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ination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31초

마그네슘 용융염전해(溶融鹽電解)를 위한 무수(無水)염화마그네슘 제조(製造) (Preparation of Anhydrous Magnesium Chloride for a Fused Salt Electrolysis of Magnesium)

  • 엄형춘;박형규;윤호성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6권1호
    • /
    • pp.37-4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함수염화마그네슘 탈수를 통하여 마그네슘 용융염전해의 원료 물질인 무수염화마그네슘을 제조하였으며, 탈수는 관상로를 이용하여 $350{\sim}580^{\circ}C$ 범위에서 수행하였다. 함수염화마그네슘을 대기중에서 탈수할 경우 모두 산화마그네슘으로 산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염화수소가스 분위기에서 탈수시켜 무수염화마그네슘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탈수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탈수된 무수염화마그네슘의 결정성이 증가하였다. 염화수소가스 분위기에서 탈수가 일어나는 동안 발생되는 미반응 염화수소가스는 모두 염산으로 회수할 수 있었으며, 회수한 염산은 산화마그네슘으로부터 함수염화마그네슘을 제조하는 데에 재사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금제련(金製鍊) 기술(技術)의 현황(現況) (Current Status on Gold Smelting Technology)

  • 김병수;김치권;손정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6권3호
    • /
    • pp.3-11
    • /
    • 2007
  • 현재 금의 대부분은 금광과 납, 구리 등의 비철금속을 제련하는 공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인 양극 슬라임으로부터 제련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금은 사용 후 수거되는 치과 의료용 재료와 폐도금액 그리고 폐인쇄회로기판(폐PCBs) 등의 폐기물로부터 상당량이 제련되고 있다. 금광과 수거되는 고 함량 금함유 폐기물로부터 금을 제련하는 방법에는 크게 염화법, 청화법, 아말감법 등이 있으며, 비철금속 제련공정상의 부산물인 양극 슬라임으로부터 금을 제련하는 방법에는 전기분해법이 있다. 전기분해법은 크게 배소-고온용융-전기분해 공정으로 구성되어 진다. 또한 폐PCBs 같은 저 함량 금함유 폐기물로부터 금을 제련하는 방법에는 주로 건식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금을 제련하는 기술 현황에 대하여 소개하고, 이어서 최근에 국내에서 개발 중인 금제련 기술개발을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염화반응법으로 제조된 TaCl5의 분리공정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the Separation Process of TaCl5 from the Chlorinated Reaction Product)

  • 조정호;박소진;최영윤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3호
    • /
    • pp.259-264
    • /
    • 2006
  • 염화반응에 의한 $TaCl_5$의 제조에서 반응생성물 중 $NbCl_5$, $TiCl_4$, $FeCl_2$ 등이 주요 불순물로 존재하게 된다. $TaCl_5$$NbCl_5$는 증류나 수소 환원법에 의해 쉽게 분리가 되므로, 반응생성물에서 $TaCl_5/NbCl_5$ 혼합물을 99.9% 이상 순도로 분리하기 위해 2기의 연속식 증류공정을 사용하여 light한 성분과 heavy한 성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구성하였다. 본고에서는 순차배열(direct sequence)과 비 순차배열(indirect sequence)으로서의 두 분리공정에 대한 비교연구를 상용성 화학공정모사기인 Aspen Plus 13.1을 이용해서 전산모사를 수행하였다. 비교결과 순차배열이 비 순차배열에 비하여 초기 장치투자비용이나 운전비용에서 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Responses of Pseudomonas sp. DJ-12 to Pollutant Stresses of Benzoate and 4-Chlorobenzoate

  • Ko, Yeon-Ja;Park, Sang-Ho;Park, Yong-Keun;Kim, Chi-K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422-428
    • /
    • 1999
  • Aromatic hydrocarbons can be utilized as carbon and energy sources by some microorganisms at lower concentrations. However, they can also act as stresses to these organisms at higher concentrations. Pseudomonas sp. DJ-12 is capable of degrading 0.5 mM concentration of benzoate and 4-chlorobenzoate (4CBA). In this study, the exposure of Pseudomonas sp. DJ-12 to the pollutant stresses of benzoate and 4CBA at various concentrations was comparatively studied for its cellular responses, including survival tolerance, degradability of the aromatics, and morphological changes. Pseudomonas sp. DJ-12 utilized 0.5 to 1.0mM benzoate and 4CBA as carbon and energy sources for growth. However, the organism could not degrade the aromatics at concentrations of 3 mM or higher, resulting in reduced cell viability due to the destruction of the cell envelopes. Pseudomonas sp. DJ-12 cells produced stress-shock proteins such as DnaK and GroEL when treated with benzoate and 4CBA at concentrations of 0.5mM, or higher as sublethal dosage; Yet, there were differing responses between the cells treated with either benzoate or 4CBA. 4CBA affected the degradability of the cells more critically than benzoate. The DnaK and GroEL stress-shock proteins were produced either by 1mM benzoate with 5 min treatment or by higher concentrations after 10min. The proteins were also induced by 0.5mM 4CBA, however, it needed at least 20min treatment or long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hlorination of benzoate increased the recalcitrance of the pollutant aromatics and changed the conditions to lower concentrations and longer treatment times for the production of stress-shock proteins. of stress-shock proteins produced by the aromatics at sublethal concentrations functioned interactively between the aromatics for survival tolerance to lethal concentrations.

