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ine dioxide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39초

다양한 염소 종이 함유된 수용액에서 자외선 흡수 파장 분해법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선별 정량 분석 (Deconvolution of UV Spectrum for Selective Measurement of $ClO_2$ Concentration Quantitatively in Solution Containing Various Chlorine Species)

  • 변영철;김재훈;장유미;이기만;이재명;신동남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11호
    • /
    • pp.743-750
    • /
    • 2012
  • $ClO_{2(aq)}$ 분석 방법 중 하나인 UV 흡수법은 여러 염소종이 함유된 용액에서는 흡수 파장 겹침 현상으로 분석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UV 파장 분해법을 이용한 다양한 염소종이 함유된 용액의 $ClO_{2(aq)}$ 농도 정량법을 제안하였다. UV 파장 분해법을 이용한 $ClO_{2(aq)}$ 농도 값은 적정법을 이용한 $ClO_{2(aq)}$ 농도 값과 10%내에서 일치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염소 종들이 포함된 시료에서도 제안된 UV 파장 분해법을 적용한다면 $ClO_{2(aq)}$의 선택적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산화염소수와 전해수를 이용한 식중독균의 살균효과 (Bactericidal Effects of Food-borne Bacteria using Chlorine Dioxide and Electrolyzed Water)

  • 이혜린;김수진;방우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32-23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병원균인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 그리고 Escherichia coli O157:H7을 이산화염소수와 전해수에 0분, 2분, 4분, 6분, 8분 및 10분간 반응시켜 이산화염소수와 전해수의 살균 효과를 확인하고, 그람 양성균(B. cereus, S. aureus)과 그람 음성균(S. Typhimurium, E. coli O157:H7)의 민감성 비교를 실시하였다. B. cereus, S. aureus, S. Typhimurium 그리고 E. coli O157:H7의 이산화염소수에서의 D값은 1.85±0.64, 2.06±0.85, 2.26±0.89 그리고 2.59±0.40분으로 나타났고 전해수의 경우 각각 2.13±0.32, 1.64±0.64, 1.71±0.32 그리고 1.86±0.36분으로 나타났다. 각 용액에 처리한 10분 간 모든 균주에서 꾸준한 감소 추세를 나타내었으며 각 용액에서 각 균주의 D값은 서로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0.05). 이산화염소수와 전해수의 살균력을 비교한 결과 D값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pH와 유효염소농도 모두 이산화염소가 전해수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살균·소독을 실시할 대상의 pH에 대한 민감성과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살균제를 선택하고, 최적의 농도를 결정하여 식품 산업에 적용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마이크로버블 장치를 이용한 제지공정 소성로 배기 오염물질 처리 (Treatment of Exhaust Pollutants from a Lime Kiln of Paper-mill with Micro-bubble System)

  • 정재억;정용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025-1032
    • /
    • 2020
  • This work was performed to develop a dip injection wet scrubber (DIWS) system with chlorine dioxide as the oxidant. The exhaust pollutants from a lime kiln of paper-mill were introduced to the system. When NaClO3 was used to oxidize NO into NO2, the oxidation was unsatisfactory and the combination of HNO3 or H2SO4 was required for 100% oxidation. ClO2 is recommended to oxidize NO and SO2 effectively. With the combination of 1st stage of DIWS and ClO2, 57.1% of NOx and 98% of SO2 were effectively removed. In the case of 2nd stage of DIWS and ClO2, 93.5% of NOx and 99% of SO2 were removed. The ClO2+DIWS process was superior to the ClO2+Scrubber process in terms of investment, running cost and NOx removal efficiency.

