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ophyll a and b

검색결과 466건 처리시간 0.032초

규산 함유 액상비료 시비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과 품질 변화 (Growth and Quality Changes of Creeping Bentgrass by Application of Liquid Fertilizer Containing Silicate)

  • 김영선;이창은;이긍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3호
    • /
    • pp.170-176
    • /
    • 2016
  • 본 연구는 규산 함유 액비(LFSi)의 시비에 따른 잔디의 생육과 품질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잔디의 가시적 품질, 줄기 밀도, 뿌리 길이, 엽록소 함량, 예지물 및 양분 함량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CF), LFSi 1,000배 처리구(SiF-1), LFSi 500배 처리구(SiF-2) 및 LFSi 250배 처리구(SiF-3)로 구분되었다. LFSi 처리 전후에 토양화학성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LFSi 처리구와 대조구를 비교하였을 때, 잔디 품질은 7월, 10월 및 11월 조사에서 높았으며, 엽록소 함량과 잔디 예지물은 10월 27일 조사에서 증가하였다. 줄기 밀도, 뿌리 길이, 잎조직 내 질소 함량 및 칼륨 함량은 LFSi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잔디 잎 조직 중 규소 함량은 칼리 함량이나 줄기 밀도와 정의 상관성을 보였고, 줄기 밀도는 잔디 품질이나 엽록소 함량과 각각 정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크리핑 벤트그래스에서 규산 함유 액비의 시비는 잔디의 잎 조직 중 칼륨 함량이나 줄기 밀도가 증가되어 가시적 품질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성숙시기 및 저장에 따른 시금치의 클로로필 함량 변화 (Changes of Chlorophyll Contents in Spinach by Growth Periods and Storage)

  • 이미희;한재숙;소궤신행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39-34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노지에 시금치 씨를 뿌려 잎이 처음 나온 후 7, 14, 21, 28, 35일의 성숙시기 및 저장기간과 포장방법에 따른 시금치의 클로로필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성숙시기에 따른 총 클로로필 함량은 잎 부위에서는 성숙될수록 높게 나타났고, 줄기 부위에서는 성숙시기에 따라 일정한 함량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뿌리 부위에서는 잎 부위와 반대로 성숙시기에 따라 감소하였다. 35일 성숙된 시금치 잎은 줄기보다 7.1배, 뿌리보다 99배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클로로필 a와 b의 함량비율은 잎의 경우는 3.2-3.7:1, 줄기는 2.5-3.2:1, 뿌리는 0.7-1.4:1를 나타내어 뿌리의 경우 현저하게 낮은 경향을 보였다. 시금치 잎 부위의 성숙시기에 따른 클로로필과 클로로필 관련색소의 변화에서 클로로필 a, b는 성숙될수록 클로로필의 함량이 많아졌고 페오포비드 a의 경우는 성숙시기에 따라 일정한 변화가 없었고, 페오피틴 a는 성숙 7일째는 $5.07\%$, 14일째는 $4.64\%$, 21일째는 $2.69\%$로 소실되어 성숙 28일째는 수치가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클로로필 함량은 무포장하여 $5^{\circ}C$에서 1, 3, 5, 7, 9일간 저장하였을 때 저장일수가 길수록 클로로필 함량은 완만하게 감소되었고, $20^{\circ}C$에서는 1, 2, 3, 4, 5일 저장하는 동안 급격하게 감소되었다. 총 클로로필의 잔존율을 보면 1, 3, 5일 저장하였을 때 $5^{\circ}C$에서는 96.29, 90.79, $85.74\%,\;20^{\circ}C$에서는 82.75, 44.53, $33.07\%$로 나타나 $5^{\circ}C$에서 5일 저장한 시금치가 $20^{\circ}C$에서 1일 저장한 시금치보다 클로로필의 잔존율이 높아 $5^{\circ}C$에서 저장하는 것이 클로로필의 함량이 보존됨을 알 수 있었다. 시금치를 무포장, 폴리에틸렌백과 신문지로 포장하여 5, $20^{\circ}C$에서 1, 5일 저장하여 비교한 클로로필 함량은 $5^{\circ}C$에서 1, 5일간 저장한 경우는 폴리에틸렌백으로 포장한 시금치가 가장 많은 클로로필을 보유하였고, $20^{\circ}C$에서 1일 저장하였을 때는 폴리에틸렌백으로 포장한 시금치가 가장 높은 클로로필 함유량을 나타냈지만 저장 5일째에서는 무포장하여 저장한 시금치가 가장 높은 클로로필 함유량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시금치를 1일 저장할 때 폴리에틸렌백으로 포장하여 저장하는 것이 클로로필의 파괴를 최소화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대한해협에서 분리한 초미세 녹조플랑크톤의 미세구조 (The Ultrastructure of the Chlorococcalean Picoplankton Isolated from the Western Channel of the Korea Strait)