  • PDF

이변량 감소모델을 적용한 배급수관망에서의 잔류염소농도 예측 및 이의 활용 (Prediction of residual chlorine using two-component second-order decay model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

  • 김영효;권지향;김두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7-297
    • /
    • 2014
  • It is important to predict chlorine decay with different water purification processes and distribution pipeline materials, especially because chlorine decay is in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stability of water quality. The degree of chlorine decay may affect the water quality at the end of the pipeline: it may produce disinfection by-products or cause unpleasant odor and taste. Sand filtrate and dual media filtrate were used as influents in this study, and cast iron (CI), polyvinyl chloride (PVC), and stainless steel (SS) were used as pipeline materials. The results were analyzed via chlorine decay models by comparing the experimental and model parameters. The models were then used to estimate rechlorination time and chlorine decay time. The results indicated that water quality (e.g. organic matter and alkalinity) and pipeline materials wer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bulk decay and sand filtrate exhibited greater chlorine decay than dual media filtrate. The two-component second-order model was more applicable than the first decay model, and it enabled the estimation of chlorine decay tim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the basis for modeling chlorine decay of different water purification processes and pipeline materials.

세라믹막(MF) 고도정수처리에서 NOM 제거 특성 (Removal characteristics of NOM in advanced water treatment using ceramic MF membrane)

  • 유상준;박성한;임재림;서정민;장성호;홍성철;이병인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67-376
    • /
    • 2014
  • This study assessed the removal efficiency of NOM which is known as the precursors of DBPs in advanced water treatment using the ceramic membrane filtration, introduced the first in the nation at the Y water treatment plant (WTP). It is generally well-known that the removal of NOM by MF Membrane is very low in water treatment process. But,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n removal efficiency of NOM in advanced water treatment using the ceramic membrane was different as follows. The removal rate of organic contaminant by the ceramic membrane advanced water treatment was determined to be 65.5% for the DOC, 85.8% for UV254, and 77 to 86% for DBPFP. The removal rate of pre-ozonation was found to be 6 to 15% more effective compared with the pre-chlorination. The removal rate of DOC and $UV_{254}$ in biological activated carbon(BAC) process was over 50% and 75%, respectively although the rate was decreased 10 ~ 20% according to analysis items in converting from GAC to BAC.

정수처리 과정에서의 미량오염물질의 거동 및 제거 특성 (Fates and Removals of Micropollutants in Drinking Water Treatment)

  • 남승우;조경덕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391-407
    • /
    • 2013
  • Micropollutants emerge in surface water through untreated discharge from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s (STPs and WWTPs). Most micropollutants resist the conventional systems in place at water treatment plants (WTPs) and survive the production of tap water. In particular, pharmaceuticals and endocrine disruptors (ECDs) are micropollutants frequently detected in drinking water. In this review, we summarized the distribution of micropollutants at WTPs and also scrutinized the effectiveness and mechanisms for their removal at each stage of drinking water production. Micropollutants demonstrated clear concentrations in the final effluents of WTPs. Although chronic exposure to micropollutants in drinking water has unclear adverse effects on humans, peer reviews have argued that continuous accumulation in water environments and inappropriate removal at WTPs has the potential to eventually affect human health. Among the available removal mechanisms for micropollutants at WTPs, coagulation alone is unlikely to eliminate the pollutants, but ionized compounds can be adsorbed to natural particles (e.g. clay and colloidal particles) and metal salts in coagulants. Hydrophobicities of micropollutants are a critical factor in adsorption removal using activated carbon. Disinfection can reduce contaminants through oxidation by disinfectants (e.g. ozone, chlorine and ultraviolet light), but unidentified toxic byproducts may result from such treatments. Overall, the persistence of micropollutants in a treatment system is based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emicals and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processes involved. Therefore, monitoring of WTPs and effective elimination process studies for pharmaceuticals and ECDs are required to control micropollutant contamination of drinking water.

