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Mothers' Previous Financial Support and Grandchild Care on Intergenerational Co-Residence - Focusing on Long-Term Reciprocity Model -

과거 모(母)의 경제적 지원과 손자녀 돌 봄이 성인자녀와의 동거에 미치는 영향 - 장기적 호혜 모델을 중심으로 -

  • 하석철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6.07.04
  • Accepted : 2016.09.11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how previous financial and time transfers from mothers to their adult children affect co-residence of elderly mothers and their adult children in South Korea. This study employed multi-level logistic analysis considering hierarchical relationship structures between mothers and their adult children. A sample of 1,925 elderly mothers and 7,460 adult children was extracted from data which were from the first wave (in 2006) to the forth wave (in 2012)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The result of the analysis suggested that past financial transfer from mothers to their adult children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residence between elderly mothers and their adult children. However, likelihood of co-residence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time transfer, which was measured by unit of time for elderly mothers'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This study discussed that long-term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elderly mothers and their adult children are built by intergenerational support relationships. However, the result that showed only grandmaternal child care affected intergenerational co-residence implies that intergenerational care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intergenerational reciprocal relationships. Through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본 연구는 과거 성인자녀에 대한 모(母)의 경제적, 시간적 지원(손자녀 돌봄)이 이후 모와 성인자녀 간의 동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모와 성인자녀 간의 위계적 관계 구조를 고려하여 다수준 로지스틱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고,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의 1 차부터 4차 연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1,925명의 모와 7,460명의 성인자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간략히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과거 모(母)가 성인자녀에게 제공한 경제적 지원은 이후 모와 성인자녀 간의 동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손자녀 돌봄 시간을 통해 측정하였던 시간적 지원은 그것의 양이 많을수록 이후 세대 간 동거의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모와 성인자녀 간에 세대 간 지원을 통한 장기적 호혜 관계가 성립될 수 있으며, 그러한 관계 형성에서 손자녀 돌봄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기초로 이론적 및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