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stnuts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2초

밤가루 복합분 국수의 제면 특성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Chestnuts Flour)

  • 박규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39-343
    • /
    • 1997
  • 소맥분 및 복합분들에 관한 amylogram 특성치, 조리시험, 색도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알아본 결과는 달음과 같다. 복합분의 amylogram의 특성치는 20% 밤가루 첨가구까지 밀가루 면의 점도 특성에 접근하였다. 조리시험에서는 밤가루의 배합비가 증가할수록 조리면의 중량, 부피는 약간씩 감소되었고 흡광도는 약간씩 증가되었으나 30% 밤가루가 첨가될 때까지는 밀가루 면과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리면의 색차($\Delta$E)가 밀가루 면과의 비교에서 B, C면은 noticeable로 나타났으나 D면 이상은 appreciable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의 경우, 색도는 30% 밤가루 첨가구까지 밀가루 면과 유의차가 없었으나 조직감에서는 밤가루 10% 첨가구만이 유의차가 없었다.

  • PDF

밤의 화염박피 시스템 최적화에 관한 연구(II) - 화염박피 공정의 최적화 - (Study on Optimization of Flame Peeling System for Chestnut (II) - Optimization of Flame Peeling Process for Chestnut -)

  • 김종훈;박재복;최창현;이충호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9권1호
    • /
    • pp.53-5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 optimization model to determine the operation conditions of the chestnuts flame peeling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optimization model was developed and evaluated to represent the flame peeling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chestnuts. When the heating depth was selected for various utilization of the peeled chestnuts, the model could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of the hardness of the chestnut shells, the flame temperature, and the flame time to get the maximum peeling ratio of the chestnut flame peeling system. When the heating depth was limited to 2.2 mm, the optimization model determined the proper operation conditions and the maximum peeling ratio such as 1594 g/$\textrm{mm}^2$ of the hardness of the chestnut shells, 780$^{\circ}C$ of the flame temperature, 29 second of the flame time, and 98.1 % of the peeling ratio.

밤송이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1) - 밤송이 성분(成分) -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Chestnut Bur(1) - Components of Chestnut Bur -)

  • 김재광;공영토;조재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4호
    • /
    • pp.59-63
    • /
    • 1987
  • As the production of chestnuts from chestnut trees has been increased annually in the past several years in this country, developing the utilities of chestnut bur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main research problem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chemical components were analysed to find a way of utilizing the chestnut bur. It was proved that chestnut bur is abundant in extractives (hot water 16.0%, 1%-NaOH 40.6%) and tannin content (16.5%). Of the tannin, the soluble tannin (3.2%) content is higher than condensed tannin (2.2%), and gallic acid content(3.3-3.9%) is slightly higher than ellagic acid(2.8-3.0%), For more effectively utilizing as a tannin resources, the chestnut bur should be collected immediately after yield of chestnuts, maybe in October every year.

  • PDF

발아식품의 품질보존을 위한 전리방사선의 이용 (Utilization of Ionizing Radiation on the Preservation of Sprouting Foods)

  • 윤형식;권중호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권
    • /
    • pp.79-84
    • /
    • 1985
  • 저장상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감자, 양파, 마늘 및 밤의 장기 저장법 개발을 목적으로 수확후 l개월 이내에 Co-60 감마선을 조사하고 냉동기를 가동하지 않은 자연저온 저장고에 각각 저장하였다. 저장중 시료의 발아는 감자가 150Gy, 양파 및 마늘이 50Gy 밤이 250 Gy의 선량으로 8~10개월간 거의 완전히 억제되었다. 감마선 조사에 따라 부패율은 상당히 감소되었으며, 중량감소에 있어서도 적정선량의 조사는 네가지 사료에서 6~24%의 감소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발아식품의 품질에 관여하는 성분인 수분, 당 및 비타민 C의 함량은 저장기간의 경과로 비조사구에 비해 조사구가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들 식품의 장기 안전저장을 위해서는 감자, 양파 및 마늘은 50~150 Gy, 밤은 250 Gy 정도의 감마선을 조사하고 자연저온저장고($10{\pm}5^{\circ}C$ R.H. 75~85%)에저장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하였다.

