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hexidine varnish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8초

클로르헥시딘 바니쉬의 적용이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lorhexidine varnish application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 임동혁;김태우;장영일;남동석;양원식;백승학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5-222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클로르헥시딘 처리가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와 탈락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것이다. 실험군으로 4주간 4회의 클로르헥시딘 바니쉬를 도포한 22개의 사람 소구치를 선택하였고, 대조군으로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22개의 사람 소구치를 선택하였다. 모든 치아는 $37\%$의 phosphoric acid gel로 부식시키고 교정용 브라켓을 같은 조건으로 부착시켰다. 전단접착강도의 측정을 위해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model 4466)을 이용하였고, 법랑질과 브라켓 표면은 SEM으로 관찰하였다. 결과의 분석은 t-test를 이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클로르헥시딘의 법랑질 처리는 전단접착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클로르헥시딘으로 법랑질을 처리한 경우와 그렇지 않는 경우에 브라켓 탈락 양상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클로르헥시딘으로 법랑질을 처리하여도 브라켓 접착에 유해한 작용이 없었고, 따라서 임상사용에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 PDF

소아·청소년을 위한 한국형 우식위험평가 문항의 이해도 분석 (An Analysis o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aries Risk Assessmen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 이지현;이수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22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of caries risk assessment items in order to develop caries risk assessment tools. Methods : A total of 52 parents and 10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for their understanding of nine items of the CAMBRA CRA for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nine questions were analyzed through a Likert five-point scale. Centralized distribu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ree groups' understanding of the questions. Results : The evaluation of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showed that four items scored less than 3.0 points. The items were "Hyposalivatory medications (antihistamines, antipsychotics, asthma, etc.)," "Brushing below once a day," "F varnish last six months," and ".12 % chlorhexidine gluconate mouthrinse daily seven days monthly." The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of ".12 % chlorhexidine gluconate mouthrinse daily seven days monthly" was less than 3.0 poin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s of the three group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was found for a total of five items: "Hyposalivatory medications (antihistamines, antipsychotics, asthma, etc.)," 'Not used oral products such as floss and interdental toothbrushes," "F toothpaste 2× daily or more," "F varnish last six months," ".12 % chlorhexidine gluconate mouthrinse daily seven days monthly." Conclusion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caries prevention program by identifying whether the caries risk assessment reconstituted in Korean style can be used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More than half of the questions scored 3.0 points or higher and were generally completed. Nonetheless, a systematic program can only be completed if a plan is secured to improve repondents' understanding of the questions before a caries prevention program is developed.

하악 전치 설측면에 대한 다양한 접착시스템의 접착강도 (Bond strength of different bonding systems to the lingual surface enamel of mandibular incisors)

  • Turkoz, Cagri;Tuncer, Burcu Balos;Ulusoy, Mehmet Cagri;Tuncer, Cumhur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60-26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접착시스템과 법랑질 보호제 등이 설측 브라켓의 인장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75개의 발치된 하악 전치를 5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나눈 후 설측 브라켓을 부착하였다. Group 1은 Transbond XT를, Group 2는 Transbond XT와 함께 불소 유리레진(Ortho-coat)을 Group 3는 Transbond XT와 Chlorohexidine varnish (Cervitec Plus)를 Group 4는 광중합 접착제(Aegis Ortho)를 Group 5는 antimicrobial self-etching primer (Clearfil Protect Bond)을 사용하였다. 불소유리 레진이나 Chlorohexidine varnish의 사용유무는 접착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Group 5이 다른 그룹에 비해 접착력과 접착제 잔류지수(adhesive remnant index, ARI)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법랑질 보호제 적용 시 설측 브라켓의 접착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이번에 사용한 제품들은 설측 교정치료 기간 동안 환자의 구강위생을 개선시킬 수 있어 환자와 술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에나멜 층이 얇은 경우 Clearfil Protect Bond의 과도한 접착강도에 대해 고려해야 할 것이다.

