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care policy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027초

어린이집 보조인력의 노동실태 및 요구분석: 보조교사, 대체교사, 부담임 교사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 and Demand for the Assistant Workforce in Korean Childcare Center)

  • 박창현;김상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5-10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보조인력의 노동실태와 요구를 파악하고, 보육교사 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7년 8월 한달간 총 190명의 어린이집 보조인력인 누리 일반 보조교사, 보육도우미, 대체교사, 부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보조인력의 노동실태와 요구분석을 위해 현 기관 취업경로 및 근무이유, 근로여건, 직무 및 교육실태, 애로사항을 조사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12.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보조인력은 본인의 형편에 맞는 시간대에 일할 수 있어 노동을 선택하였으며, 진입경로로는 보조교사, 대체교사는 주로 육아종합지원센터의 구인광고를 통해, 보육도우미와 부담임은 지인소개 및 추천을 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로여건에서는 일일 근무시간은 '4~8시간'인 경우가 73.7%, '51만 원 이상~100만 원 미만'인 경우가 57.9%였다. 하루 평균 휴게시간은 약 30분, 17%는 휴게시간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 및 교육실태를 살펴보면, 보조인력은 '유아지도 및 상호작용', '청소 청결 관련 업무'를 가장 활발히 수행하였으며, '청소 청결 관련 업무'와 '아침 돌봄 야간 돌봄'에 대한 인력 충원이 시급하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애로사항에서 보조 인력은 임금과 관련된 불만족과 고용불안정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에 동의하는 이유는 고용 안정성 때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정규직 문제해결을 위한 선결과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격차 해소, 노동시간단축 및 노동조건 개선이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정책연구에서 소외되었던 어린이집 보조인력에 대해 주목하고, 어린이집 보조인력의 입장에서 노동 실태에 응답한 결과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도시 보건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의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Health Service Utilization of Urban Health Center)

  • 강복수;이경수;김천태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04-126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utilization of urban health center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the urban residents. The survey was carried out for 2,394 households in Taegu and Kyongju by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28 March to 4 April and from 2 July to 9 July, 1994. Well trained interviewers visited 2,630 households in Taegu and Kyongju, and interviewed with housewives. Of the target households, 91.0%(2,394 households) were responded through three-time visiting. The major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fourth and fifth decad utilized the health center more frequently than any other age groups.. The lower income group showed higher rate of health center utilization than those in higher income group in Taegu City. The mean length of residence among residents of Kyongju City is longer than those of Taegu City, and the longer length of residence, the higher rate of the health center utilization. Those who are living together with neonate and infant or elderly people showed higher rate of health center utilization than those who are living without neonate and infant or elderly people in both Taegu and Kyongju. The most common reason for visiting the health center was 'low cost'. The major reasons for not visiting the health center were 'not regular customer', 'poor health center facility', and 'low quality of care'. Vaccination, communicable disease control, outpatient care, public hygiene, maternal and child health program were well recognized as health center activities. In logistic regression for the utilization of health center, the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were length of residence and recognize the site of health center in both Taegu and Kyongju.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health service, physical environment of health center and public relations on health center's activities shoulod be considered for reactivation and reingorcement of health center functions.

  • PDF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Baby Boomer's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 이성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73-8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노부모와 성인자녀를 동시에 부양하는 샌드위치세대인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있어서 성별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중년층(46-59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2010)" 데이터파일 가운데 1,152건을 분석 표본으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베이비부머의 성별에 따라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배우자부모부양부담(${\beta}=-.205$), 자녀관계만족도(${\beta}=.202$), 부부관계만족도(${\beta}=.200$), 주관적 건강상태(${\beta}=.155$), 10년 후 경제생활수준에 대한 기대(${\beta}=.143$)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남성 베이비부머의 경우 여성 모형에서 유의하지 않았던 인터넷활용도(${\beta}=.247$)의 영향력이 크고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양부담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결과는 남성의 삶의 만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여성의 경우, 배우자부모에 대한 부양부담이 삶의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부모와 자녀를 동시에 부양해야하는 베이비부머들에게 시부모부양은 여전히 부담스럽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How to Improve Influenza Vaccination Rates in the U.S.

