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27s foodservice facilitie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5초

경북 일부 어린이급식소에서 제공되는 간식의 섭취형태 및 당 함량 조사 (Investigation of Intake Patterns and Sugar Content of Snacks Provided at some Children's Cafeterias in Gyeongbuk)

  • 심현미;이미정;박세미;배미현;이자영;유선일;이경아
    • 급식외식위생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1-5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mount of sugar from the afternoon snack menu of childcare facilities in Gyeongsangbuk-do. The amount of sugar was analyzed for afternoon snacks provided by childcare facilities between March and April 2016. The snacks provided were the same for processed and non-processed foods at 50.0% respectively. White milk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with 26.4%, followed by fruits with 19.9% and grains (sweet potatoes, rice cakes, etc.).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larger the facility, the lower the frequency of provision of non-processed foods, and the higher the provision of processed foods (p<0.05). Snacks served as non-processed food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fruits and sweet potatoes. On the other hand, processed foods provided many sugar-rich products, such as liquid yogurt, hot cakes, and cereal, excluding white milk. The average sugar content was highest in processed milk products (13.9 g), followed by white milk (8.6 g), bread and snacks (8.0 g), other (4.6 g), and mixed grains (1.6 g). Of the total 216 snacks, banana flavored milk had the highest sugar content of 27.0 g, followed by strawberry milk (15.0 g) and castella (21.6 g).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choosing the right snacks provided by childcare facilities and practicing reducing sugar intake.

부산 일부 지역의 어린이 급식시설에 대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위생.안전 관리 지원 효과 (Effects of Food Safety Management Support of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on Foodservice Facilities for Children in Busan Area)

  • 김성혜;오은영;한진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61-27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ood safety management support in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CCFSM) on foodservice facilities for children in Busan area. We assessed the status of hygiene and safety practices of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foodservice on a quarterly basis by using an inspection checklist for food hygiene and safety developed by dieticians from February to December in 2013. The subjects were 103 children's foodservices, including 37 institutional and 66 non-institutional foodservices. Inspection checklist consisted of nine categories with 39 checklists; general characteristics, personal hygiene, ingredient control, menu planning, cooking processing control, serving management, washing, disinfection and storage control, and environment and safety management. The average score of each field (pre-supporting/post-supporting) in institutional foodservice was 0.56/0.92 for personal hygiene, 0.55/0.87 for ingredient control, 0.76/0.97 for menu planning, 0.53/0.89 for processing control, 0.27/0.67 for serving management, 0.47/0.91 for washing, disinfection and storage control, and 0.61/0.91 for environment management and 0.64/0.94 for safety management. In non-institutional foodservice, the average score of each field (pre-supporting/post-supporting) was 0.49/0.80 for personal hygiene, 0.52/0.75 for ingredient control, 0.78/0.97 for menu planning, 0.42/0.76 for processing control, 0.32/0.61 for serving management, 0.57/0.88 for washing, disinfection and storage control, and 0.46/0.82 for environment management and 0.73/0.88 for safety management. The average scores of all categories (pre-supporting/post-supporting) were 0.57/0.91 in institutional foodservice and 0.53/0.82 in non-institutional foodservice. The effects of management support in CCFSM on institutional foodservice were higher than those of non-institutional foodservice. Based on these results, we found that management support in CCFSM on foodservice facilities for childre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status of hygiene and safety practice regardless of foodservice facility size.

유치원 및 보육시설 이용 3~5세 원아들의 영양상태 : 2010, 2014년 국민건강영양 조사 자료 이용 (Nutritional status of 3~5 year old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 and childcare facilities: Using data from the 2010 and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 박미연;박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4호
    • /
    • pp.361-375
    • /
    • 2017
  • 2010년, 2014년 3~5세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유치원 및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원아 509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4년 원아들의 조사 전날 결식률은 16.2%로, 2010년 원아의 결식률에 비해 5.5%p 증가하였다. 원아들의 연도별 영양상태를 살펴본 결과, 2014년도 원아들의 칼슘 섭취량은 권장량 대비 가장 적게 섭취한 영양소로, 2010년도 원아들에 비해 1일 39.78 mg (3세), 54.78 mg (4세) 35.78 mg (5세) 적게 섭취하였다. 영양소 적정섭취비의 경우, 2014년 4세와 5세 원아는 2010년 4, 5세에 비해 철과 티아민의 NAR이 유의하게 높았다. 영양 밀도지수에서 2014년 5세 원아의 칼슘과 인 INQ는 2010년 5세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반면, 티아민의 INQ는 2010년 5세에 비해 높았다. 과잉섭취 대상자 비율에서는 2014년 3~5세 원아들은 2010년 원아들에 비해 철과 티아민 과잉섭취 대상자 비율이 높았다. 또한 원아들의 연령별 영양상태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평균 영양소 적정섭취비에서 3세의 MAR은 4세와 5세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한 영양소의 개수는 4세 (2.14개)와 5세 (1.92개)에 비해 3세에서 2.72개로 유의하게 많았다.

