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ngkukjang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7초

대두 및 대두발효식품의 항돌연변이성

  • 윤기도;권동진;홍석산;김수일;정건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25-528
    • /
    • 1996
  •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 of soybean and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roducts on the chemically induced mutagenesis, we extracted soybean, Kanjang, Doenjang, Kochujang, and Chongkukjang with water, methanol and hexane. Inhibitory effect of the extracts was assayed by the SOS chromotest using Escherichia coli PQ37 as a test strain. 4-nitroquinoline-1-oxide(4NQO), N-methyl-N'-nitro-N-nitrosoquanidine(MNNG), and aflatoxin B$_{1}$(AFB$_{1}$) were used as mutagens. Methanol extracts showed relatively higher inhibitory effect than water and hexane extracts. Methanol extracts of soybean, Doenjang, Kochujang, and Chonhkukjang showed inhibitory effect of 68.4, 96.3, 17.5, and 100.9% against MNNG, and 28.6, 109.1, 41.3, and 101.8% against AFB$_{1}$, respectively. Doenjang methanol extract showed inhibitory effect of 51.0, 96.3, and 109.1% against 4NQO, MNNG, and AFB$_{1}$, respectively. Methanol extract of Doenjang showed dose-dependent inhibitory effect against 4NQO, MNNG, and AFB$_{1}$. Inhibitory effect of heat-treated Doenjang and Chongkukjang methanol extracts on the mutagenecity of MNNG and AFB$_{1}$ was remained over 95% of the inhibitory effect of heat-untreated extracts, demonstrating the heat stability of the potent antimutagenic activity.

  • PDF

청국장식이가 알코올성지방간 쥐의 지질대사 및 간 기능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ongkukjang Intake on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Alcoholic Fatty Liver Rats)

  • 이은희;천종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506-1515
    • /
    • 2009
  • 본 연구는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로 유발된 알코올성지방간 쥐에서 청국장식이가 지질대사 및 간 기능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실험동물은 생후 7주령된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 35마리에게 30일간 에탄올이 첨가된 액체식이를 공급하여 알코올성지방간을 유발시킨 후 다시 실험동물을 에탄올+카제인식이군(ECD)과 에탄올+청국장식이군(EChD)으로 나누어 각각 총 열량의 36%에 해당하는 에탄올이 함유된 액체 형태의 실험식이를 제공하였다. 실험식이 제공 후 10, 20, 30일째에 각각 혈액과 간을 수집하여 혈액의 지질수준, 간 조직 내 지질과산화물 수준과 그와 관련된 효소의 활성도 및 간 기능 지표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식이섭취량은 두 식이군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일일 평균체중증가량은 각 실험식이를 공급한 20일과 30일에서 EChD군이 ECD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ECD군은 모든 실험기간 동안 알코올성지방간 상태를 보였으나, EChD군은 10일에서만 지방간 상태를 보였다. 혈청의 총 지질 함량, 중성지방 그리고 총 콜레스테롤은 각 실험식이를 공급한 모든 기간에서 ECD군이 EChD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혈청 HDL-콜레스테롤은 EChD군이 ECD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지질과산화 지표인 간 조직 TBARS 함량은 모든 기간에서 ECD군이 EChD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간의 conjugated diene 함량은 각 실험식이를 10일간 공급하였을 때만 ECD군이 EChD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간 조직 내 항산화효소인 SOD 활성도는 각 실험식이를 30일간 공급하였을 때, 간 catalase와 GPx 활성도는 각 실험식이를 20일과 30일간 공급하였을 때 각각 EChD군이 ECD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간 기능 지표인 혈청 GOT 활성도는 각 실험식이를 10일과 20일간 공급하였을 때, 혈청 GPT 활성도는 각 실험식이를 10일간 공급하였을 때 각각 ECD군이 EChD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혈청 LDH 활성도는 각 실험식이를 공급한 모든 기간에서, 혈청 γ-GTP 활성도는 각 실험식이를 20일간 공급하였을 때 각각 ECD군이 EChD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혈청 알코올 농도는 각 실험식이를 20일간 공급하였을 때 ECD군이 EChD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ADH 활성도는 각 실험식이를 30일간 공급하였을 때, ALDH 활성도는 각 실험식이를 20일과 30일간 공급하였을 때 각각 EChD군이 ECD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 청국장의 급여는 간의 중성지방 함량을 감소시켜 알코올로 인한 지방간 생성을 감소시키고, 혈중 총 지질과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며 항동맥경화 인자인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증가시켰다. 또한 간의 TBARS 함량과 conjugated diene 함량을 감소시키고, 간 SOD와 catalase 및 GPx 등 항산화 효소의 활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혈청 GOT, GPT, LDH 및 γ-GTP 활성도를 감소시켰으며 간 알코올 분해효소인 ADH와 ALDH 활성도는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통발효식품인 청국장은 알코올 섭취로 인해 증가된 혈중 지질 수준과 간의 지질과산화물 수준을 감소시키고, 간 기능 지표 수준을 개선시키며, 항산화 및 알코올 분해효소 활성을 증가시켜 알코올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알코올 대사의 중간생성물인 아세트알데히드의 생성을 감소시켜 알코올의 독성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여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과 간질환의 발생을 지연시키거나 개선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대두발효식품 Cerebroside의 구성성분 분석 및 비교 (Analysis and Comparison of Cerebroside Components from Soybean Fermented Foods)

