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ongpomuk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Quality Evaluation of Cheongpomuk Added with Chlorella Powder

  • Nak Hyun CHOI;Hye In JEONG;Nam Yong CHUNG;Mee Hye SHIN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9권4호
    • /
    • pp.1-10
    • /
    • 2023
  •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to evaluate the optimal mixing ratio of a chlorella powder in Cheongpomuk. The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s contents of Cheongpomuk and chlorella powder was 279.90 ㎍/mL, 489.50 ㎍/mL and 48.79 ㎍/mL, 687.85 ㎍/mL respectively.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chlorella powder was 65.39%, 91.28% respectively. The L values (58.85~26.23), a values (-0.44~-5.84) of the Hunter's color values decreased and b value (-10.98 ~4.12) increased significantly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chlorella powder.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55.00~734.20 ㎍/mL), total flavonoids contents (41.00~88.29 ㎍/m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35.10~65.50%)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50.29~92.86%) of Cheongpomuk increased significantly in groups of chlorella powder. In the physical properties, the hardness (135.93~103.93 g/㎠), chewiness (6.76~3.76 g), springiness (4.92~4.36 %), and gumminess (147.70~94.23) of Cheongpomuk decreased significantly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chlorella powder. The Cheongpomuk containing 15% chlorella powder showed a high score with regard to color, flavor, moistness, chewiness and overall acceptance. The appropriate addition amount of chlorella powder for making Cheongpomuk is 15%. This study indicate that Cheongpomuk treated with chlorella powder had the highest functional component and antioxidant activity.

탕평채 조리법의 표준화 및 오방색 청포묵 개발 (Standardization of Tangpyeongchae Recipe and Development of Obangsaek Cheongpomuk (Mungbean gel))

  • 최가람;이솔;이경애;신말식;김향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9-128
    • /
    • 2014
  •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representative mild Korean food, including kimchi, bulgogi, galbi, and bibimbap, while maintaining existing images in order to spread Korean food worldwide. Tangpyeongchae is a mild healthy food with a nutritional balance of carbohydrates from cheongpomuk, protein from beef and eggs, and vitamins and minerals from water parsley, bean sprout, and laver. The food has a history of being favored by the political elite of the Joseon Dynasty and has features in Korean storytelling. Tangpyeongchae is an obangsaek food (five representative colors of Oriental philosophy). This study examined modern recipes of Tangpyeongchae in order to establish a standardized cooking method.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d customer interest and marketability of natural pigments to develop obangsaek cheongpomuk (mungbean gel) by adding black sesame, a traditional ingredient in Korea, to the cheongpomuk as well as traditional Korean pigments, chija and omija.

1700년대~1960년대 문헌에 나타난 탕평채의 문헌고찰 (Literature Review of Tangpyeongchae in Cook Books Published in 1700~1960s)

  • 이경애;김보람;김향숙;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27-335
    • /
    • 2012
  • 탕평채의 전통 조리법 발굴을 위해 1700년대부터 1960년대의 고문헌 및 고조리서에 수록된 탕평채의 재료, 양념, 조리방법의 변화 등을 검토하였다. 탕평채는 1700년대 말의 문헌인 "경도잡지"와 "고사십이집"에 처음 소개된 후 "임원십육지", "동국세시기", "송남잡식", "진찬의궤", "진작의궤", "명물기략", "규곤요람", "시의전서", "조선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주부의 동무, 조선요리제법", "조선요리학", "이조궁정요리통고",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 등에 탕평채가 수록되었다. 조선시대 궁중 연회음식을 수록한 "진찬의궤"와 "진작의궤"에는 청포채란 명칭으로 탕평채가 소개되어 있다. 탕평채의 재료 중 묵, 고기, 미나리, 숙주나물, 달걀, 김의 사용이 보편화된 것은 1900년대 중반 이후이며, 달래, 물쑥과 같은 봄나물을 재료로 사용한 기록도 있다. 1700년대 말에는 단지 초장(간장과 초로 만듦)으로만 무쳐 먹었던 탕평채는 이후 간장, 초 뿐 아니라 고추, 후춧가루, 깨소금, 참기름, 마늘, 파, 소금, 설탕 등을 사용해서 양념하여 보다 다양한 맛을 내고자 하였다. 또한 미나리, 고춧가루, 실고추, 지단채, 통잣, 잣가루, 깨소금, 김 등을 고명으로 사용했다. 탕평채의 조리방법은 1800년대 말의 문헌부터 비교적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1800년대 말에는 모든 재료를 함께 양념했으나, 1900년대에는 다른 재료를 먼저 양념하고 마지막에 묵을 넣고 무치는 방법도 사용했다.

