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opropanol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1초

대장균 변이주를 이용한 Chloropropanol 변이원성 기구의 해석 (Mutagenic Mechanism of Chloropropanols in Escherichia coli)

  • 송근섭;한상배;최동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46-251
    • /
    • 1999
  • 다양한 유전형질을 갖고 있는 E. coli WP series, E. coli TK series 및 E. coli GW series 변이주들을 이용하여 chloropropanol의 변이원성 기구를 해석하였다. 3종류의 chloropropanol 모두 E. coli WP2s와 WP67에서는 돌연변이활성이 나타났으나 E. coli WP2와 CM611에서는 변이원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2,3-DCP>3-MCPD>1,3-DCP 순으로 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내었다. E. coli WP2s와 비교하여 E. coli WP2 $(WP2s\;uvrA^+)$에서 돌연변이활성이 크게 감소한 반면 균 생존율이 상당히 증가한 결과로부터 절제수복에 의해 쉽게 제거되는 DNA 손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E. coli CM611(WP2s lexA102)에서 돌연변이활성 및 균 생존율 모두 상당히 감소된 결과로부터 이들 물질에 의한 주요 DNA 손상이 SOS 수복 의존성임이 시사되었다. 또한 E. coli TK610 (umuC)에서의 돌연변이율과 균 생존율은 그 대조 균주인 E. coli TK603 $(umuC^+)$에 비하여 상당히 감소하여 chloropropanol에 의한 돌연변이 유발은 umuC가 관여하는 SOS 수복을 통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E. coli GW1105 [lexA3 (Ind)]와 GW1107 [lexA51 (Def)] 두 균주에서 ${\beta}-galactosidase$의 활성이 chloropropnaol 첨가에 의해 변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SOS 반응의 repressor로 작용하는 LexA에 대하여 chloropropnol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hloropropanol에 의한 DNA 손상은 가장 기본적인 수복계라 할 수 있는 절제수복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으며, 돌연변이의 발생은 주로 SOS 수복계를 통하여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OS Chromotest 및 Ames test에서의 Chloropropanol류의 변이원성 (Mutagenicity of Chloropropanols in SOS Chromotest and Ames Test)

  • 송근섭;한상배;엄태붕;최동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464-1469
    • /
    • 1998
  • 3-Chloro-1,2-propanediol (3-MCPD), 1,3-dichloro-2-propanol (1,3-DCP), 2,3-dichloro-1-propanol (2,3-DCP)과 같은 chloropropanol들이 일부 식품에서 검출됨으로서 위해성 논란이 제기되었기에 본 연구에서는 Ames test와 SOS Chromotest를 이용하여 미생물 시험계에서의 chloropropanol류의 유전독성 및 변이원성을 검토하였다. E. coli PQ37에서는 1,3-DCP를 제외한 3-MCPD와 2,3-DCP는 뚜렷한 용량반응 관계를 보이며 SOS반응 유도활성을 나타내어 유전독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3-MCPD보다는 2,3-DCP가 강한 유도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E. coli PQ35 (PQ37 $uvrA^+)$에서는 SOS반응 유도활성이 E. coli PQ37에서 보다 매우 낮은 반면에, E. coli PQ243 (PQ37 tagA alkA)에서는 매우 높게 나타남으로서 이들 물질에 의하여 유도되는 DNA 손상은 절제수복에 의해 수복될 수 있는 손상과 절제수복에 의해 수복되지 않으며 adaptive response를 유도할 수 있는 3-methyladenine 또는 이와 유사한 손상 등이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 typhimurium TA100을 이용한 Ames test에서도 3-MCPD와 2,3-DCP는 뚜렷한 용량반응 관계를 보이며 강한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었으나 SOS Chromotest에서와는 달리 1,3-DCP 또한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냈으며, 변이활성정도는 2,3-DCP>3-MCPD>1,3-DCP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 typhimurium TA98과 TA97a에서는 돌연변이활성이 미미하게 나타남으로서 chloropropanol류에 의한 돌연변이는 주로 염기치환에 의한 작용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S. typhimurium TA1535 (-R factor plasmid)에서 3-MCPD와 2,3-DCP의 돌연변이활성이 S. typhimurium TA100에 있어서 보다 상당히 낮은 결과로부터 이들 물질에 의한 돌연변이 유발은 주로 SOS수복 의존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Amestest와 SOS Chromotest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3-MCPD와 2,3-DCP는 3-methyladenine 또는 이와 유사한 DNA 손상에 의한 SOS수복 비의존성 돌연변이 및 SOS반응 유도성 손상, 특히 절제회복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손상에 의한 SOS수복 의존성 돌연변이를 동시에 일으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한 식품 중 클로로프로판올 화합물 분석 (A sensitive analytical method for determination of 3-monochloropropane-1,2-diol and 1,3-dichloropropan-2-ol in various foods by gas chromatography with mass spectrometer)

  • 김은주;박성국;최동미
    • 분석과학
    • /
    • 제21권6호
    • /
    • pp.543-552
    • /
    • 2008
  • 식품 중 클로로프로판올 화합물인 3-MCPD (3-monochloropropane-1,2-diol, $C_3H_7ClO_2$, MW. 110) 및 1,3-DCP (1,3-dichloropropan-2-ol, $C_3H_6Cl_2O$, MW. 128)를 분석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확립하였다. 시료를 5M NaCl용액으로 균질화 한 후 알루미늄옥사이드와 섞어 유리컬럼에 충진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시료 중 클로로프로판올 화합물을 용출하였다. 용출된 클로로프로판올 화합물은 감압증류장치와 질소가스로 농축한 뒤 HFBA (Heptafluorobutyric anhydride, $C_8F_{14}O_3$, MW. 410)로 유도체화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3-MCPD-HFBA 유도체화 화합물(MW. 502)은 m/z 253, 275, 289, 291, 453를 선택이온으로 하고 1,3-DCP-HFBA 유도체화 화합물(MW. 325)은 110, 275, 277를 선택이온으로 설정하여 정성 정량 하였다. 확립된 분석법의 정량한계는 3-MCPD 및 1,3-DCP 모두 0.01 mg/kg이었고, 0.01~1.00 mg/kg의 농도범위에서 직선성($R^2{\geq}0.999$)이 좋았으며 평균회수율은 약 97%내외였다. 확립된 분석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식품 중 클로로프로판올 화합물을 조사한 결과, 0.0~0.3 mg/kg (n=56/157) 수준으로 3-MCPD로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