  • Yoo, Byung-Kwa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4권4호
    • /
    • pp.141-148
    • /
    • 2011
  • Annual epidemics of seasonal influenza occur during autumn and winter in temperate regions and have imposed substantial public health and economic burdens. At the global level, these epidemics cause about 3-5 million severe cases of illness and about 0.25-0.5 million deaths each year. Although annual vaccination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prevent the disease and its severe outcomes, influenza vaccination coverage rates have been at suboptimal levels in many countries. For instance, the coverage rates among the elderly in 20 developed nations in 2008 ranged from 21% to 78% (median 65%). In the U.S., influenza vaccination levels among elderly population appeared to reach a "plateau" of about 70% after the late 1990s, and levels among child populations have remained at less than 50%. In addition, disparities in the coverage rates across subpopulations within a country present another important public health issue. New approaches are needed for countries striving both to improve their overall coverage rates and to eliminate disparities. This review article aims to describe a broad conceptual framework of vaccination, and to illustrate four potential determinants of influenza vaccination based on empirical analyses of U.S. nationally representative populations. These determinants include the ongoing influenza epidemic level, mass media reporting on influenza-related topics, reimbursement rate for providers to administer influenza vaccination, and vaccine supply. It additionally proposes specific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se empirical analyses, to improve the influenza vaccination coverage rate and associated disparities in the U.S., which could be generalizable to other countries.

드림스타트, 지난 10년의 성장과 향후 10년을 위한 과제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Dream Start Program in Korea)

  • 이상균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9호
    • /
    • pp.115-150
    • /
    • 2017
  • 2007년 시범사업으로 시작한 드림스타트 도입 10년을 맞아 그간의 변화와 성장을 사회투자전략의 관점에서 평가하고, 향후 발전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헤드스타트와 슈어스타트 프로그램과 관련된 연구 성과와 정책근거에 기반 해 도입된 드림스타트는 아동복지프로그램에서 주요한 공적 전달체계로 자리 잡고있다. 12세 이하 취약계층 아동에게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해, 아동의 복지를 증진시키며, 불평등 격차를 줄여 취약계층 아동에게 최선의 출발선을 제공하는 것이 드림스타트의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 상담, 보건, 부모교육, 학습지원, 방과 후 활동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사례관리접근이 핵심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도입 이후 실시된 여러 효과성연구는 긍정적인 영향과 개선을 보고하고 있지만, 강력하고 기대했던 성과를 충분히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다. 드림스타트가 애초 달성하려 했던 정책목표를 위해서는 향후 재정지원 확대와 안정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드림스타트 표적 집단인 취약계층 아동 모두가 드림스타트를 이용하고, 그들이 경험하는 불평등과 격차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풀어야 할 과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드림스타트가 고려하고 추진해야 할 향후 과제들을 실천적 측면과 정책적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특수아동(特殊兒童) 복지제도(福祉制度)에 관(關)한 고찰(考察) (A Review of Literature on the Welfare Delivery System of Exceptional Children in Korea)

  • 이소희
    • 아동학회지
    • /
    • 제1권
    • /
    • pp.94-106
    • /
    • 1980
  • The issue present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1. Legislative actions of welfare-related law for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legislative base for the evolution has been yet weak and ambigous at best for a formalization of what should be considered accepted practice and effective action in providing handicapped child and their parents educational rights and equal protection of the law. And they are under remote control of partial factor subject to social welfare law for children, and public law for education, promotion law for the exceptional child education, protection law for public aids. 2. Organization of government for the welfare services for the exceptional children. There is no sing of a push toward consolidation of effort for the welfare service of the exceptional children in this country that seeks to recapture a sense of unity, of coherence, of completeness from a reality made up of discontinuous fragments of humanitarian effora This presently that. as for the education of the exceptional child, by the section of the exceptional education in MOE (Ministry of Education), and/or as for welfare services and promotion actions, by the section of child welfare in MHSA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One door type operation rooted in the specialization, and limited resources to evolve multi-purpose agencies that undertake to provide a broad range of tangible and concrete services, as well as supportive counselling and assessment, under a single management which plans and directs the allocations of resources, should be followed. 3. Facilities and recruitment of teachers for the exceptional children. In this country there are 54 facilities for special services, 56 schools for the exceptional education, and 3 colleges and equavalents that provide teacher training services leading to certification with IIO annual graduates. However, curriculum for exceptional children should be rearranged and reconstructed. Conclusion; Only as for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community, this country produced a succession of specific purpose activities, over period of time, that accumulated to form the present network of hundred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facilities Periodically major efforts were launched to revitalize or to improve the help-giving system. But they lack specialization to be effective, and the nature of multi-purpose center tends to be vague for the classified handicapped. Therefore, there, should be linkage between policy maker and community services to maintain some coherenty in preventive care, treatment, and after cares. At last, the effects of the current concept "the exceptional child" involved with their families, and their neighborhood should be considered in view of the people who consist about 25% of the total population.