  • PDF

Microwave 가열이 밤 당침제품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icrowave Heating on the Texture of Sugared Chestnuts)

  • 황태영;김준한;김종국;문광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69-573
    • /
    • 1998
  • Microwave를 이용하여 밤 당침제품을 제조하고, microwave가 당침제품의 물성 및 조직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박피한 생율을 각각 일반가열방법으로 자숙한 후 당침을 행한 당침밤과, 일반가열방법으로 자숙하고 microwave로 당침한 밤, 자숙 및 당침 전과정에 microwave를 이용한 밤의 세 구로 제조하였다. 당침제품의 수분함량은 microwave를 이용하여 당침한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지방의 함량은 microwave를 이용하여 자숙 및 당침을 행한 당침제품에서 가장 낮았다. 총펙틴 및 HSP (hydrochloric acid soluble pectin)함량은 microwave로 처리한 제품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당침밤제품의 물성 측정 결과 당침시에만 microwave처리를 행한 당침밤이 springiness를 제외한 fracturability, hardness, gumminess, chewiness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microwave 처리를 행하여 자숙 및 당침을 행한 당침밤 간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처리방법에 따른 당침밤의 조직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당침을 행한 밤의 세포벽이 당침투에 따라 점성을 띠는 것을 볼 수 있으며 microwave 처리가 행해진 경우 세포벽이 심하게 파괴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갈변저해제 처리에 따른 저장 중 박피밤의 품질 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of Peeled Chestnut Achieved by Browning Inhibition Treatments During Storage)

  • 오성일;김철우;이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4호
    • /
    • pp.610-617
    • /
    • 2019
  • 박피한 밤을 갈변저해제(감초 추출물 : 0.5, 1.0, 2.0%; 염화칼슘 : 0.5, 1.0, 2.0%) 용액에 침지 처리한 후 PE+Nylon재질의 필름으로 진공포장하여 0℃ 저온저장고에서 6주 동안 박피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갈변도는 갈변저해제 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특히 2.0% 염화칼슘 처리구의 갈변도가 0.68 O.D.로 가장 낮았다. 저장 6주 후 박피밤의 표면 색변화(ΔE)는 무처리구에서 6.0으로 가장 높았던 반면, 1.0 및 2.0%염화칼슘 처리구에서 3.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저장기간 동안 갈변저해제 처리는 박피밤의 품질(수분 및 중량감소율, 당도, 경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저장 6주 후 부패율은 무처리구에서 12.0%로 나타났으며, 감초 추출물 0.5%, 1.0%, 2.0% 처리구에서 각각 11.0%, 11.5%, 11.0%, 염화칼슘 0.5%, 1.0%, 2.0% 처리구에서 각각 13.0%, 9.5%, 9.0%로 나타났다. 관능평가(식미, 이취)는 2.0% 감초 추출물 처리구가 저장기간 동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감 및 색은 갈변저해제 처리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종합적으로 판단하였을 때 2.0% 감초 추출물 침지처리가 박피밤의 품질유지 및 갈변저해에 효과적이었으며, 화학적 처리 시 문제점인 신맛 등 관능적 품질이 낮아지는 것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장온도와 박피방식에 따른 '축파' 박피밤의 품질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eled Chestnut 'Tsukuba'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 and Peeling Method)

  • 오성일;김만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2-79
    • /
    • 2014
  • 본 연구는 마찰과 칼날 박피방식과 저장온도에 따른 박피밤의 품질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박피밤의 중량감소율은 저장기간 동안 모든 처리구에서 관찰되었으며, 박피방식에 따른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그러나 박피밤의 수분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마찰박피밤이 모든 처리구에서 칼날박피밤 보다 수분함량이 높았다. 박피밤 색도의 경우 a, b, ${\Delta}E$값은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 동안 증가한 반면, L값은 저장기간 동안 감소하였다. 다만, 마찰 박피밤의 갈변정도가 칼날 박피밤보다 높게 나타났다. 과육경도는 마찰박피와 칼날박피에서 $-1^{\circ}C$ 처리구의 밤이 가장 높았으며, 당함량은 저장직후부터 감소하였으나 저장 24일째부터 당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박피밤의 식미와 식감은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늘어날수록 감소하였으며, 저장 15일 이후로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위의 결과를 볼 때 마찰과 칼날 밤피밤의 품질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4^{\circ}C$$2^{\circ}C$에서 저장한 박피밤은 15일 이후 품질이 급격하게 감소한 반면 $-1^{\circ}C$에서 저장한 박피밤은 천천히 감소하여 품질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마찰 박피밤의 갈변을 줄일 수 있으면 고품질의 우수한 박피밤이 생산될 수 있을 것이다.

영남지방의 무속(巫俗)과 불교(佛敎) 제의(祭儀)에 나타난 음식문화 연구 (A Study on the Food Culture Manifested in the Memorial Rites of the Shamanism and Buddhism in the Young-nam Area)

