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ophyll index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18초

질산희토비료가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astnasite Nitrate Fertilizer on the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 김영선;함선규;전성진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9-93
    • /
    • 2011
  • 본 연구는 질산희토비료의 시비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처리구는 비료의 시비량에 따라 무처리구(NF), 복합비료 만을 시비한 대조구(CF), 질산희토비료의 처리량에 따라 $0.3{\cdot}g{\cdot}m^{-2}$, 0.5 $g{\cdot}m^{-2}$, 1.0 $g{\cdot}m^{-2}$을 각각 처리한 처리구1(RE-1), 처리구2(RE-2), 처리구3(RE-3)이었고, 질산희토비료만을 처리한 처리구4(RE-4)였고, 각 처리구는 난괴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고, 엽색지수 및 엽록소지수와 같은 잔디품질, 잔디밀도, 건물중 및 잔디양분함유량을 조사하였다. 시험 전후 토양분석결과, 질산희토비료에 따른 토양화학성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아 질산희토비료의 시비가 골프코스의 토양화학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엽색지수와 엽록소지수를 조사한 결과, 질산희토비료의 시비 에 따라 비슷하거나 약간 증가하였고, RE-2의 처리가 가장 좋은 잔디품질을 나타내었다. 잔디밀도 조사 결과, 질산희토비료의 시비에 단일시비에 의해 9%증가하였고, 관행시비에 첨가하여 시비할 경우 RE-2에서 22%증가하였으며, 잔디 건물중은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잔디 성분 중 질소함량이 질산희토비료를 처리한 잔디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질산희토비료는 크리핑벤트그래스에서 질소흡수가 촉진되고, 잔디밀도를 향상되어 잔디품질을 향상시키는 가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개량 SCB 저농도액비가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eveloped SCB Liquid Fertilizer on the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 함선규;김영선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0-105
    • /
    • 2011
  • 본 연구는 SCB 저농도액비애 질소, 인산, 칼리 성분을 첨가한 개량SCB액비(DSCB)의 시비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처리구를 비료의 종류와 시비량에 따라 무처리구(NF), 대조구(CF), 100DSCB(250 $ml{\cdot}m^{-2}$ DSCB), 80DSCB (200 $ml{\cdot}m^{-2}$ DSCB) 및 화학비료+SCB(CF+SCB)로 설정하여 처리한 후 엽색지수, 엽록소지수, 건물중, 잔디밀도 및 잔디의 양분함유량을 조사하여 생육을 평가하였다. 시험 전후 토양 분석결과, 처리구에 따른 토양화학성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아 DSCB와 SCB의 시비가 골프코스의 토양화학성의 변화에 영향을 마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엽색지수와 엽록소 지수를 조사한 결과, DSCB와 CF+SCB처리구는 NF보다 각각 2~3%와 14~19% 증가하였고, CF와는 비슷하였다. 잔디밀도 조사결과 DSCB처리구는 CF와 비슷하였고, CF+SCB는 CF보다 약 19% 증가하였다. CF와 비교할 때, 잔디생육량은 DSCB와 SCB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잔디에 함유된 양분은 CF+SCB에서는 질소가, 80DSCB에서는 인이 높게 조사되었다. 이들 결과를 볼때 DSCB와 SCB의 처리는 크리핑벤트그래스에서 양분흡수와 잔디밀도가 증가하여 잔디 품질을 향상시키는 가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가축분뇨발효액비와 미생물제제 종류별 시용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과 토양중 대취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osted Liquid Manure and Microbial Agent Types on Growth and Thatch Decomposing of Creeping Bentgrass)

