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lesterol acyltransferase inhibitor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5초

Human 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hACAT) Inhibitory Activities of Triterpenoids from Roots of Glycine max (L.) Merr

  • Lee, Jin-Hwan;Ryu, Young-Bae;Lee, Byong-Won;Kim, Jin-Hyo;Lee, Woo-Song;Park, Yong-Dae;Jeong, Tae-Sook;Park, Ki-H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9권3호
    • /
    • pp.615-619
    • /
    • 2008
  • Eight triterpenoids, six lanostanes 1-6, one lupenane 7, and one oleanane 8, were isolated by bio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the ethylacetate extract from roots of Glycine max (L.) Merr. All isolated compounds were examined for their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human ACAT-1 (hACAT-1) and human ACAT-2 (hACAT-2). Among them, three triterpenoids showed potent hACAT inhibitory activities, (24R)-ethylcholest-5-ene-3,7-diol (1) and 3b -hydroxylup-20(29)-en-28-oic acid (7) exhibited more poten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hACAT-1 (1: IC50 = 25.0 1.2 and 7: IC50 = 11.5 0.4 m M) than hACAT-2 (1: IC50 = 102.0 5.4 and 7: IC50 = 33.9 3.7 m M), respectively. Interestingly, 5a ,8a -epidioxy-24(R)-methylcholesta-6,22-diene-3b -ol (4) has proven to be a specific inhibitor against hACAT-1 (IC50 = 38.7 0.8 m M) compared to hACAT-2 (IC50 >200). In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study to demonstrate that triterpenoids of G. max have potent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hACAT-1 and hACAT-2.

택란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인체 폐암 세포주 A549의 G1 arrest 유발 (Induction of G1 Arrest by Methanol Extract of Lycopus lucidus in Human Lung Adenocarcinoma A549 Cells)

  • 박현진;진수정;오유나;윤승근;이지영;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9호
    • /
    • pp.1109-111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인체 폐암 세포인 A549를 사용하여 택란 메탄올 추출물의 항암활성과 그 분자적 기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택란 추출물이 A549의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처리 농도 및 시간 의존적으로 A549의 성장이 저해되었으며, 세포 주기 변화를 분석한 결과 강력한 G1 arrest가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택란 추출물에 의한 G1 arrest는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인 Cyclin D1, Cyclin E 및 Cyclin-dependent kinase인 CDK2, CDK4, CDK6의 발현 감소와 연관되어 있었다. 또한 택란 추출물에 의한 CDK/Cyclin complex의 발현 저해는 DNA 손상에 의해 활성화되는 CHK2의 활성화 형태인 p-CHK2의 발현 증가에 따른 CDK 활성화 효소인 Cdc25A phosphatase의 발현 억제에 의해 나타나는 결과로 사료된다. 반면 종양억제유전자인 p53 및 CDK 억제제인 p21과 p27의 발현량은 증가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택란 추출물은 DNA damage에 의한 ATM/CHK2/Cdc25A/CDK2 pathway를 통해 A549의 G1 arrest를 유도하여 세포의 증식을 억제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때 택란 추출물에 의해 유도되는 G1 arrest는 p53 비의존적인 경로일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는 택란이 Cdc25A를 target으로 하는 새로운 항암활성 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택란 추출물의 세포주기 조절에 의한 항암기전을 이해하고 향후 지속적 연구를 하는 데 있어서 귀중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