  • 정익교;강윤향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29-536
    • /
    • 1995
  • 1994년 5월 대한해협 서수로 표층에서 초미세식물플랑크톤을 분리, 배양하였다. 0.2${\sim}$2.0 ${\mu}m$ 범위에서 여과분리 및 희석법으로 단일종으로 분리하여 f/2 배양액으로 배양하였다. 개체의 외형은 구형이었고 지름은 2 ${\mu}m$ 내외였으며, 배양된 개체군은 황록색을 보여주었다. 표면은 매끈하였고 세포벽으로 싸여진 세포에서 핵, 엽록체, 미토콘드리아, 골기체, 액포 등이 확인되었다. 분리된 종은 엽록소 a와 b를 갖는 색소 구성과 세포막, 틸라코이드막구성, 피레노이드 등을 포함하는 미세구조 특성으로 볼 때 녹조류에 속하는 클로렐라의 일종으로 보인다.

  • PDF

사상공단(沙上工團) 주변(周邊)의 대기오염(大氣汚染)이 해송림(海松林)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Air Pollution on the Pinus thunbergii Forest in the Vicinity of Sasang Industrial Complex in Korea)

  • 김점수;이강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486-497
    • /
    • 1994
  •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이 사상공단(沙上工團) 주변(周邊)의 해송림(海松林)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아보기 위하여 공단주변(工團周邊)의 해송림(海松林)에서 가시적(可視的)인 피해(被害), 엽내(葉內) 엽록소(葉綠素), 무기성분(無機成分) 및 오염물질(汚染物質) 등(等)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해송엽(海松葉)의 변색(變色)은 공단(工團) 주변(周邊)의 조사지(調査地)에서 심하게 나타났으며, 엽령(葉齡)이 증가(增加)될수록 심하게 나타났다. 피해도지수(被害度指數)는 공단(工團)에서 가까울수록 높게 나타났다. 2. 엽내(葉內) 수용성유황(水溶性硫黃) 함량(含量)은 전(全) 엽령(葉齡) 모두 공단(工團)에서 가까운 조사지(調査地)에서 높았으며, 전(全) 조사지(調査地)에서 대조구(對照區) 보다 높게 나타났다. 3. 엽록소(葉綠素) a의 함량(含量)은 공단(工團)에서 가까운 조사지(調査地)에서 현저히 감소(減少)되었으며, 엽령(葉齡)이 증가(增加)될수록 높게 나타나 엽록소(葉綠素) a는 대기오염(大氣汚染)에 의해 영향(影響)을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엽록소(葉綠素) b의 함량(含量)은 많은 조사지(調査地)에서 대조구(對照區)와 차이(差異)가 없었다. 한편 전체(全體) 엽록소(葉綠素)와 엽록소(葉綠素) a와 b의 함량비(含量比)는 엽록소(葉綠素) a의 감소(減少)로 인하여 공단(工團)에서 인접(隣接)한 조사지(調査地)에서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 있었다. 4. 엽내(葉內) 인산(燐酸)의 함량(含量)은 엽령(葉齡)이 증가(增加)될수록 공단(工團)으로 부터 더 먼 지역(地域)까지 감소현상(減少現狀)이 나타났으며, 칼슘의 함량(含量)은 전(全) 엽령(葉齡)에서 공단주변(工團周邊) 조사지(調査地)에서 감소(減少)되었다. 5. 피해도지수(被害度指數)와 엽록소(葉綠素) a, 전체(全體) 엽록소(葉綠素), 엽록소(葉綠素) a와 b의 함량비(含量比), 칼슘의 함량간(含量間)에는 부(否)의 상관(相關)이 있었고, 피해도지수(被害度指數)와 수용성유황(水溶性硫黃)의 함량(含量) 간(間)에는 정(定)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6. 해송(海松)의 피해도지수(被害度指數), 수용성유황(水溶性硫黃) 함량(含量),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 무기성분(無機成分) 함량(含量) 등에 의해 피해지역(被害地域)을 구분(區分)하기 위해 Cluster분석(分析)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공단주변(工團周邊) 지역(地域)(1-8 조사지(調査地)), 중간(中間) 지역(地域)(9, 10, 11, 12, 15, 17 조사지(調査地)), 대조구(對照區)를 포함한 비교적(比較的) 먼 지역(地域)(13, 14, 16, 18, 19 조사지(調査地)와 대조구(對照區))으로 크게 3개의 작은 집단(集團)으로 구분(區分)할 수 있었다. 7. 가시적(可視的) 피해(被害)를 받은 해송엽(海松葉)의 횡단면(橫斷面)을 관찰(觀察)한 결과(結果), 엽조직(葉組織)은 엽육세포(葉肉細胞)와 수지구(樹脂溝) 주변(周邊)의 후막세포(厚膜細胞)와 내피층(內皮層)이 부분적(部分的)으로 파괴(破壞)되었다.

