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lesterol

검색결과 7,286건 처리시간 0.033초

셀로비오스 옥타(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알카노에이트의 열 및 광학 특성 (Thermal and Optical Properties of Cellobiose Octa(cholesteryloxycarbonyl)alkanoates)

  • 정승용;마영대
    • 폴리머
    • /
    • 제32권3호
    • /
    • pp.230-238
    • /
    • 2008
  • 셀로비오스 옥타(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알카노에이트(CCBn, $n=2{\sim}8$,10, 스페이서중의 메틸렌 단위들의 수)의 열 및 광학 특성을 검토하였다. 모든 시료들은 좌측방향의 나선구조를 지닌 단방성 콜레스테릭 상들을 형성하였다. n=2 혹은 10인 CCBn은 $3{\leq}n{\leq}8$인 CCBn과 달리 콜레스테릭 상의 전 온도구간에서 반사색깔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콜레스테릴 그룹에 의한 나선의 비틀림력은 콜레스테릴 그룹과 셀로비오스 사슬을 연결하는 스페이서의 길이에 민감하게 의존함을 시사한다. 액체 상에서 콜레스테릭 상으로의 전이온도($T_{ic}$)와 유리전이온도는 n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며 홀수-짝수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T_{ic}$에서의 전이엔트로피는 n이 2에서 6까지 증가하나 n=7에서 급격히 감소한 후 재차 n이 8에서 10으로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n=7에서 급격한 변화는 곁사슬 그룹들의 배열의 차이에 의해 초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CCBn에서 관찰되는 액정 상의 열적 안정성과 질서도 그리고 광학피치의 온도의존성은 셀룰로오스 트리(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알카노에이트들 그리고 글루코오스 펜타(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알카노에이트들에 대해 보고된 결과들과 현저히 달랐다. 이들의 결과를 중합도, 글루코오스 몰 단위당의 메조겐 단위들의 수 그리고 분자들의 입체형태의 차이들의 견지에서 검토하였다.

비만치료에 대한 이침요법의 효과에 대한 고찰: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The Effect of Auricular Acupuncture for Obes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박서현;안선주;최성환;강신우;금동호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2-68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eight loss effects of auricular acupuncture in obese patients. Methods: Six database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PubMed, The Cochrane Library,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were searched up to May 20, 2020. Eight eligibl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included the present study. The quality of included studies was assessed by the Cochrane risk of bias tool and a meta-analysis was performed by Review Manager software.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random-effects model and a sub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ct the sources of heterogeneity, identify the selection of acupuncture methods and explore its contributions to the weight loss effects. Results: Among 8 trials, 5 trials used auricular acupuncture and 2 trials used auricular acupressure, 1 trial used both types of intervention. Most commonly selected acupoints were Shenmen (TF4) and stomach (CO4). Treatment duration was six to twelve weeks, and total treatment session was six to twelv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auricular acupuncture significantly decreased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MI),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 and ghrelin. For the selection of acupuncture methods, both methods performed similarly in most outcome except waist circumference (WC), body fat percentage (BFP), and triglycerides (TG). Conclusions: We found that auricular acupuncture can be effective for weight loss and controlling appetite. However, the findings should be interpreted with caution due to heterogeneity. So further vigorous and well-designed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strengthen the evidence of the use of auricular acupuncture for obesity.

신규 유사세라마이드의 합성과 그 특성 (Synthesis of Novel Pseudo-ceramide and Its Properties)

  • 김진국;김경태;박선희;이방용;김기호;김영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3-50
    • /
    • 2008
  • 세라마이드는 콜레스테롤, 지방산과 함께 각질층을 구성하는 주요성분으로 각질층의 피부장벽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아토피 피부염, 건선, 건성습진, 주부습진 등과 같은 염증성 피부질환 방지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2-(2-amino-ethylamino)-ethanol(AEEA)을 출발물질로 하여 신규 유사세라마이드 BPC-16을 합성하고, 그 물리화학적 성질과 화장품의 신규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세포독성, 보습, 각질제거효능 등을 평가하였다. 합성된 BPC-16을 이용하여 콜레스테롤, 스테아린산을 포함하는 에멀젼을 제조했고, 편광현미경에서 'Maltese Cross'를 확인함으로써 BPC-1이 라멜라 에멀젼을 형성함을 확인하였다. 단층배양세포와 삼차원배양세포에서의 세포독성 실험에서 BPC-16은 보습과 피부손상회복 효과를 보이는 10 mM 이하의 농도에서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BPC-16의 보습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Vapormeter와 Corneometer를 이용하여 임상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우수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피부손상에 대한 회복효과와 Visioscan을 이용한 각질량의 변화 실험에서도 우수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인삼의 부산물을 이용한 식의성 단백질의 효율 향상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etary Protein-efficiency by Supplement of the Panax Ginseng-by-products.)