pH, 수온, 염소주입량이 정수장 소독부산물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 Water Temperature and Chlorine Dosage on the Formation of Disinfection Byproducts at Water Treatment Plant)

  • 이기창;이원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505-510
    • /
    • 2015
  • 본 연구는 경북 소재 A정수장의 원수를 대상으로 pH, 수온, 염소주입량에 대한 소독부산물(trihalomethanes, haloacetic acids, haloacetonitriles, chloral hydrate 등 16종) 생성능을 조사하고 여과수의 소독부산물 생성능과 비교하였다. 조사한 소독부산물의 생성능은 대부분 중성 pH에서 높았다. 다만, dichloroacetic acid, chloroform, bromodichloromethane의 생성능은 염기성 pH에서 증가하였다. Chloral hydrate, haloacetic acids, haloacetonitriles의 생성능은 수온의 증가와 함께 직선형으로 증가하였고, trihalomethanes의 생성능은 지수함수의 증가추세를 보였다. Chloral hydrate, trihalomethanes, trihaloacetonitriles의 생성능은 염소주입농도 2.0 mg/L $Cl_2$까지 급격하게 상승하였고, 2.0~5.6 mg/L $Cl_2$에서는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여과수의 소독부산물 생성능은 원수에 비해 대부분의 물질에서 낮게 나타났다. 다만, trihalomethanes은 여과수가 원수보다 약 1.4배 높은 생성률을 나타냈다.

정수처리에서의 Peroxone ($O_3/H_2O_2$) 공정 (Peroxone ($O_3/H_2O_2$) Process in Drinking Water Treatment)

  • 손희종;염훈식;빈재훈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96-308
    • /
    • 2010
  • Peroxone 공정은 정수처리 공정에서 기존의 염소와 오존 공정들의 여러 가지 한계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공정이다. 과산화수소와 오존에 의해 생성되는 OH 라디칼은 다양한 유기성 오염물질들에 대해 빠른 산화분해 및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낸다. Peroxone 공정을 운영하는데 있어 주요 과제는 OH 라디칼 생성을 저해시키는 또는 생성된 OH 라디칼을 소모시키는 scavenger들과 공존할 때 peroxone 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다. Bromate와 같은 무기성 산화 부산물의 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과 peroxone 공정 처리 후 염소 소독시 생성되는 염소 소독부산물들의 생성을 보다 저감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수중에 잔류하는 과산화수소에 대한 문제이다. 잔류 과산화수소를 on-line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정밀한 측정장비의 개발 및 보급이 우선되어야 peroxone 공정의 운영에 있어서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제들이 해결이 된다면 peroxone 공정은 보다 다양한 목적으로 정수처리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Campylobacter jejuni에 대한 염소 및 Monochloramine의 살균효과 (Disinfection Effects of Chlorine and Monochloramine on Campylobacter jejuni)

  • 윤만석;오학식;김치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39-544
    • /
    • 1989
  • 인체에 설사질환을 일으키는 Campylobacter jejuni에 대하여 염소 및 monochlorarmine의 살균효과를 측정하고 세포의 구조형태 및 단백질과 DNA에 대한 영향을 주사전자현미경과 전기영동방법으로 비교 관찰하였다. 0.5mg/l의 염소용액에서 15분간 처리했을 때에는 쉽게 6 log가 사멸되었다. 그리고 염소용액의 pH가 4.5에서 7.0, 10.0으로 높아짐에 따라 C. jejuni에 대한 염소의 살균효과는 점점 떨어졌다. 또한 monochloramine의 경우 0.5와 1.0mg/l에서 60분간 처리했을 경우 각각 2와 7 log의 세균이 사멸되었다. 살균제로 처리된 C. jejuni들은나선간균의 형태가 모두 구형으로 변하면서 세포표면의 파괴와 용균현상이 일어났고 서로 엉켜져 있는 예가 많았다. 그 효과는 사멸효과의 경우에서와 같이 monochloramine보다 염소처리군에서 더 심하였다. 살균제로 처리된 C. jejuni의 단백질과 DNA는 정상세포의 것에 비하여 전기영동상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260nm에서의 흡광도도 감소하였다. 특히 염소처리된 세포의 단백질과 DNA는 처리한 염소농도에 비례하여 큰 차이를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