유아 교육기관의 급식 운영실태와 유아의 식사 섭취량 조사 (A Study on Kindergarten's Meal Service Program and Children's Food Intake)

  • 이영미;오유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3호
    • /
    • pp.232-241
    • /
    • 2005
  • Today, the role of kindergarten is more important as nutrition provider through snack and meal services. Desirable kinds and amounts of food items at school lunch menu were important factors of nutrients intakes in childre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kindergarten's meal service program (snack and lunch) and the consumption amount of lunch according to each dishes. Twenty four institutions that cared over one hundred children were observed at Seoul and Kyunggido area. Well-trained observers checked meal and snack serving activity and foodservice facilities by formal checklist. And using the weighing method assessed the consumption levels of food items at lunch. During 3 days, 30 children in each kindergarten were selected randomly according to age, observers measured serving and residual weight of each food. The data was compiles by performing ANOVA-test using SPSS WIN 10.0.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Foodservice facilities in kindergarten was limited to provide qualified foodservice. $91.7\%$ of institution had kitchen, $41.7\%$ had dinning. The kitchen equipment possession rate was $12.5\%$ (oven), $30.8\%$ (heating cabinet), $58.3\%$ (refrigerator). The rate of using document about foodservice was used $83.3\%$ (menu list), $41.7\%$ (daily foodservice record), $25\%$ (standard recipe). $41.7\%$ of institution employed licensed dietitian. Only $41.7\%$ of subjects preserved meal after daily meal service. 2) Meal serving size was decided by teacher, $54.5\%$ at snack and $43\%$ at lunch and pre-divided individual portion type was $36.4\%$ at snack and $28.6\%$ at lunch. The rate of cleaning activity before meal was $72.2\%$ at snack, $90.5\%$ at lunch. And nutrition or sanitation education activity was more performed at lunch time, for examples brushing teeth activity was $12.5\%$ at snack $85.7\%$ at lunch. 3) The consumption amounts of plain cooked rice was $112.7{\pm}26.1{\cal}g$, cooked rice and cereal was $93.06{\pm}27.97{\cal}g$, curry rice was $208.35{\pm}64.84{\cal}g$ and the consumption amounts of these main dish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p < 0.001). The consumption amounts of soup was very different according to children's preference. The consumption amounts of seaweed soup was $120.18{\pm}82.13{\cal}g$, wild sesame and bean-paste soup was $40.64{\pm}23.16{\cal}g$. The consumption range of kimchis was from $6{\cal}g\;to\;13{\cal}g$, jorim (braised food) was from $3{\cal}g\;to\;25{\cal}g$, fried food (include stir fried, deep fat fried, pan fried) was from $14.5{\cal}g\;to\;22{\cal}g$, vegetable dish was from $3{\cal}g\;to\;16{\cal}g$. These consumption amount of each dishes was not reached recommended portion size of nutritionally planning menu by nutritionist.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직원의 업무만족,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Task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sion of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Employees)