  • 임지연;함선규;이영민;차영기
    • 유기물자원화
    • /
    • 제22권4호
    • /
    • pp.54-61
    • /
    • 2014
  • 본 연구는 Bacillus sp.와 Actinomyces sp.을 포함하는 미생물배양액, 일본산입상미생물 및 미국산입상미생물 등의 기능성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성비료의 시비가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잔디생육과 토양 대취분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비료의 종류에 따라 대조구(CF), 미생물배양액(M), 미생물배양액과 가축분뇨발효액비(M-L), 미생물배양액과 가축분뇨발효액비 및 아미노산액비(M-L-A), 일본산 입상미생물(JGM), 미국산 입상미생물(USGM)였다. 시험 전후 토양분석결과, pH는 시험 후에 전보다 모든 처리구에서 약간 증가하였고, 시험 종료 후 처리구간의 토양화학성은 비슷하여 공시비료의 시비는 토양환경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잔디생육 조사결과, 엽색지수와 엽록소지수는 관행구와 비교할 때, 처리구에서 높았고, 관행구과 처리구들사이에는 조사시기별 변화경향은 비슷하나 M-L-A와 M-L처리구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잔디뿌리는 M-L에서 더 길었다. 대취함량 조사결과, 관행구와 비교할 때, 처리구에서 감소하였고, 관행구와 처리구들사이에는 M처리구가 관행구보다 대취분해에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 결과, Bacillus sp.와 Actinomyces sp.을 함유하는 배양미생물 처리는 다른 미생물제제에 비하여 크리핑벤트그래스의 뿌리생육과 토양 내 대취분해를 촉진하여 잔디품질을 향상시키는 잔디성장촉진 기능이 있는 비료임을 알 수 있었다.

가축분뇨 액비의 시비에 따른 한국 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posted Liquid Manure on the Growth of Zoysiagrass)

  • 함선규;김영선
    • 유기물자원화
    • /
    • 제22권4호
    • /
    • pp.45-53
    • /
    • 2014
  • 본 연구는 SCB 저농도 액비에 질소, 인산, 칼리 성분을 첨가한 개량 SCB 액비(DSCB)의 시비에 따른 한국 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처리구는 비료의 종류와 시비량에 따라 무처리구(NF), 화학비료를 시비한 대조구(CF), 유안으로 질소 성분을 보정한 DSCB를 80% 시비한 처리구 1(DSCB-A1), 유안으로 질소 성분을 보정한 DSCB를 100% 시비한 처리구 2(DSCB-A2), 요소로 질소 성분을 보정한 DSCB 처리구(DSCB-U) 그리고 대조구에 SCB를 시비한 처리구(CF+SCB)로 설정하여 엽색 지수, 엽록소 지수, 건물 중 및 잔디의 양분 함유량을 가지고 생육을 평가하였다. 엽색 지수와 엽록소 지수를 조사한 결과, NF보다 각각 1~3%와 14~28% 증가하였고, CF와 비교할 때, DSCB-A1, DSCB-A2 및 CF+SCB의 엽록소 지수는 약 7~12% 높게 조사되었다. 잔디 생육량은 DSCB-A1와 DSCB-A2에서 CF보다 25%와 19%씩 증가하였고, 질소 흡수량은 19%와 6%씩 증가하였다. DSCB-A1은 잔디 품질과 잔디생육 및 시비 효율이 가장 효과적인 처리구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한국 잔디에서 DSCB-Al의 시비는 화학비료보다 양질의 잔디품질을 보여 골프코스 관리에서 DSCB-A1의 활용은 화학비료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유산균(Lactobacillus fermentum) 함유 미생물제제의 크리핑 벤트그래스 밀도개선 효과 (Microbial Fertilizer Containing Lactobacillus fermentum Improved Creeping Bentgrass Density)

  • 조기웅;김영선;함선규;배은지;이재필;김두환;김우성;이긍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4호
    • /
    • pp.322-332
    • /
    • 2017
  • 골프장 잔디 관리에서 미생물제제는 잔디의 생육 및 품질을 개선하고, 병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는 유산균(Lactobacillus fermentum)을 함유하는 미생물제제의 처리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무처리구(NF), 대조구(CF), 미생물제제 처리구(MFcL: microbial fertilizer containing L. fermentum; MFL: CF+MFcL $1.0g\;m^{-2}$; 2MFL: CF+ MFcL $2.0g\;m^{-2}$) 및 미생물제제 단독 처리구(OMF; MFcL $1.0g\;m^2$)로 설정하였다. 시험 종료 후 토양 화학성은 처리구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MFcL의 처리가 토양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MFcL 처리 시 잔디의 시각적 품질, 잔디 예지물, 잔디 중 무기 성분 함량 및 흡수량은 대조구와 비슷하였다. 잔디 밀도는 MFcL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약 20% 정도 증가하였다. 이들 결과는 유산균을 함유하는 미생물제제의 처리는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밀도를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포닌과 아미노산 함유비료의 살포가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 (The Growth Effects of Creeping Bentgrass by Application of Liquid Fertilizer with Saponin and Liquid Fertilizer with Amino Acid)