  • 황우익;이성동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권1호
    • /
    • pp.1-34
    • /
    • 1979
  • Our nation is confronted with the situation that the rice, a principal food, short of some essential amino acids, leads to imbalanced meals insufficient in the nutrient of Protein, to bring many difficulties in the elevation of nutritional state in our nation. While. our country has been produced much amounts of Panax Ginseng roots which has a stimulating effects on the metabolism of protein, lipid and nucleic acids in the body. And the leaf and trunk of Panax Ginseng were also produced a considerable amounts as the by-products. Author believe that these by-products (leaf and trunk) of Panax Ginseng might have some components possessing simillar activity with Panax Ginseng root although the quantity and qualify of the functional components may more or less be different. Therefore, this study was demised to observe the supplemental effect of the Panax Ginseng-by-Products on the dietary protein efficiency and nutritional state of rats. The feeds used for this experiment were rice containing 30% barely, fish four, and the leaf, trunk and small root of the Panax Ginseng, and the contents of the general nutrients including protein, lipid and carbohydrate etc. in each feed were analyzed for the combination of each feed. And, being based on analytical values of Protein in food. fish Pour as Protein source was added were rice containing 30% barely to be include 8.6 to 8.7%, 12%, 15% and 18% of protein. Then 2% of the leaf, trunk or small reef of Panax Ginseng was supplemented into each of above protein diet group, ton 16 kinds of diets were Prepared. The male albino rats from a Pure strain, weighing 70g to 80g. were used for experimental animals. They were maintained with coresponding fist for f and 8 weeks, and the growth rate, consumption of diets and protein, efficiency of feed and Protein in animals were determined. The lipids, proteins and cholesterols in serum and liver were also determined quantitatively after they were sacrificed in coresponding term.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Body weigh of diet group containing 8.6 to 8.7%,12%, and 15% of protein are increased remarkably by supplement of 2% of the leaf or small root of Panax Ginseng in comparison with each of controls. But this tendency could not observed in diet group containing 18eA Proteins. 2. Feed efficiency showed same tendency in comparison with changes of gained body weight. Specially, in each of diets containing 8.7%, 12%, 15% and 18% of Proteins, supplement of the leaf of Panax Ginseng showed the better feed efficiency than supplement of the trunk or small root. 3. In feeding group for 8 weeks, protein efficiency showed worst efficiency in diet containing 18% proteins and showed the best efficiency was the diet group containing 12% Proteins. And the efficiency was improved according to supplement of the leaf of Panax Ginseng. 4. Nitrogen contents in serum and liver did not show large differences each other in all diet groups. But contexts of total cholesterol and 1ipid were decreased markedly in diet groups containing 12%, 15% and 18% of proteins in comparison with diet group containing 8.6% to 8.8% of proteins.

  • PDF

인삼의 약리작용 (Pharmacological Action of Ginseng)

  • 홍사악;임정규;박찬웅;차인준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권1호
    • /
    • pp.66-93
    • /
    • 1979
  • Panax ginseng C. A. Meyer, which has been known for more than EWO years. occupies a Particular prince in folk medicine as so called tonic remedy. The pharmacolgical investigations of ginseng, based on the scientific concepts and methodology, have been performed by many researchers through the past 50∼60 years at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The pharmacological action of Panax ginseng compiled from the numerous repor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On central nervous system, the effect of Panax ginseng is timulatory in smaller doses and somewhat depressive in larger doses. From the psychopharmacological aspect, ginseng seems to increase the mental efficiency of man. 2. Ginseng has the effect tending to Protect organism from various physical and chemical stresses. 3. The growth and basal metabolic rates of experimental animals are stimulated by ginseng. Ginseng also prolongs the survival time of animals under adverse influences. 4. Increasing the physical and mental efficiency, ginseng postpones the onset of fatigue and increases the working capacities. 5. In the case of the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ginseng, a transitory and slight hypotensive effect is observed. These hypotensive effects seems to include that of a direct action and actions related to the release of histamine and/or serotonin by ginseng. 6. It is Presumed that ginseng lowers the elevated bleed ingar and cholesterol level. 7. Ginseng tends to increase the gastrointestinal motizity and tone 8. It is presumed that ginseng Promotes the iron metabolism and activates the hematopoietic factors. 9. Ginseng tends to stimulate the biosynthesis of nucleic acid and release of histamine and serotonin. 10. The toxicity end adverse reactions of ginseng appear to be nothing that warrants apprehension. 11. Anticancer erects of ginseng seem to be due to indirect action rather than direct action on cancer cell, by improving the host condition 12. Recent clinical trials of ginseng harts obtained sent good results, but Present trial is still limited in its range, so it is necessary to broaden the scope of trial covering many kinds of organs and diseases. From the above, although it appears that substantial advancements have been achieved in the studies on the Pharmacological actions of Panax ginseng there are many discrepancies noticed in the reported data. Furthermore the precise mechanisms of actions of ginseng are sometimes obscure, even unknown in other actions as the students stand now. The main reasons for this are considered to be that even though saponin has been identified at one of the active substances of ginseng, other components have not fully been identified and that the experimental approaches of the investigations varied with different researchers. Thus a thorough analysis of the chemical components and newer standardized concepts and metohds appear to be the pre-requisites for further study of the pharmacolgical effects and mechaisms of Panax ginseng.