  • 이은열;김희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7-183
    • /
    • 2002
  • 대두 및 대두발효식품인 청국장과 된장의 cerebroside 구성성분인 지방산, 당 및 장쇄 sphingoid base들을 GC-MS로 분석하였다. Cerebroside 산-가수분해물의 지방산들을 O-TMS methylester 유도체로 만들어 분석하였으며 대두 및 청국장의 경우 2-hydroxyhexadecanoic acid(16 : 0h)가 각각 52.2% 및 62.0%로 가장 많았고 2-hydroxydocosanoic acid(22 : 0h) 및 2-hydroxytetracosanoic acid(24 : 0h)도 15.0~17.6%이었다. 그러나 된장의 경우 16 : 0h는 10.2%로 많은 감소를 보인 반면 24 : 0h는 40.9%, 22 : 0h는 23.4% 었으며 23 : 0h, 25 : 0h 및 26 : 0h도 대두 및 청국장에 비하여 많았다. Cerebroside 산-가수분해물의 장쇄 sphingoid base들은 N-acetyl-O-TMS 유도체로 분석하였으며 대두 및 청국장에서 4- trans, 8-trans-sphingadienine (d18 : 2 $\Delta$$^{4trans, 8trans}$) 는 59.9% 및 44.5%이었으며 4-hydroxy-8-trans, cis-sphingening (t18 : 1$\Delta$$^{8trans or cis}$)는 20.9% 및 35.9% 이었고 된장 cerebroside 역시 dl8 : 2$\Delta$$^{4trans, 8trans}$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phytosphingosine(t18 : 0) 및 sphingosine 이 성질체(d18 : 1)들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 또한 된장의 경우 오랜 기간 미생물들에 의하여 발효되었지만 Aspergillus 속들의 cerebroside가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2-hydroxyoxtadec-3-enoic acid(18 : 1h) 및 9-methyl-4,8-sphingadienine 등은 발견되지 않았다. 대두, 청국장 및 된장 cerebroside의 당유도체 mass spectrum 분석 결과 99%이상이 glucose 1번 탄소가 ceramide backbone에 결합된 monoglucocerebroside 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두 가공 식품 중의 이소플라본 함량 (Isoflavone Content in Korean Fermented and Unfermented Soybean Foods)