Effectiveness of caries-preventing agents on initial carious lesions within the scope of orthodontic therapy

  • Park, Kyung-Jin;Kroker, Tessa;Gross, Uwe;Zimmermann, Ortrud;Krause, Felix;Haak, Rainer;Ziebolz, Dir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46-253
    • /
    • 2019
  •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ree different caries-preventing agents on artificial caries in a Streptococcus mutans-based caries model. Methods: Sixty-five caries-free human molar enamel blocks were treated with a demineralization solution and a remineralization solution. The specimens were assigned to the following groups according to the caries-protective product applied: group A, chlorhexidine varnish; group B, fluoride-releasing chemically cured sealant; group C, fluoride-releasing lightcured sealant; group D, positive control (specimens that were subjected to de- and remineralization cycles without treatment with any caries-protective agents); and group E, negative control (specimens that were not subjected to de- and remineralization cycles). Samples in groups A-D were stored in demineralization solution with S. mutans and thereafter in artificial saliva. This procedure was performed for 30 days. Average fluorescence loss (${\Delta}F$) and surface size of the lesions were measured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at baseline and on the 7th, 14th, and 30th days. Results: After 30 days, group A demonstra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ΔF and the surface size of the lesion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positive control group,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negative control group. Group B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both parameters at any of the measurement points. While group C showed increased ${\Delta}F$ after 14 days, no significant fluorescence change was observed after 30 days. Conclusions: Both fluoride-releasing sealants (chemically or light-cured) show anti-cariogenic effects, but the use of chlorhexidine varnish for the purpose of caries protection needs to be reconsidered.

항균제 처리한 titanium 표면의 치태형성 억제효과 (Inhibition of Plaque Formation on the Titanium Surface by Anti-bacterial Varnish)

  • 정현주;이상현;김영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0권4호
    • /
    • pp.707-727
    • /
    • 2000
  • 매식된 인공치아의 성공을 위해서는 적절한 교합과 수동적 적합성을 갖는 보철물의 제작과 구강내 노출 직후부터의 세균성 치태조절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전처리(passivation과 tridodecyl - methyl - ammonium chloride(TDMAC) 처리)가 다른 타이타늄 표 면에 chlorhexidine varnish와 테트라사이클린 을 도포시 약제의 방출역학을 알아보고 구강내 치태형성의 억제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 되었다. 이를 위해 방출용액으로 인산완충액 성분의 인조타액을 1일${\sim}$1개월간 매일 교환하여 약제농도를 측정하고 타이타늄 박막에 잔류한 약제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항균제 도포한 타이타늄 원판을 부착한 장치를 구강내 위치시킨 1일${\sim}$3주 후 원판을 제거하여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세균 부착상을 관찰하였다. 테트라사이클린은 TDMAC 처리된 표면에서 $10{\sim}18$일까지 유효농도로 방출되었고 표면의 유효 항균 활성은 $3{\sim}4$주간 유지되었으며, chlorhexidine varnish 도포 시에는 TDMAC 전처리시 초기에 $3{\sim}7$일 간 증가한 유효 항균 활성을 방출하여 매식지대치 등에 이러한 항균제도포 시 매식치 주위환경에 항균활성 공급원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주사현미경적 관찰시 모든 타이타늄 표면에서 구강내 위치 30분 후에는 세균이 부착되어 있지 않고 타액 단백질 성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 피막물질이 표면을 부분 또는 전면에 걸쳐 덮고 있었다. 구강내 노출 2시간 후 항균제 미도포 표본들에는 약간의 구균이 단층으로, $1{\sim}3$일 후에는 부분적으로 두꺼운 세균층을 형성하였고 7일 후에는 표면전체에 걸쳐 세균층이 덮여있었으며 주로 구균과 약간의 간균이 주종을 이루었다. 항균제 도포시 구강내 노출 1주일 이전까지는 미도포군에 비해 치태형성이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2주 이후에는 세균 수나 치태형성 양상이 유사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항균제 도포시 1주일 이전의 초기 치태형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타이타늄 임프란트 지대치 표면에 항균제의 도포가 임상적으로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