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s book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3초

아동실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유아기 아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Space Planning for Children's Room -Special Reference to Preschool)

  • 오혜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0권1호통권19호
    • /
    • pp.171-190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up the objective standards of a space design for preschool children's room. In order to perform the above purpose, this study was organized into three sections. First, literature review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children's development and children's room, design elements and correlated variables of children's room. Second, survey research to seek a standard of children's room size, necessary furnitures, prefeerred colors and motifs. Third suggestions of objective and concrete alternative plan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research. The major findings from the survey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mean size of contempory preschool children's room was 3.1 pyong and that of ldeal room was 4.7 pyong. 2) Necessary Furnitures with which more than two-thirds of parents want to furnish were bed, wardrobe, chest of drawers, toy shelves, toy boxes, book cases, chalkboard. Necessary furnitures for different ages were found to vary. For the age 2-5, the funitures for play were major, where as for the age 5-6, the furnitures for study were major. 3) The colors of contemporary preschool children's room were red, yellow, pink, blue, those of parent's favorites were Light colors(pink, skyblue, lemon yellow, Light green, Light purple). The rooms for boy were found with more cold colors, those for girl with more warm colors. 4) The motifs of contemporary preschool children's room were plants, lines, figures from cartoons of fairy tales. Boy's parents prefreerd space science and vehicles, while girl's parents preferred sky scenery and plants for their children's room.

  • PDF

어린이·청소년책에 등장하는 이주배경 등장인물의 비중과 그 의미 - 2000년 이후 출간된 작품을 대상으로 - (The Proportion and Its Meaning of Character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in Children's and Young Adult Books: Focusing on Books Published Since 2000)

  • 임여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3-66
    • /
    • 2020
  •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한국에서 출판된 어린이·청소년책 중 이주배경을 가진 등장인물이 나오는 책의 비중을 알아보고, 어린이·청소년책에서 이주배경을 가진 이들이 어떤 방식으로 표현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행복한아침독서에서 2005년부터 2017년까지 발행한 추천도서목록에 실린 도서 중 영유아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문학 분야의 도서 3,214권을 분석한 결과, 약 1%에 해당하는 32권만이 이주배경 등장인물을 포함하고 있었다. 32권 중 23권은 계몽적이며 사회고발적인 내용을 담고 있었고, 4권은 한국 문화로의 통합을 시도하는 내용, 5권은 서로 다른 문화를 그 자체로 존중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주배경 등장인물의 출신/배경 국가가 한국에 비해 경제적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작품의 주요 갈등이 인종차별, 학교폭력, 외국인 부모에 대한 반감,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한국인 사업주의 횡포, 체류기간이 만료된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폭력적인 단속 등에 집중된 반면, 이주배경 등장인물의 출신/배경 국가가 한국에 비해 경제적 수준이 높거나 이주배경 등장인물의 인종이 백인 혹은 백인 혼혈인 경우에는 장래희망이나 개인적 고민이 작품의 중심 메시지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32권 중 작가 자신이 이주배경을 가진 경우는 단 한 건 뿐이었다.

그림책 속에 나타난 도시 (Urban Life Represented in Children's Picture Books)

  • 현은자;윤현민;강다혜
    • 아동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27-241
    • /
    • 2008
  • This research explored contemporary cities and children's lives in picture books by a survey of 71 picture books published and translated into Korean from 1996 to 2006. These books represented city or urban life as their settings with children or personified animals as their main characters. They were classified by four categories. Results were the city space that most frequently appeared in the picture books were streets (73%) including downtown (38%) and back streets (6%). Emotions displayed by children in the city were mainly negative feelings (60%) including fear, worry, sadness, and boredom. The most important issue was alienation (28.5%). Main characters barely managed to cope with life in the city (76%).

  • PDF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와 구연활동이 아동의 언어창의성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Story-Plotting and Oral Narration Activities Based on Wordless Picture Story Books : The Effect on Young Children's Linguistic Creativity and Expression)

  • 현혜선;김숙령
    • 아동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89-204
    • /
    • 2007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 of story-plotting and oral narration activities using wordless picture books upon young children's linguistic creativity and expression. The subjects were 30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30 in the control group at age five. The Korean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K-CCTYC; Jeon, 2005) was used to measure linguistic creativity. In addition, Measure Tools for Linguistic Ability(Jang, 1981) was used to measure the linguistic expres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linguistic creativity including linguistic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as well as linguistic expression.

  • PDF

이야기 구성과 사회적 행동 설명에서 나타나는 아동의 마음 이론 비교 (Children's Theory of Mind : Story Constructions Compared With Social Behavior Explanations)

  • 송영주
    • 아동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47-162
    • /
    • 2004
  • Children 5 and 8 years of age and undergraduates constructed stories using the wordless picture book, "Frog, where are you?" On a separate task, they explained the good and bad behaviors of others. The constructed stories of task 1 and responses of task 2 were audiotaped, analyzed by clauses, and then coded into the mind-related categories. Results showed that on both tasks the subjects used the actor's desires and intentions much more than the other categories of mind. Undergraduates used more mind-related expressions in making their stories than children, but they were not different from children in considering the minds of others for behavior explanations. Positive but non-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scores in constructing stories and scores in behavior explanations.