  • 김영선;함선규;이재필;황영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4-59
    • /
    • 2012
  • 본 연구는 사포닌과 아미노산 함유비료를 크리핑벤트그래스에 관주시비하여 잔디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복합비료를 대신하여 잔디관리에 이용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엽색지수, 엽록소지수, 건물중, 잔디밀도, 뿌리길이 및 잔디의 양분함유량을 조사하여 생육을 평가하였다. 시험 전후 토양분석결과, 처리구에 따른 토양화학성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아 SLF와 ALF의 시비가 골프코스의 토양화학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벤트그라스의 엽색지수와, 엽록소지수는 2SLF와 2ALF에서는 엽색지수와 엽록소지수가 CF와 비슷하거나 약간 높았고, 잔디밀도와 뿌리길이는 2SLF, ALF 및 2ALF에서 CF보다 높았다. 건물중과 잔디 중 질소와 칼리함량은 2ALF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잔디품질은 뿌리길이, 잔디밀도, 건물중 및 질소와 칼륨함량에 대해 고도의 상관성을 보였고(P<0.05), 잔디에 함유된 질소는 잔디밀도, 뿌리길이 및 건물중과 같은 잔디생육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P<0.05), 잔디에 함유된 칼륨은 잔디밀도와 건물중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P<0.05).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기능성물질이 함유된 비료는 복합비료를 대신하여 잔디관리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고, 기능성액상비료의 관주시비 시 질소와 칼륨이 잔디에 흡수되어 잔디 지상부 및 지하부생장과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잔디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원 식물의 차광 조건별 광화학적 생리지표 해석 (Photochemical Index Analysis on Different Shading Level of Garden Plants)

  • 강홍규;김태성;박소현;김태완;유성영
    • 환경생물
    • /
    • 제34권4호
    • /
    • pp.264-271
    • /
    • 2016
  • 본 연구는 엽록소 형광반응 (OJIP)분석을 통해 차광처리에 따른 정원 식물의 광 이용효율을 평가 및 분석하고자 하였다. 10종의 정원식물을 대상으로 50% 및 80% 차광 조건에서 엽록소 형광반응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75일 차광조건에서 가장 낮은 광이용 효율을 보였다. 차광처리 시 광계II 전자전달에너지플럭스 ($ET2_O/RC$)는 증가 경향을 보였으나 광계I 전자전달에너지플럭스($RE1_O/RC$) 및 PI 등 광이용 효율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광화학 매개변수 중 $F_V$, $FV/F_O$, $RE1_O/RC$, $ET2_O/RC$, $PI_{TOTAL\;ABS}$, $DF_{TOTAL\;ABS}$ 등 19개 parameter가 광화학 반응의 효율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SFI평가를 통해 10종의 정원식물 중 수호초(I), 꽃범의꼬리(II), 무늬사초(II)등 3종의 식물이 내음성이 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광화학 반응에 근거한 일조 스트레스지수(SFI)는 정원식물의 내음성 평가에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 시비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과 품질 변화 (Growth and Quality Changes of Creeping Bentgrass by Application of Keratin Amino Acid Fertilizer)

  • 조기웅;김영선;함선규;이재필;김두환;김우성;이긍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4호
    • /
    • pp.260-267
    • /
    • 2016
  • 아미노산은 식물에서 질소 동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대사물질이며, 단백질을 발효하여 얻어진 부산물은 아미노산비료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의 시비에 따른 잔디의 생육과 품질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엽색지수, 엽록소지수, 잔디 줄기 밀도, 잔디 예지물, 잔디 중 양분 함량 및 양분 흡수량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무처리구(NF), 대조구(CF),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 추천량처리구(CKF)와 배량처리구(2CKF) 및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 단독 처리구(KF)로 구분되었다.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 처리에 후 처리구별 토양화학성, 잔디의 엽색지수 및 엽록소지수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잔디 줄기 밀도와 잔디 예지물은 케라틴 아미노산비료를 시비한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 단독처리구나 복합비료와 함께 처리한 처리구에서 각각 25~35%와 11% 정도씩 증가하였다. 잔디중 양분 함량은 처리구별로 비슷하였으나 잔디의 양분 흡수량은 질소와 칼륨이 CKF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크리핑 벤트그래스에서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의 시비는 잔디의 질소와 칼륨의 흡수를 촉진함으로써 잔디 줄기 밀도와 생육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열풍건조와 동결건조에 따른 수창포(Acorous calamus L.) 분말의 부위별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wder from Hot Air and Freeze Dried Leaves and Roots of Acorous calamus L.)