  • 최연배;손헌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45-750
    • /
    • 1998
  • 대두에 함유되어 있는 이소플라본은 항암, 골다공증 예방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유용 생리활성물질이다. 국내의 주요 대두 가공 식품은 두부, 콩나물, 두유와 같은 비발효 식품과 간장, 된장, 청국장, 춘장과 같은 발효식품이 있다. 비발효 식품에서는 대두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배당체 형태로 존재하였다. 두유에는 평균 676 mg/kg의 이소플라본이 존재하였고, 두부는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평균 1,151 mg/kg이 존재하였다. 콩나물에는 약 424 mg/kg이 존재하였다. 발효 식품 중에는 청국장(920 mg/kg)과 된장(627 mg/kg)에 많은 양의 이소플라본이 함유되어 있으며, 춘장에도 상당량이 존재하지만 간장에는 매우 적은 양이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많은 양의 이소플라본이 aglycone의 형태로 존재하였다. 따라서 국내 전통 발효 식품인 청국장과 된장은 생체 이용성이 우수한 형태인 이소플라본 aglycone의 좋은 공급원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Bacillus subtilis와 Lactobacillus bulgaricus에 의한 청국장 단백질의 용해성, 점성, 보수성 및 보유성 (Solubility, Viscosity, Water Holding Capacity, and Oil Holding Capacity of Soybean Proteins by Bacillus subtilis and/or Lactobacillus bulgaricus)

  • 이진우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99-406
    • /
    • 2007
  • Soybean seeds were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and/or Lactobacillus bulgaricus to improve solubility, viscosity, water holding capacity and oil holding capacity of soybean proteins in Chongkukjang. The maximum colony forming unit and protease activity of B. subtilis or L bulgaricus were observed after 60 hours of fermentation, and those of the mixed fermentation by two microorganisms were steadily increased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s. Solubilities of soybean proteins by B. subtilis or L bulgaricus were steadily increased before the values were considerably increased to 60 hours of fermentation, whereas water holding capacities of the proteins were decreased by B. subtilis or L. bulgaricus and those of the mixed fermentation were decreased progressively. Viscosities of soybean proteins by B. subtilis and/or L. bulgaricus were decreased progressively during the fermentation. Viscosities of soybean proteins by B. subtilis and/or L. bulgaricus were decreased progressively during the fermentation. Oil holding capacities of soybeans by B. subtilis or L. bulgaricus were maximum at 20 or 80 hours of fermentation and those of the mixed fermentation were decreased after 10 hours of the fermentation.

  • PDF

Ginsenoside 전환이 가능한 인삼 발효 미생물의 선별 (Screening for Ginseng-Fermenting Microorganisms Capable of Biotransforming Ginsenosides)

  • 김희규;김기연;차창준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42-146
    • /
    • 2007
  • 오래전부터 약재로서 이용되어온 인삼(Panax ginseng)은 그 효능이 과학적으로 밝혀지면서 세계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서양삼에 비해 점차 뒤처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인삼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인삼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발효인삼은 유용한 미생물을 probiotic으로서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생물에 의해 인삼의 ginsenoside 성분이 특이적으로 전환되어 기능적으로 우수한 제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삼분말만을 영양분으로 한 액체 배지에서 청국장에서 분리된 Bacillus 균주와 유산균의 생장능 및 인삼의 주요 ginsenoside의 전환능력을 알아보았다. 인삼 2.5% (w/v), 1% (w/v)의 인삼분말만을 영양분으로 한 액체배지에서 생장능과 발효 후 ginsenoside의 전환 여부를 확인하였다. 사용한 Bacillus 균주와 유산균 모두 인삼배지에서 $10^{7}\;CFU/ml$을 초과하는 생장능을 보였고, Bacillmus의 경우 ginsenoside $Rg_{1},\;Rb_{1},\;Rb_{2},\;Rc,\;Rd$간에 각 균주마다 특이적인 ginsenoside 전환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이 균주들은 발효인삼의 제조를 위한 접종균주로서 이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