  • PDF

Analysis on the Pigment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Assemblages using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in the Adjacent Waters of Nuclear Power Plants in Spring

  • Choi, Hyu-Chang;Kang, Yeon-Shik;Choi, Joong-Ki;Song, Tae-Yoon;Yoo, Man-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9권4호
    • /
    • pp.234-242
    • /
    • 2004
  • The pigment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phytoplankton assemblages using HPLC in the adjacent waters of four nuclear power plants (Yonggwang, Kori, Wolsong and Ulchin)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spring blooming in 2004. The mean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a ranged from 563.8 to 2,949.0ng $l^{-1}$, with the lowest concentration at Kori and the highest concentration at Wolsong. Among the carotenoids, the amounts of fucoxanthin and chlorophyll $C_2$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pigments in the study site. As minor pigments, zeaxanthin, chlorophyll b, 19'-butanoyloxyfucoxanthin, diadinoxanthin, 19'-hexanoyloxyfucoxanthin, chlorophyll $C_3$ and peridinin were detected. The results of pigment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showed that diatoms had an important propor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when a spring bloom occurred. Cyanobacteria was present relatively low density at the Wolsong and the green alga such as chlorophytes and prasinophytes were abundant at the Yonggwang and Kori, while dinoflagellates characterized by peridinin were common at Ulchin and Kori. The pigment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phytoplankton af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water system of nuclear power plant were highly variable. No distinct trend of the change of each pigment composition and amount was detected but the variation of fucoxanthin and chlorophyll $C_2$ highly coupled with that of chlorophyll a. We pointed out that the diatom controlled the overall variation of phytoplankton biomass during the spring season.

몇가지 사과품종(品種)의 신초(新梢)에 미치는 SO2 가스의 피해(被害) (SO2 Injury to Shoots in Five Apple Cultivars)

  • 구자형
    • 농업과학연구
    • /
    • 제6권2호
    • /
    • pp.119-124
    • /
    • 1979
  • $SO_2$가스가 사과 Golden Delicious, 축(祝), 국광(國光), Starking, 홍옥(紅玉)등의 신초(新梢)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SO_2$ 가스에 대한 저항성(抵抗性)은 Starking이 가장 높았고 국광(國光)이 가장 낮았다. 2. Ethylene 발생량(發生量)은 가시적(可視的)인 피해(被害)가 나타나지 않은 8시간 처리후(處理後)에 가장 많았으며 처리(處理)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현저(顯著)히 감소(減少)하였고 국광(國光)에서 가장 완만(緩慢)한 발생량(發生量)의 감소(減少)를 보였다. 3. Chlorophyll a,b 그리고 a/b ratio는 국광(國光)에서 가장 높은 감소(減少)를 보였고 기타의 품종(品種)들도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Photosynthetic Response and Protective Regulation To Ultraviolet-B Radiation In Green Pepper (Capsicum annuum L.)Leaves

  • Kim, Dae-Whan;Jun, Sung-Soo;Hong, Young-Nam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8권1호
    • /
    • pp.1-7
    • /
    • 2001
  • The deteriorative effect of ultraviolet-B(UV-B) radiation on photosynthesis was assessed by the simultaneous measurement of O$_2$ evolution and chlorophyll(Chl) fluorescence in green pepper. UV-B was given at the intensity of 1 W$.$m$\^$-2/, a dosage often encountered in urban area of Seoul in Korea, to detached leaves. Both Pmax and quantum yield of O$_2$ evolution was rapidly decreased, in a parallel phase, with increasing time of UV-B treatment. Chl fluorescence parameters were also significantly affected. Fo was increased while both Fm and Fv were decreased. Photochemical efficiency of PSII(Fv/Fm) was also declined, although to a lesser extent than Pmax. Both qP and NPQ were decreased similarly with increasing time of UV-B treatment. However, PS I remained stable. The addition of lincomycin prior to UV-B treatment accelerated the decline in Fv/Fm to some extent, suggesting that D1 protein turnover may play a role in overcoming the harmful effect of UV-B. The amount of photosynthetic pigments was less affected than photosynthetic response in showing decline in Chl a and carotenoids after 24 h-treatment. Presumptive flavonoid contents, measured by changes in absorbance at 270 nm , 300 nm and 330nm, were all increased by roughly 50% after 8 h-treatment. Among antioxidant enzymes, activities of catalase and peroxidase were steadily increased until 12h of UV-B treatment whereas ascorbate perxidase, dehydroascorvate reductase and glutathione reductas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The results indicate that deteriorative effect of UV-B on photosynthesis precedes the protection exerted by pigment synthesis and antioxidant enzymes.