이산화염소 처리가 어묵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변화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lorine Dioxide Treatment on Microbial Growth and Qualities of Fish Paste during Storage)

  • 신희영;이연주;박인영;김주연;오수진;송경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1호
    • /
    • pp.42-47
    • /
    • 2007
  • 어묵에 이산화염소 용액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미생물에 대한 살균효과 및 품질에 관련된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어묵의 저장 초기, 총 호기성균은 대조구 3.8log CFU/g, 50ppm 처리군은 2.81log CFU/g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효모와 곰팡이 역시 대조구는 2.47log CFU/g, 50ppm 처리군 1.60 log CFU/g 으로 이산화염소 처리 시 미생물 감균 효과가 우수하였다. 저장 9일차 총 호기성균의 대조구와 5ppm은 각각 6.36log CFU/g, 6.11 log CFU/g로 부패 초기 현상을 보였으나 10, 50 ppm은 각각 5.91, 5.48log CFU/g로 위생학적 안전함을 보였다. 효모와 곰팡이 역시 저장 12일에 대조구와 5ppm은 각각 6.42, 6.01 log CFU/g로 부패 초기 단계에 근접하였으나 10, 50ppm은 각각 5.30, 5.03 log CFU/g로 이산화염소 처리농도에 따라 미생물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H는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이산화염소의 처리 농가가 높을수록 더 낮은 pH를 나타내었다. VBN 값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저장 12일차 대조구가 18.1mg%를 나타내었고, 50 ppm에서는 9.3mg%를 나타내었다. TBARS 값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이산화염소 용액의 농도에 따른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이산화염소 용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평가 점수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산화염소 용액의 처리가 어묵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유통기한 연장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된다.

포도의 Chlorine Dioxide Gas 훈증처리 및 저장방법에 관한 연구 (Effects of Chlorine dioxide ($ClO_{2}$) Gas Treatment on Postharvest Quality of Grapes)

  • 장은하;정대성;최종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7
    • /
    • 2007
  •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면서 미생물에 의한 농산물의 오염 및 균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산화염소($ClO_{2}$) 가스를 이용한 포도저장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중량감소율은 상온, 저온저장 모두 20 ppm+Ny/PE/L-LDPE 처리구가 가장 적었고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상온, 저온저장 모두 무처리구가 다른 포장구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20 ppm+Ny/PE/L-LDPE 처리구는 감소했다. 적정산도 값은 상온, 저온저장 중 모든 포장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Anthocyanin 함량은 상온저장에서는 모든 포장구에서 저장 14일까지 증가하다가 저장 21일에 급격히 감소했으며 저온저장에서는 저장 10주까지 모든 포장구간이 초기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균수 값은 상온저장 시 $ClO_{2}$ gas처리 및 silica gel pad 처리구가 총균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저온저장에서는 $ClO_{2}$ gas를 처리한 20 ppm+Ny/PE/L-LDPE와 40 ppm포장구에서 총균수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저온보다 상온에서 $ClO_{2}$ gas의 효과가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척방법에 따른 인삼의 저장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of Ginseng Washed by Different Methods)

  • 이현석;차환수;김병삼;권기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42-347
    • /
    • 2009
  • 인삼의 저장 유통시키는 기존 방식을 개선키 위한 기초 연구로 표면 세척을 한 인삼의 저장 중에 품질변화를 세척 살균수로 저온 냉각수($2^{\circ}C$), 전해수(pH 8.0-8.5, HClO 80 ppm), 이산화 염소수(5 ppm)를 사용하여 품질특성을 비교 하였다. 경도 분석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연화현상이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처리 후 저장 조건의 CT-10 처리구의 경우 15일 경과 후에 급격히 표면의 경도 저하 현상이 나타났으며, $20^{\circ}C$ 저장온도에서는 모든 처리구에서 $10^{\circ}C$에 비교하여 연화에 의한 경도의 변화가 급격히 진행되어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색도의 변화는 저장온도 10, $20^{\circ}C$에서 모든 처리구가 갈변반응이 진행되었다. 상대적으로 저온 냉각수의 세척이 오히려 무처리구 보다 갈변반응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해수와 이산화염소수 처리가 갈변억제 또는 지연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량 감소율은 처리구의 50일까지 중량 감소폭이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 15일후 $10^{\circ}C$에서는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전해수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산화 염소수, 무처리구 저온 냉각수 순으로 감소폭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저장 30일후에는 저장 15일후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전해수 처리구의 경우 중량 감소율이 빠르게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저장 50일후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볼 수가 없었다. 저장 10일후 $20^{\circ}C$에서는 $10^{\circ}C$에서와 같이 처리구별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이산화염소수 처리가 가장 감소폭이 높게 나타났다. 살균조건별 미생물의 변화는 10, $20^{\circ}C$에서 전해수 80 ppm이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세척방법에서 이산화 염소수의 경우 전해수 처리구와 비슷한 경향으로 분석되었다. 세척 인삼의 저장 중 수분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인삼은 수분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흰쥐 골격근에서 안정화 이산화염소(Stabilized $ClO_2$)의 부패억제에 관한 현미경적 연구 (Microscopic Study of Decomposition-Inhibition in Stabilized $ClO_2$ Gas in Skeletal Muscle of Rat)

