭수가 무처리 대비 67% 감소하였다. 또한 선충치사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살선충 활성이 있다고 보고 된 계피추출물 제제 $10mg\;kg^{-1}$$5,000mg\;kg^-$의 Nema-1과 C-9 제제와 혼합하여 처리 하였을 때 난낭수가 무처리 대비 84%이상 감소하였으며, 대표적 살선충제인 선충탄(Fosthiazate) $24mg\;kg^{-1}$은 난낭수가 26% 감소한 결과와 비교해 볼 때 훨씬 높은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생물학적 선충방제제는 미생물 또는 식물체 추출물 단제 보다는 혼합물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생물학적 선충 방제제를 이용한 고구마 뿌리혹선충 (Meloidogyne incognita)의 방제효과 (Nematicidal Effect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by Biological Nematicide)

  • 박문현;김진광;최원호;윤민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28-235
    • /
    • 2011
  • 친환경 선충 방제제 개발을 위해 경북 성주군 선남면 및 충남 공주시 우성면의 시설원예 재배지 토양으로 부터 선충 포식성이 뛰어난 곰팡이 Arthrobotrys thaumasia Nema-1과 선충 표피성분인 collagen과 알집 주성분인 gelatin 분해능이 뛰어난 Pseudomonas putida C-5를 분리 하였다. 이들 분리균의 선충치사 효과를 검토한 결과, A. thaumasia Nema-1 곰팡이 배양액 $5,000mL\;L^{-1}$을 처리 시 방제효과는 72시간 후에 55%이었으나, 포식성 곰팡이 Nema-1과 P. putida C-5 세균 배양액 각각 $5,000mL\;L^{-1}$ 혼합 처리구에서는 65%로 상승하였다. 또한 선충치사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살선충 활성이 있다고 보고된 계피추출물 $50mg\;L^{-1}$$5,000mL\;L^{-1}$의 Nema-1과 C-5 배양액과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72시간 경과 후의 치사율은 89%로 상승되었으며, 대표적 살선충제인 선충탄(Fosthiazate) $50mg\;L^{-1}$의 방제가 17%와 님오일 $2,000mL\;L^{-1}$의 방제가 57% 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생물학적 선충방제제는 미생물 또는 식물체 추출물 단제 보다는 혼합물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Comparison of the presentation of atopic dermatitis induced by trinitrochlorobenzene and house dust mite in NC/Nga mice

  • Kim, Yoon-Hwan;Kim, Tae Hyeong;Kang, Min Soo;Ahn, Jin-Ok;Choi, Jung Hoon;Chung, Jin-Young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1권4호
    • /
    • pp.59.1-59.12
    • /
    • 2020
  • Background: Atopic dermatitis (AD) is a common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 To understand AD, there have been many trials establishing AD animal models. Although various trials to establish AD animal models have been existed, even the mechanisms of AD in animal models are not enough clarified. Objectives: This study assessed AD characteristics induced in Nishiki-nezumi Cinnamon/Nagoya (Nc/Nga) mice following trinitrochlorobenzene (TNCB) treatment for different periods and house dust mite (HDM) treatment to compare each model's immunological patterns, especially with cytokine antibody array tool. Methods: In this study, we exposed Nc/Nga mice to TNCB or HDM extract to induce AD. Nc/Nga mice were divided into 4 groups: control, TNCB 2 weeks-treated, TNCB 8 weeks-treated, and HDM-treated groups. After AD induction, all mice were evaluated by serum immunoglobulin E (IgE) concentration and serum cytokine antibody assays, scoring of skin lesions, scoring of scratching frequency, and histological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serum IgE concentration, skin lesion scores, and scratching frequency. The analysis results for serum cytokine antibody arrays showed that in the TNCB 8 weeks- and HDM-treated groups, but not in the TNCB 2 weeks-treated group, expressions of genes related to the immune response were enriched. Among the histological results, the skin lesions in the HDM-treated group were most similar to those of AD. Conclusions: We confirmed that immunological pattern of AD mice was markedly different between HDM and TNCB treated groups. In addition, the immunological pattern was quietly different dependent on TNCB treated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