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ide attack resistibility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보통 콘크리트와 인공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염해 저항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n Chloride Attack Resistibility in Light Weight Aggregate Concrete and Normal Weight Aggregate Concrete)

  • 이창수;남창식;유보선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197-198
    • /
    • 2010
  • 본 연구는 다공성 인공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와 보통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염해에 대한 저항성을 비교하고, 그 실용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인공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염해 저항성은 보통 콘크리트의 염해 저항성 보다 낮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압력을 받는 해양콘크리트의 염해저항성 (Chloride Attack Resistibility of Marine Concrete under Pressure)

  • 김경태;김규용;이상규;황의철;손민재;남정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52-53
    • /
    • 2018
  • As a result of exposing the concrete at 1 and 6 atm in order to evaluate the salt resistance of the pressurized marine concrete, the pressure resulted in promoting the chloride ion penetration of the concrete. Particularly, the amount of water soluble chloride in the surface area tends to increase rapidly, and this cause is considered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the size of the capillary pores of the concrete. On the other hand, the blending of blast furnace slag was effective to increse chloride attack resistibility even under the pressure.

  • PDF

4성분계 콘크리트의 염해 저항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loride Attack Resistibility of Quaternary Concrete)

  • 이동운;박현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188-119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플라이 애시, 고로슬래그 미분말, 실리카흄을 사용하여 4성분계 콘크리트의 염해 저항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압축강도, 탄성계수, 염수침지 시험, 염화물 확산계수 및 침투계수를 실시하였다. 4성분계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계수와 침투계수는 재령 17주에 $0.032{\times}10^{-12}m^2/sec$와 650 coulomb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침지시험 결과 염화물 이온 침투깊이와 염화물량은 3.7 mm and $10.211kg/m^3$로 측정 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플라이 애시, 고로슬래그 미분말, 실리카흄을 사용하여 제조한 4성분계 콘크리트는 염해 저항성능과 역학적 특성이 매우 높을 것을 알 수 있었다.

압력조건을 고려한 콘크리트의 염화물이온 침투 장치 개발 (Development of Chloride-ion Penetration Device for Concrete Considering Pressure Condition)

  • 김경태;김규용;이상규;황의철;손민재;남정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5-26
    • /
    • 2018
  • In this study, the device was developed for evaluating the effect of pressure on chloride ion penetration of concrete. And chloride-ion penetration depth and water soluble chloride contents was evaluated concrete using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blast-furnace slag cement using developed device. As a result, chloride ion penetration of concrete was promoted according to the action of pressure and the exposure period. and the incorporation of blast-furnace slag was effective for chloride attack resistibility under pressure.

  • PDF

알칼리 활성화 3성분계 혼합시멘트의 염해 저항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loride Attack Resistibility of Alkali-Activated Ternary Blended Cement Concrete)

  • 양완희;황지순;전찬수;이세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1-329
    • /
    • 2016
  •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를 활용한 3성분계 혼합시멘트는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내구성 확보 등의 이유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를 4:4:2로 혼합한 3성분계 시멘트에 알칼리 설페이트계 활성화제(Modified Alkali Sulfate type)를 1.5~2.0% 사용할 때, NT Build 492에 의한 염화물 확산 시험과 ASTM C 1202( KS F 2271)에 의한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염해저항성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알칼리 설페이트계 활성화제의 활용에 따라 Plain 대비 슬럼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재령 2일부터 재령 7일까지의 압축강도는 17~42% 향상되었다. 또한 재령 28일에 측정한 염화물 확산 계수는 알칼리 설페이트의 활용에 따라 Plain 대비 36~56% 감소하였으며,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에 따른 총통과전하량은 재령 7일은 33~62%, 재령 28일은 31~48%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알칼리 활성화에 의해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의 반응성이 향상되어 공극이 더욱 치밀해진 효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이와 관련하여 장기재령의 시험체를 대상으로 한 실험과 분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동슬래그 및 자철석을 골재로 사용한 중량 콘크리트의 회파블록 적용을 위한 염해저항성 평가 (Evaluation of Chloride Attack Resistibility of Heavyweight Concrete Using Copper Slag and Magnetite as Aggregate)

  • 문훈;김지현;이재용;정철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83-492
    • /
    • 2017
  • 최근 국내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연안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경관을 저해시키지 않는 새로운 소파블록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회파블록은 상부가 평탄하여 친수공간으로 활용이 가능하지만, 구조 내부에 존재하는 회파관으로 인해 중량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기 위해 중량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파랑 저항성을 상승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동슬래그 및 자철석을 골재로 사용한 중량 콘크리트를 개발하고 이의 염해저항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일반 골재와 중량골재를 각각 혼입한 콘크리트의 28일 압축강도는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ASTM C1202에 의한 염소이온침투저항성 시험 시 자철석을 혼입한 콘크리트는 과도한 전류의 흐름으로 평가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염소이온의 침투깊이를 이용하는 NT Build 492 시험에서는 ASTM C 1202 시험법에서 관찰된 문제점 없이 실험 진행이 가능하였고, 동슬래그, 자철석을 골재로 사용한 중량 콘크리트의 염소이온침투저항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슬래그 및 자철석을 골재로 사용한 중량콘크리트는 회파블록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석회에 의해 개질된 바이오 황이 시멘트 수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o-Sulfur Modified by Slaked Lime on Cement Hydration Properties)

  • 이웅걸;한래봉;조성현;이평수;송명신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509-516
    • /
    • 2023
  • 콘크리트의 염해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콘크리트에 황(S)을 사용하는 것이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으나, 유황은 고체로 존재하고 분말화가 어렵기 때문에 시멘트, 콘크리트 등의 혼화제나 혼합물로 활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시클로펜타디엔 등의 고분자를 사용하여 황을 개질한 바 있으나, 이 역시 개질 후 끈끈한 상태로 존재하여 근본적인 문제를 개선하지 못한다. 이에 새롭게 개질한 바이오 황이 시멘트 수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소석회 개질 바이오 황은 반응 조건에 따라 미반응 황 및 소석회, 칼슘-황(Ca-S) 화합물 및 물을 함유한 슬러리 상태로 존재한다. 소석회 바이오 황을 시멘트 혼합물로 사용하는 경우, 소석회 개질 바이오 황을 첨가한 모르타르의 내염해성은 일반 모르타르에 비해 우수하며, 이는 소석회 개질 바이오 황을 함유한 시멘트 수화물의 구조가 ettringite의 지속적인 존재로 인해 일반 시멘트 수화물의 구조보다 더 치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