  • 황규성;정문진;정순정;안용순;임도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41권4호
    • /
    • pp.277-284
    • /
    • 2011
  • 강한 산화력과 소독효과로 인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안정화 이산화염소(S-$ClO_2$)의 근육조직에 대한 부패억제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8주령 SD계 흰쥐 골격근(skeletal muscle)을 사용하였고, 안정화 이산화염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안정화 이산화염소의 분말과 수용액을 처리한 실험군으로 분류하여 광학 및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광학현미경 관찰 결과, 대조군 1일부터 근섬유막이 분리되기 시작하였고 핵의 붕괴가 관찰되었다. 2일군에서는 근섬유막이 붕괴되어 근섬유의 형태만 남아 있었고, 근원섬유도 붕괴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3일군 이후 대조군의 경우는 대부분의 근섬유막과 결합조직의 붕괴로 근섬유의 구분이 불분명하였다. 실험군의 경우, 3일군에서 근섬유 사이 결합조직의 부분적인 붕괴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4, 5일군에서도 3일군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한편, 전자현미경적 소견은 대조군의 경우 1일군부터 근섬유막의 붕괴로 근섬유의 경계가 불분명하였고, 미토콘드리아막도 부분적인 파괴가 관찰되었다. 2일째부터 근섬유막이 모두 붕괴되었고 근섬유 사이에서 세균이 관찰되었다. 3일군 이후는 근육의 형태를 구별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실험군의 경우, 1일과 2일군은 전형적인 근육의 미세구조를 관찰할 수 있었고, 3일군부터 부분적인 미토콘드리아막의 붕괴가 관찰되었다. 이후 시간경과에 따라 결합조직이 붕괴되어 동심원상의 구조물이 일부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대조군은 1일군부터 조직의 붕괴가 시작되어 3일군 이후는 대부분 붕괴되어 형태를 구분할 수 없었으나, 실험군의 경우는 3일군부터 부분적인 붕괴가 시작되었고 이후 시간이 경과되어도 전체적인 근육의 형태가 유지되어 안정화 이산화염소가 근육에 부패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오존을 이용한 신갈나무 크라프트펄프의 무염소표백 (Non-chlorine Bleaching of Oak Kraft Pulp by Ozone)

  • 김동호;백기현
    • 펄프종이기술
    • /
    • 제29권2호
    • /
    • pp.36-45
    • /
    • 1997
  • Newly bleaching sequence using oxygen, ozone and hydrogen peroxide has introduced to avoid pollution hazards from chlorinated organic compounds, because chlorine dioxide substitution bleaching was produced a little chlorinated organic substance. Oxygen-type chemicals replaced for chlorine has attracted much research attention. Bleachability of ozone was improved at low temperature and high pulp consistency. In third bleaching followed OZ bleaching, addition of O2 and NaBH4 in alkali extraction was effective than only alkali extraction. Bleachability of pulps in ozone bleaching(Z) was improved at higher consistency and lower temperature The addition O2 and NaBH4 in alkali extraction after OZ bleaching sequence improved brightness, when compared to those obtained by only alkaline extraction. Pulps bleached by ECF bleaching sequences such as OZEoD and OZEopD was obtained by 90% ISO brightness. The brightness of pulp bleached by TCF sequences with the ozone dosage of 1.6% was approached to target brightness (88~90%ISO). Pulps bleached Z stage combined bleaching sequence was reduced the viscosity to a little greater extent. However, physical properties of pulps was not great different compared to those bleached by conventional bleaching sequences. A pollution index of bleaching effluente by ozone combined bleaching sequences was lower than by conventional bleaching sequence, but somewhat higher than multistage bleaching sequences combined C/D sta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