  • 범희주;강대진;이병두;손진한;임지순;은종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451-1457
    • /
    • 2007
  • 수창포의 부위별 건조조건을 달리한 분말의 일반성분, 당 및 클로로필 등을 분석 검토하였다. 각 부위별 수분의 함량은 모두 온도가 증가할수록 낮았고, 동결건조를 실시한 시료가 가장 낮았다. 회분함량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같거나 높아졌으며 동결 건조한 시료의 함량이 가장 낮았다. 조지방과 조단백 함량은 각 부위별 건조방법에 따라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색도 중 잎의 품질특성에 중요한 $a^*$값은 잎상부가 하부에 비하여 $a^*$값이 낮아 품질 면에서 우수하였다. 클로로필 함량 역시 잎상부가 하부에 비하여 함량이 높았다. 환원당함량은 뿌리에 높았으며, 특히 $40^{\circ}C$ 열풍 건조한 시료가 가장 높았으며, 총당 함량은 건조조건별로 차이가 없었으며 잎상부가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은 창포의 잎에서 상당히 높은 함량은 보였으며, 건조조건에 따라서 유의성 검정 결과 큰 차이는 없었지만 잎이 뿌리보다 상당히 높은 함량은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는 뿌리와 잎에서 고른 분포를 나타내었으나 잎상부가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로 시료의 품질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동결건조를 실시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자작나무 콘테이너묘(苗)의 경화단계(硬化段階) 생장(生長)에 미치는 UV-B 와 수분(水分)스트레스의 효과(效果) (Effects of UV-B Radiation and Water Stress on Hardening Phase Growth of Container-Grown Betula platyphylla Seedlings)

  • 김종진;홍성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4호
    • /
    • pp.601-610
    • /
    • 1998
  • 본 연구는 시설에서 자란 콘테이너 묘목(苗木)의 경화과정(硬化過程)에 UV-B의 이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생장상(生長箱)에서 4개월간 생육(生育)시킨 자작나무 묘목을 대상으로 UV-$B_{BE}$ $3.2KJ\;m^{-2}\;day^{-1}$$5.2KJ\;m^{-2}\;day^{-1}$ 수준의 UV-B 처리와 수분(水分)스트레스 처리(處理)를 4주간 실시하여 경화처리 전(前), 후(後)의 생장(生長) 및 생리적(生理的)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UV-B 또는 수분스트레스 처리는 수고생장(樹高生長), 잎의 건물량축적(建物量蓄積)을 감소시켰다. UV-B 처리는 근원경생장(根元徑生長)을 감소시켰으나 수분스트레스 처리는 근원경생장을 증진시켰다. UV-B 처리 또는 수분스트레스 처리에 의한 잎의 건물량감소는 묘목의 T/R율을 감소시켰다. T/R율의 감소효과는 수분스트레스 처리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엽록소(葉緣素) 지수(指數)는 UV-B 5.2에서 가장 낮았으며 UV-B 3.2와 수분스트레스 처리에서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UV-B 또는 수분스트레스 처리는 콘테이너 묘목의 함수율(含水率)과 수분포텐셜을 낮추었으며 삼투압(滲透壓)을 높혔다. 경화처리에 의한 잎과 줄기의 함수율 감소는 UV-B 처리에 의해서는 빠르게 일어났으나 수분스트레스 처리에 의해서는 보다 서서히 일어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자작나무 콘테이너 묘목의 경화단계에 처리된 UV-B에 의한 생장반응(生長反應) 및 수분생리(水分生理) 변화는 수분스트레스 처리에서의 효과와 유사한 면이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