  • PDF

성별과 학년 시기별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방임/학대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단기종단연구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on School Life Adjustment of Children and Parents' Neglect/Abuse as Perceived by Children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 김혜금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55-371
    • /
    • 2015
  • 본 연구는 단기종단연구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방임/학대에 대한 아동의 지각에 있어서 성별과 학년 시기별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방임/학대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종단적으로 탐색하여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방임/학대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 2차년도 자료 중 초등학교 5학년 2,264명과 3차년도 자료 중 초등학교 6학년 2,21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부모의 방임/학대에 대한 지각이 아동의 성별과 학년 시기별에 따라 다르고 종단적으로 남아와 여아 모두 부모의 방임/학대에 대한 지각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좌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부모의 방임과 학대에 대한 아동의 지각이 5, 6학년 시기에 안정적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부모의 학대와 방임에 대한 적절한 중재를 지원하는 것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친지의 사회적지원, 부부특성, 어머니의 양육특성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f Friends and Relatives, Couple's Characteristics, and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upon Infant Development)

  • 임현주;최항준;최선녀
    • 아동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1-10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various factors, the social support of friends and relatives, couple's characteristics, and the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and their impact upon infant development.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data was taken from 2078 infants who were born in 2008 and their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1st Korean Children Panel Survey of the Child-Care Policy Research Institute.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by means of a structural model and the fit of the model was also found to be very goo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social support of friends and relatives and couple's characteristics did indeed impact upon an infant's development, with the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having a mediating effect. The direct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of friends and relatives on infant development was positive and the results of the effect were the same even when taking into account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The direct effect of a couple's characteristics on the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was negative but the result of it was also positive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저소득 한부모가정, 사례에 비추어 본 지원방안 연구 : 건강가정지원센터 활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How to Provide Support to Poor Single Families based on Case Studies)

  • 이승미;김선미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9권4호
    • /
    • pp.95-11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limits of, as well as, Propose an improvement of, the government based policies that support poor single famil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has analyzed the government based supporting policies for poor single families into four different aspects; income support, dwelling support, medical support, and child-caring support. Also, in order to analyze the situation of the poor single family as well as the limits of the government based supporting policies, an in-depth interview has been conducted with 8 personnel (including 7 single parents and 1 social worker). In the final analysis, a total of 5 case studies have been us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ment based supporting policies for various poor single families.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poor single families were extremely unfavorable, and the quality of life was extremely low in the aspects of dwelling, nutrition, health child nurturing and education. Therefore, we are proposing the following supporting polic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se families' living conditions: increasing income levels, providing job opportunities, securing dwelling places, providing medical support, and implementing child care benefit policies. Furthermore, we are proposing an expansion of the human services provided by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to these poor single families.

  • PDF

과거 모(母)의 경제적 지원과 손자녀 돌 봄이 성인자녀와의 동거에 미치는 영향 - 장기적 호혜 모델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Mothers' Previous Financial Support and Grandchild Care on Intergenerational Co-Residence - Focusing on Long-Term Reciprocity Model -)

  • 하석철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3호
    • /
    • pp.161-198
    • /
    • 2016
  • 본 연구는 과거 성인자녀에 대한 모(母)의 경제적, 시간적 지원(손자녀 돌봄)이 이후 모와 성인자녀 간의 동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모와 성인자녀 간의 위계적 관계 구조를 고려하여 다수준 로지스틱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고,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의 1 차부터 4차 연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1,925명의 모와 7,460명의 성인자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간략히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과거 모(母)가 성인자녀에게 제공한 경제적 지원은 이후 모와 성인자녀 간의 동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손자녀 돌봄 시간을 통해 측정하였던 시간적 지원은 그것의 양이 많을수록 이후 세대 간 동거의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모와 성인자녀 간에 세대 간 지원을 통한 장기적 호혜 관계가 성립될 수 있으며, 그러한 관계 형성에서 손자녀 돌봄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기초로 이론적 및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