  • 박은혜;이영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881-1894
    • /
    • 2015
  • 본 연구는 전국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중 총 30개 센터, 227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2013년 12월 27일부터 2014년 1월 30까지 업무에 대한 만족도, 전반적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를 조사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사업의 효과를 높이고 직원들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어린이 대상 방문교육'의 업무만족도가 4.24점으로 가장 높았고, '재정관리' 업무만족도가 2.92점으로 가장 낮았다. 직무만족 조사도구의 타당도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9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직원의 직무만족에 대한 응답 결과 전반적 직무만족의 전체 평균값은 3.45점으로 나타났고, '동료와의 관계' 요인이 평균 3.99점, '직무성취감' 요인이 평균 3.98점, '회원 어린이급식소와의 관계'가 평균 3.45점으로 높게 응답되었다. 직무만족이 가장 낮게 응답된 요인은 '보수'로 2.45점이었으며, '업무의 양' 요인도 2.66점으로 낮게 응답되었다. 직원의 조직몰입에 대한 응답 결과 조직몰입의 전체 평균값은 3.54점으로 이직의도의 전체 평균값은 3.07점으로 나타났다. 전반적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영향을 끼치는 단면적 직무만족 요인 회귀분석 결과 전반적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공통적으로 상사와의 관계, 직무성취감, 고용안정성 및 복리후생 요인이 유의적인 영향을 끼쳤다. 센터의 공통적인 대표 업무 6가지로 영양순회지도 업무, 위생 안전순회방문지도, 어린이 방문교육, 조리원 방문교육, 집합교육, 재정관리를 선정하여 업무만족도, 근무하는 센터의 개소시기, 직원의 직위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보기 위하여 6개의 모형의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6개의 모든 모형에서 업무만족도는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비해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더 강한 상관을 보였고,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사이에 조직몰입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위생 안전순회방문지도 업무(업무만족도 3.88점), 어린이대상 방문교육 업무(4.24점), 조리원대상 방문교육 업무(3.80점)는 경로모형에서 업무만족도가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에 유의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 업무에 비해 업무만족도가 4.24점으로 확연히 높게 응답된 어린이대상 방문교육 업무의 경우 업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도 유의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업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업무만족도가 낮은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업무가 센터 업무 수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함을 상기시킴으로써 조직몰입을 높이거나 업무만족이 낮은 업무와 높은 업무를 센터의 상황에 맞게 적절히 혼합하여 업무를 배정하는 방법을 통해 업무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직무만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모두에 유의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끼치는 '상사와의 관계', '담당기관과의 관계', '직무성취감', '고용안정성 및 복리후생' 요인에 해당하는 직무환경을 개선하여 최종적으로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고 센터에 필요한 유능한 인재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충남지역 유치원의 영양사 배치 유무에 따른 급식실태와 학부모의 급식 만족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Foodservices and Their Satisfactions between Kindergartens with and without Dietitians in Chungnam)

  • 이경희;김명희;최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78-28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영양사 배치유무에 따른 유치원 급식 실태와 급식 만족도를 평가하여 유치원에 영양사 배치의 필요성과 보다 체계적인 유치원 급식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유치원의 급식을 위한 취사 시설은 영양사 배치 유치원의 경우 조리실과 급식실이 100%인 반면 미배치 유치원은 조리실이 100%이었다(p<0.001). 급식을 위한 식단 작성자는 영양사 배치 유치원이 영양사가 100%인 반면, 미배치 유치원은 원장(52.2%), 선생님(47.8%)의 순이었다(p<0.001). 유치원에서 제공하는 급식의 분량은 원아의 나이와 체격에 따라 다르게 준다(47.9%)가 가장 높았고, 유치원 급식운영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점은 운반 및 배식시의 유아의 안전(31.3%), 인력 부족(18.8%)의 순이었으며, 유치원 급식의 개선 및 발전 방향은 영양이 고른 다양한 식단(39.6%), 더욱 적극적인 식습관 지도(33.3%), 급식시설의 개선 및 인력 확충(27.1%)의 순이었고, 이들은 모두 영양사 유무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학부모의 실제 급식현장 방문이나 급식운영 참여 경험은 영양사 배치 유치원 학부모가 급식 현장을 직접 방문해 본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급식운영에 참여한 분야는 전체적으로 급식행사 참여(52.9%), 식재료 검수(41.2%), 배식도우미(5.9%)의 순으로 급식행사 참관에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급식운영에 참여하고 싶은 의지도 영양사 배치 유치원 학부모의 53.8%가 있다고 답해 미배치 학부모의 37.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급식에 참여하고 싶은 분야는 영양사 배치 유치원 학부모의 경우 배식도우미에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인 반면, 미배치는 식재료 검수에서 높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유치원 선택 시 급식을 고려하는지에 대해 영양사 배치 유치원 학부모의 경우 61.0%가 그렇다고 답해 미배치의 18.5%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유치원 급식운영 개선 및 발전방안은 친환경, 유기농 제품을 이용한 급식운영(41.9%), 영양이 고른 다양한 식단(30.9%), 더욱 적극적인 식습관 지도(24.0%) 순이었다. 급식만족도, 급식의 맛, 메뉴의 다양성, 메뉴의 균형, 자녀의 급식만족도, 급식시설, 급식 위생의 모든 7가지 항목에서 영양사 배치 유치원 학부모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급식만족도의 평균 점수도 영양사 배치 유치원 학부모가 4.1점으로 미배치의 3.7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영양사 배치 유치원의 급식상태 및 학부모의 급식 만족도가 미배치 유치원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