  • PDF

홍화씨 폴리페놀이 HMG-CoA reductase, LDL 산화 및 Apo A1 분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lyphenols from Safflower Seed on HMG-CoA Reductase (HMGR) Activity, LDL Oxidation and Apo A1 Secretion)

  • 조성희;박영이;윤지영;최상원;하태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79-283
    • /
    • 2006
  • 홍화씨의 폴리페놀 성분들이 HMGR 활성, LDL-oxidation과 Hep3B 세포로부터의 Apo A1 분비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홍화씨 성분은 matairesinol(lignan), acacetin(flavone) 및 N-feruloylserotonin과 matairesinol의 대사산물인 enterolactone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HMCR 저해활성은 mevastatin이 53%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다음은 홍화씨 serotronin 유도체인 N-feruloylserotonin이 45%의 저해활성을 보여 홍화씨 폴리페놀 중에서는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genistein은 35%의 활성을 보인 반면 나머지는 활성이 거의 미미하였다. N-feruloylserotonin의 활성은 용량 의존적 반응을 나타내었다. LDL 산화 억제효과는 사용한 모든 홍화씨 폴리페놀성분에서 나타났는데, 특히 N-feruloylserotonin에서 가장 강한 활성을 보였고 역시 용량 의존적 반응을 보였다. Hep3B에서의 Apo A1 분비능은 mevastatin에서 가장 높았고 enterolactone, genistein 및 ${\beta}-estradiol$에서 분비 증강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홍화씨 폴리페놀 성분들은 콜레스테를 생합성과 LDL의 산화를 억제시킴으로서 지질대사 및 동맥경화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늘의 지방질(脂肪質) 및 지방산(脂肪酸) 조성에 관한 연구 (Lipi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Garlic (Allium sativum Linnaeus))

  • 양규열;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88-393
    • /
    • 1982
  • 우리나라에서 재배 수확한 6쪽 및 여러쪽 마늘을 클로로포름-메탄올-물(1.0 : 2.0 : 0.8)의 용매로 추출한 지방질의 조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시료 마늘중의 총지방질의 함량은 신선물 100g 중 $310{\sim}342mg$였으며, 이중 중성지질은 $36.4{\sim}43.5%$, 당지질은 $20.3{\sim}24.3%$, 인지질은 $36.2{\sim}39.3%$이였다. 2. 중성지질중에는 TG가 가장 함량이 많았고(중성지질의 $80.5{\sim}83.6%$), 그 외에 SE, FS, FFA와 잠정적으로 동정한 1,3-DGA, 1,2-DGA, CA가 부성분으로 존재하였다. 3. 당지질중에는 ESG와 SG가 전체 당지질의 70%을 차지하는 주요성분이었고, 그 외에 DGDG, MGDG, CB, SL가 부성분으로 존재하였다. 4. 인지질중에는 PC와 PS 및 PE가 전체 인지질의 85%을 차지하는 주요성분이었고 그 외에 PI, PA가 부성분으로 존재하였다. 5. 총지방질 및 각 지방질 획분의 지방산 조성은 다같이 리놀레산, 팔미트산, 올레산, 리놀렌산이였다. 그러나 당지질 획분은 중성지질 및 인지질 획분보다 리놀레산의 함량이 적고, 중성지질 획분보다 팔미트산의 함량이 많으며 중성지질 및 인지질 획분은 당지질 획분보다 리놀렌산의 함량이 적었다.