  • 김성미;손유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69-178
    • /
    • 2001
  • This paper is intended to survey the literature about Shamanistic and Buddhistic memorial services and to examine the food culture manifested in them. In Shamanistic rituals, fish and meat were not prohibited except in special cases whereas Buddhism Prohibited fish and meat. For Shamanistic rituals, rice cake, cooked rice, liquor and the walleye pollack were commonly used. Besides there were such important offerings as a boiled pork head, chestnuts, jujube and persimmons (dried persimmons) . For Buddhistic memorial services, such foods as cooked rice, soup, cooked pot-herbs, saute, rice cake, confectionary (or candies), chestnuts and jujubes, were dedicated such offerings as cooked rice, rice cake, cooked pot-herbs and fruits were commonly used for both Shamanistic and Buddhistic memorial rites. Particular fruits were not prohibited in either case. Buddhistic rites in particular offered such foreign fruits as pineapples, kiwi and oranges, which showed that the foods of Buddhistic memorial services reflected the popular foods of the day more than those of Shamanistic ones. Water (Jung-hwa-su) brought from the well at daybreak for Buddistic memorial rites came from Shamanism, where as oil-and-honey pastry (Yu-gwa) used for Shamanistic rites came from Buddhism, which showed that the offerings of Buddhistic memorial services and Shamanistic ones were influenced by each other.

  • PDF

충남지역 밤나무 재배 임가의 경영 효율성 분석 (Management Efficiency of Chestnut-Cultivating Households in Chungnam Province)

  • 원현규;전준헌;유병일;이성연;이정민;지동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3호
    • /
    • pp.390-397
    • /
    • 2013
  • 본 연구는 비모수추정 방법인 자료포락 기법을 이용하여 청양, 공주, 부여 등 충남지역의 밤나무 재배임가를 대상으로 경영효율성을 평가하였다. 분석자료는 2012년 3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한 '|밤나무 경영에 관한 실태조사'결과 중에서 20개 임가의 투입요소(관리비, 수확비, 재료비, 간접비, 재배면적)와 산출요소(조수입액)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DEA 기법중 CCR 모형과 BCC 모형을 이용하여 기술효율성, 순수기술효율성, 규모효율성을 분석하였고 비효율성 임가의 개선방안도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DEA 분석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기술효율성과 표준진단표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기술효율성은 평균값이 0.667로 전체적으로 비효율적으로 분석되었고 그 원인은 순수기술효율성이 평균 0.944, 규모효율성이 평균 0.703으로 나타나 재배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순수기술효율성이 높았지만 규모의 효율성에서는 비효율성이 존재하였다. 효율성이 1인 임가는 기술효율성 6개, 순수기술효율성 13개, 규모효율성이 6개 임가로 나타났고, 3개 모두 1인 임가는 6개로 나타났다. 표준진단표 점수와 비교한 결과 80점이상 고득점을 기록한 임가는 5개로 나타났고 이 중 기술효율성이 1로 분석된 임가는 3개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효율성과 표준진단표의 최저점수와 최고점수를 기록한 임가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DEA를 이용한 경영 효율성 평가가 표준진단표와 함께 현장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국산(韓國産) 밤의 저장(貯藏)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reservation of Korean Chestnuts)

  • 신두호;배정설;배국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1-46
    • /
    • 1982
  • 은기(銀寄) 옥광(玉光) 축파(筑波) 3품종(品種)의 밤의 저장성(貯藏性)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움저장(貯藏), polyethylene film 포장저장(包藏貯藏), 상자저장(貯藏), 방사선조사저장(放射線照射貯藏)을 행(行)하여 저장기간(貯藏期間) 동안 화학성분(化學成分) 변화(變化), 부패율(腐敗率), 발아율(發芽率)에 대하여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원료(原料)밤의 화학성분(化學成分)은 수분(水分) 59$\sim$63%, 총당(總糖) 28$\sim$29% 환원당(還元糖) 0.1$\sim$0.2% 조직유(粗織維) 0.6$\sim$0.9% 조단백질(粗蛋白質) 3.5% vitamin C 27$\sim$28mg% 탄닌 50$\sim$58mg%이었다. (2) 총당(總糖)과 vitamin C 함량(含量)은 저장기간(貯藏期間) 동안 감소(減少)하였으며 환당(還糖)과 tannin은 증가(增加)하였다. (3) 발아율(發芽率)은 축파(筑波)가 저장기간(貯藏期間)동안 은기(銀寄)나 옥광(玉光)에 비해 현저히 감소(減少)하였으며 6개월(個月) 저장시(貯藏時) 움저장(貯藏) 93$\sim$100%, 상자저장(貯藏) 35$\sim$57% 방사선조사저장(放射線照射貯藏) 1$\sim$4%였고 polyethylene film 포장저장(包藏貯藏)은 전혀 발아(發芽)되지 않았다.(4) 부패율(腐敗率)은 축파(筑波)가 저장기간(貯藏期間)동안 은기(銀寄)나 옥광(玉光)보다 낮았고 6개월간(個月間) 저장(貯藏)했을 때 상자저장(貯藏) 4$\sim$6%, 방사선조사저장(放射線照射貯藏) 7$\sim$12%, polyethylene film 포장저장(包藏貯藏) 5$\sim$8% 그리고 움저장(貯藏) 30$\sim$54%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