  • PDF

해색 원격탐사를 위한 원격반사도 및 수출광 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Remote Sensing Reflectance and Water Leaving Radiance Models for Ocean Color Remote Sensing Technique)

  • 안유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43-260
    • /
    • 2000
  • 가시광 영역에서 해수의 원격반사($R_{rs}$)도 및 수출광(water leaving radiance: Lw) 스펙트럼 크기를 해수의 광 특성(흡광도; a, 역산란; $b_b$)에 영향을 가장 크게 미치는 3개 물질 즉, 클로로필, 무기성 부유입자, 용해유기물의 량으로 모델링 하였다. 모델은 간략하게 $R_{rs}$=0.046 $b_b$/(a+$b_b$)로 주어졌으며, 모델의 대상 해역은 광특성이 전혀 다른 적조 발생해역, 맑은 해수, 탁수해역으로 나우어 연구하였다. 모델로 얻어진 원격반사도는 형장 관측치와 스펙트럼의 모양, 값의 분포 및 기존의 해색 클로로필 알고리즘 등으로 비교하여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결과는 아주 다양한 광 특성을 같은 해양이라 하여도 본 연구의 모델은 거의 완벽하게 해색 스펙트럼, 원격반사도 혹은 water leaving radiance(Lw)를 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모델은 앞으로 OSMI와 같은 해색위성 알고리즘 개발, CASE-II water 알고리즘, neural network 알고리즘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며 그 외에도 해색 대기보정 모델 개발에서 대기 신호의 정밀 보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ulfite가 보리(Hordeum vulgare L.) 유식물의 녹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lfite on the Greening of Etiolated Barley (Mordeum vuigare L.) Seedling)

  • 박강은;정화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3-140
    • /
    • 1998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lfite on the chloroplast development, etiolated barley seedlings were treated with 100 mM sulfite solution every 3 hour by spraying during 96 hours greening Period. The effects were determined by chlorophyll a, b and carotenoids contents,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activity, chlorophyll fluorescence yield and fluorescence quenching parameters. The contents of chlorophyll a and carotenoids were decreased than that of control by treatment of salfite over 48 hours greening. PS II Is more sensitive to sulfite than PS I Is. And by the addition of DPC to the chloroplasts of the barley seedling treated with sulfite, the photoreduction of DCPIP was not recovered. In greening with suite treated barley leaves, Fo, Fv and Nlh ratio were decreased with little difference from that of control. But qP, qNP and qR were lowed in comparison with those of controls whereas qE was marked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Especially, It is Interesting that qR was decreased markedly compared to that of control. The results in the change of PS I activity, Nf and qP suggest that the strate of Inhibition by suite Is carbon dioxide reduction cycle.

  • PDF

차광처리가 눈개승마 유묘의 생장 및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ading Treatments on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Maxim.) H. Hara Seedling)

  • 이경철;한상균;권영휴;전성렬;이창우;서동진;박완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0-37
    • /
    • 2019
  •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hotosynthetic parameters, chlorophyll content,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seedlings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Methods and Results: The shading treatment was regulated with the shading level (non-shaded, 35%, 55%, and 75% shading). Photosynthetic activities, such as net photosynthetic rate, stomatal conductance, stomatal transpiration rate, and performance index on absorption basis ($PI_{ABS}$)were the highest under 35% shading ($4.36{\mu}mol\;CO_2{\cdot}m^{-2}{\cdot}s^{-1}$, $54.2mmol\;H_2O{\cdot}m^2{\cdot}s^{-1}$, $0.66mmol\;H_2O{\cdot}m^{-2}{\cdot}s^{-1}$, and 1.3, respectively), and the lowest under 75% shading. This implies that the decrease in net photosynthetic rate may be due to an inability to regulate water and $CO_2$ exchanged through the stomata. Thechlorophylla, b, and a + b contents were increased with elevating shading level and the chlorophyll a/b ratio showed non-significant differences. It was found that the dry weight (leaf, shoot, and whole) was the highest (1.14 g, 0.49 g, and 2.31 g, respectively) under 35% shading and the t/R ratio was the highest under 75% shading. Conclusions: It is concluded that 75% shading exhibited a strong reduction of photosynthetic activity, and 35% shading showed the best conditions for the early growth and cultivation of A. dioicus var. kamtschatic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