  • PDF

이야기 만들기에서 나타나는 아동의 마음에 대한 이해 (Children's theory of Mind in Making Stories)

  • 송영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7-3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children show their theory of mind in making stories. Eleven children of age 6, twelve children of age 9, and eleven undergraduates made their stories using the picture book “Frog, where are you?”. All of the stories were audiotaped, parsed with clauses, and were coded into mental & para-mental categories. Results showed that the children used less mind-related terms, like belief, intent, desire, and emotion, than the adults did. And the children talked primarily about the characters' intent of the mind, whereas the adults expressed other mental processe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age 6 and age 9, in expressing the theory of mind.

우리나라 '한 도시 한 책' 운동 선정도서 분석 (An Analysis of Books Selected for 'One Book, One City' in Korea)

  • 우윤희;김종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09-336
    • /
    • 2014
  •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2003년 이후 시행된 '한 도시 한 책' 운동의 선정도서 473권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이 운동의 현황을 개관한 후 표방된 운동의 취지와 목적, 도서 선정 절차와 기준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전체 선정도서를 선정 횟수, 출판연도, 저자, 갈래(장르), 소재(내용) 등의 측면에서 자세하게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한 도시 한 책' 운동 도서 선정의 주요 특성을 신간도서 선호, 어린이대상 도서 선호, 지역성 반영 등의 경향으로 정리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의 이면에는 이 운동의 취지와 목적이 충분하게 이해되지 못하는 현실이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림책 감상을 통한 로봇 활용 놀이가 유아의 순서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obot-Used Play through Appreciation of Picture Books on Children's Sequential Thinking)

  • 안지수;남기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357-365
    • /
    • 2024
  • 본 연구는 그림책 감상을 통한 유아의 로봇 활용 놀이가 순서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각 유치원 만 5세 15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J유치원(실험집단)은 '그림책 감상 로봇 활용 놀이'를 지원하였으며, C유치원(비교집단)은 '그림책 감상 자유놀이'를 지원하였다. 두 집단의 놀이 경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순서적 사고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놀이지원 전과 후에 대한 점수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8.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사후점수를 ANCOVA(공분산분석)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그림책 감상을 통한 로봇 활용 놀이를 경험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순서적 사고의 총점과 하위 영역인 역학, 행동, 의도에서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 주도의 창의적인 놀이매체로서 로봇의 가치를 발견하고, 미래사회의 역량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순서적 사고 역량을 증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놀이연구로서 가치가 있다.

다매체시대 어린이 독서운동과 공공도서관의 역할 (The Promotion of Reading Books for Children and the Role of Public Library in the Age of Multi-Media)

  • 김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61-286
    • /
    • 2003
  • 이 논문에서는 다양한 매체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어린이들에게 독서는 어떤 의미이며, 그들의 특성과 독서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 알아보고 나아가 독서교육은 어떠한 방향으로 행해져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일고있는 어린이 독서운동의 국내외적인 사례를 살펴보고, 이에 우리나라의 어린이 독서운동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공공도서관은 어린이와 책을 연결해주는 매개자로서의 소임을 다해야 하며, 공동체 문화의 형성과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한 방법으로 공공도서관이 중심이 되어 세대를 이어주는 이야기문화를 부활시켜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열악한 어린이 독서환경 개선을 위해서 지방자치 단체에서는 '어린이도서관'을 설치하는 데 힘써야 하며. 학계와 도서관협회 및 도서관 현장에서는 어린이 독서운동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끌어갈 주체인 어린이 전문사서의 양성을 위해 교육적,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 한다.

  • PDF

그림책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 Papers Related to Picture Books: Focusing on paper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 김종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89-214
    • /
    • 2022
  • 이 연구는 우리나라 그림책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연구의 현황과 경향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21년까지 국내에서 생산된 그림책 관련 학술논문 1,660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논문을 일일이 확인하고 분석하여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그림책 관련 학술 논문은 199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여 2010년을 전후로 크게 증가하였다. 둘째, 그림책 관련 논문이 가장 많이 게재된 학술지는 『어린이문학교육연구』로 전체의 17.7%가 게재되었다. 셋째, 우리나라 그림책 연구를 주도한 대표적인 연구자는 현은자, 조희숙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연구 유형별로는 개인연구 논문이 39%, 공동연구 논문이 61%이다. 다섯째, 연구주제 분석 결과 그림책 내용(분석) 연구(33.4%) 그림책의 효과 연구(29.6%), 그림책에 대한 인식·반응·경험 연구(18.0%)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방법 분석 결과 실험연구(35.7%), 내용분석(33.7%), 문헌연구(13.3%), 질적연구(9.3%)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 논문의 생산 경로 다양화, 대학과 현장의 협업 관행 확대, 연구주제의 다양화, 연구방법의 타당성 제고와 다양성 확대 등 4가지 과제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