  • PDF

신(新) 감미(甘味) 자원(資源) Stevioside의 안전성(安全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afety of Stevioside as a New Sweetening Source)

  • 이상직;이갑랑;박정융;김광수;채범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24-231
    • /
    • 1979
  • 감미(甘味) 식물(植物) stevia의 추출물(抽出物)(주(主) 감미(甘味) 성분(成分),stevioside)을 흰쥐에 투여함으로써 본 감미 성분의 안전성(安全性)을 검토하였다. 복강내(腹腔內) 주사(注射)로 치사(致死)를 $LD_{50}$를 측정한 결과 추출물(抽出物)로 보아서는 3,400 mg/Kg이고 stevioside로 보면 1,700 mg/Kg이었으며, stevia 추출물의 56일간에 걸친 다량(多量) 구광(口腔) 투여(投與)$(2.5{\sim}5.0\;g/Kg{\cdot}day)$에도 실험 동물의 성장(成長)에 아무 장애(障碍)가 초래되지 않았다. 56일간 구강 투여 후의 전혈(全血) 검사(檢査)(RBC, WBC, Hb 및 Hct), 혈청(血淸) 성분(成分) 분석(分析)(총 단백질, 혈당(血糖), 콜레스테롤 및, GOT 등 17개 조사 항목) 및 간(肝) 조직(組織) 검사(檢査)(간 세포 핵퇴폐(核頹廢)), Kupffer 세포의 증식(增殖), 문맥성(門脈城) 섬유화(纖維化) 등 11개 소견(所見))는 총 33개 항목인데, 그 중 lactate dehydrogenase (LDH) 활성을 제외하고는 모두 대조군(對照群)과 시험군(試驗群) 사이에 유의차(有意差)를 볼수 없었다. 상기한 실험 결과에 입각하여 stevia 추출물 및 stevioside는 흰쥐에 대하여 급성(急性) 및 아급성(亞急性) 독성(毒性)을 발현(發現)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국산 적송수피 추출물의 브로일러에 대한 항생제 대체효과 (Effect of Dietary Antibiotic Replacement with Korean Red Pine Bark Extracts in Broiler Diets)

  • 박병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047-1053
    • /
    • 2010
  • 본 연구는 브로일러의 성장능력, 도체특성, 혈액지질, 면역능력 및 맹장미생물 변화에 관한 국산 적송수피추출물의 항생제 대체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처리구는 대조구, 항생제 첨가구, 적송수피추출물 65ppm 및 80 ppm 첨가구 등 4개로 구분하여 완전임의배치였다. 브로일러의 성장능력, 도체특성, 도체중, 도체율, 가슴살과 다리살 무게는 적송수피추출물 80 ppm의 첨가구가 대조구, 항생제 첨가구와 비교할 때 유의하게 높았다. 복강지방은 브로일러 사료 내 2개의 서로 다른 수준의 적송수피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 및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흉선, 비장 및 F낭 등 면역기관 무게는 적송수피추출물 80 ppm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브로일러의 혈액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은 브로일러 사료 내 2개의 서로 다른 수준의 적송수피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 및 항생제 첨가구와 비교할 때 유의하게 낮았다. 혈액 IgG는 브로일러 사료 내 적송수피추출물 80 ppm 첨가구가 대조구 및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브로일러 맹장 내 Bifidobacterium, Lactobacillus 균수는 적송수피추출물 80 ppm 첨가구가 대조구 및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서 높았으나 Escherichia coli, Salmonella 균수는 감소하였으며 처리구 간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브로일러 사료 내 항생제 대체제로서 국산 적송수피추출물 80 ppm을 첨가, 급여해주면 브로일러의 성장능력, 도체특성, 면역능력 향상 및 유익한 맹장미생물의 활성을 높여줄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단기 알코올 투여 시 마늘과 한약재 복합물이 체내 지질 조성 및 간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and Medicinal Plants Composites on the Liver Function and Lipid Metabolism of Rats Administered with Ethanol During the Short-term)

  • 강민정;신정혜;이수정;정미자;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934-942
    • /
    • 2009
  • 40% 알코올을 1주간 경구투여한 후 마늘 및 한약재 복합물을 각각 0.5%와 1%(GMP-I) 및 1%씩 (GMP-II) 식이에 혼합하여 3주간 급이하였을 때, 흰쥐의 체내 지질 성분 및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in vitro상에서 마늘 추출물의 ADH 활성은 20% 알코올농도에서 시료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ALDH 활성은 마늘 추출물 첨가 시 무첨가구보다 활성이 낮았으나, 한약재 추출물 첨가 시 40%의 알코올농도에서 시료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상승되었다. 알코올 투여 흰쥐에서 혈당은 마늘과 한약재 복합물의 급이시 마늘의 급이량이 많아질수록 혈당 저하에 효과적이었다. 혈중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인지질은 마늘과 한약재 복합물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마늘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체내 지질 감소 효과가 높았다. GOT, GPT, r-GTP 및 ALP 활성은 마늘 및 한약재 복합물의 급이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중 TBARS 함량은 마늘 및 한약재 복합물 급이 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의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도 마늘 및 한약재 복합물 급이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TBARS 함량은 마늘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생성이 억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