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omafenozid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4초

HPLC-UVD/MS를 이용한 작물 중 methoxyfenozide, chromafenozide 및 tebufenozide의 분석법 확립 (Determination of Methoxyfenozide, Chromafenozide and Tebufenozide Residues in Agricultural Commodities Using HPLC-UVD/MS)

  • 이수진;김영학;황영선;권찬혁;도정아;임무혁;이영득;정명근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7-48
    • /
    • 2010
  • HPLC-UVD/MS를 이용하여 농산물 중 diacylhydrazine계 살충제인 methoxyfenozide, chromafenozide 및 tebufenozide의 잔류 분석법을 확립하였으며, 대상 농산물은 현미, 콩, 사과, 배추 및 고추를 선정하였다. 시료에 acetone을 가하여 추출된 methoxyfenozide, chromafenozide 및 tebufenozide 성분을 dichloromethane 분배법과 florisil 흡착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HPLC-UVD/MS 분석대상 시료로 하였다. 대상 농약의 동시분석을 위한 최적 HPLC 분석조건을 확립하였으며, 분석대상 농약의 분석정량한계(MQL)는 0.04 mg/kg 이었다. 각 대표 농산물에 대해 정량한계의 10 및 50배 수준에서 회수율을 검정한 결과 모든 처리농도에서 89.0~104.8%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반복 간 변이계수(CV)는 최대 3.9%를 나타내어 잔류분석 기준인 회수율 70~120% 및 분석오차 10%이내를 충족시키는 만족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diacylhydrazine계 살충제인 methoxyfenozide, chromafenozide 및 tebufenozide의 HPLC-UVD 분석법은 검출한계, 회수율 및 분석오차 면에서 국제적 분석기준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LC/MS SIM을 이용한 분석법 또한 회수율이 우수하여 확인 및 정량법으로 사용가능한 방법이었다.

케일 중 살충제 Chromafenozide와 Pyridalyl의 잔류 특성 (The Residual Characteristic of Chromafenozide and Pyridalyl in Kale)

  • 선정훈;황규원;정경수;이태현;김현진;박상정;문준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5-134
    • /
    • 2022
  • BACKGROUND: It is a very important task to block distribution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contaminated with pesticides in advance to protect consumers from residual pesticides among the agricultural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residual characteristics of pesticides in time-dependent manner and present scientific evidences for pre-harvest residue limit (PHRL) setting. METHODS AND RESULTS: The tested pesticides, chromafenozide and pyridalyl were sprayed onto the kale twice (seven day intervals) and then the plant samples were collected at 0 (after 3 hours), 1, 2, 3, 5, 7, and 10 days after the last spraying. Residual concentration of chromafenozide in kale decreased with 74.9% (of decreased fraction, field 1) and 85.3% (field 2) and pyridalyl decreased with 81.2% (field 1) and 85.8% (field 2), calculated by comparisons of the concentrations at 0 day and 10 days. Also biological half-lives of chromafenozide in kale were 5.6 day (field 1) and 3.4 day (field 2), and those of pyridalyl were 4.3 day (field 1) and 3.5 day (field 2). CONCLUSION(S): If the residues of chromafenozide and pyridalyl in kale from 10 days before harvest are less than 37.6 mg/kg and 58.9 mg/kg, respectively, it is expected that safe kale below MRL can be supplied on the pre-harvest day.

시금치 해충 흰띠명나방(Spoladea recurvalis)의 살충제 감수성 (Evaluation of Susceptibility of Spoladea recurvalis (Lepidoptera: Crambidae) to Five Insecticides in Spinach)

  • 이영수;이희아;김소희;최종윤;이현주;이상우;박중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529-537
    • /
    • 2022
  • 시금치의 주요 해충인 흰띠명나방(Spoladea recurvalis) 유충의 살충제 5종에 대한 감수성을 검정하였다. Lufenuron EC, chromafenozide EC, chlorantraniliprole WP, tebufenozide WP, pyridalyl EW는 각각 2(12.5 ppm), 4(12.5 ppm), 8(2.5 ppm), 4(20.0 ppm), 8(12.5 ppm)배의 희석농도에서 90% 이상의 높은 살충활성을 보였다. 추천농도로 경엽처리 후 7일이 경과된 시금치 잎에 흰띠명나방 유충이 72시간 동안 노출되었을 경우 chromafenozide EC, chlorantraniliprole WP, tebufenozide WP, pyridalyl EW의 살충률은 각각 98.3%, 100%, 95.0%, 100%로 나타나 높은 잔효성을 보였다. 흰띠명나방에 대한 방제효과를 2개소(화성, 연천)에서 포장검정 결과, 5종의 약제 모두 2개소에서 약제처리 7일 경과 후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2배량에서도 약해가 없어 향후 흰띠명나방 방제약제로 시금치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