1700년대~1960년대 문헌에 나타난 탕평채의 문헌고찰 (Literature Review of Tangpyeongchae in Cook Books Published in 1700~1960s)

  • 이경애;김보람;김향숙;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89-497
    • /
    • 2012
  • 탕평채의 전통 조리법 발굴을 위해 1700년대부터 1960년대의 고문헌 및 고조리서에 수록된 탕평채의 재료, 양념, 조리방법의 변화 등을 검토하였다. 탕평채는 1700년대 말의 문헌인"경도잡지"와 "고사십이집"에 처음 소개된 후 "임원십육지", "동국세시기", "송남잡식", "진찬의궤", "진작의궤", "명물기략", "규곤요람", "시의전서", "조선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주부의 동무, 조선요리제법", "조선요리학", "이조궁정요리통고",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등에 탕평채가 수록되었다. 조선시대 궁중 연회음식을 수록한 "진찬의궤"와 "진작의궤"에는 청포채란 명칭으로 탕평채가 소개되어 있다. 탕평채의 재료 중 묵, 고기, 미나리, 숙주나물, 달걀, 김의 사용이 보편화된 것은 1900년대 중반 이후이며, 달래, 물쑥과 같은 봄나물을 재료로 사용한 기록도 있다. 1700년대 말에는 단지 초장(간장과 초로 만듦)으로만 무쳐 먹었던 탕평채는 이후 간장, 초 뿐 아니라 고추, 후춧가루, 깨소금, 참기름, 마늘, 파, 소금, 설탕 등을 사용해서 양념하여 보다 다양한 맛을 내고자 하였다. 또한 미나리, 고춧가루, 실고추, 지단채, 통잣, 잣가루, 깨소금, 김 등을 고명으로 사용했다. 탕평채의 조리방법은 1800년대 말의 문헌부터 비교적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1800년대 말에는 모든 재료를 함께 양념했으나, 1900년대에는 다른 재료를 먼저 양념하고 마지막에 묵을 넣고 무치는 방법도 사용했다.

연잎 분말 첨가량에 따른 청포묵의 항산화 특성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Lotus Leaf Powder Content of Cheongpomuk)

  • 문정희;홍기운;유승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12-13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연잎의 다양한 효능을 가공식품에 활용하여 기능성 식품으로 연잎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청포묵의 수분, 색도, 저장기간에 따른 색도, 이수율, Texture,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DPPH 소거능, 기호도 조사를 분석 실시하였다. 연잎 분말 첨가량에 따른 청포묵의 저장기간에 따른 Texture의 경우, 경도(hardness)는 제조한 직후에 Control 첨가구는 $0.38g/cm^2$, CCD 1% 첨가구는 $0.40g/cm^2$, CCD 3% 첨가구는 $0.42g/cm^2$, CCD 5%는 $0.37g/cm^2$, GGD 1% 첨가구는 $0.42g/cm^2$, GGD 3% 첨가구는 $0.39g/cm^2$, GGD 5% 첨가구는 $0.35g/cm^2$, JLD 1% 첨가구는 $0.39g/cm^2$, JLD 3% 첨가구는 $0.33g/cm^2$, JLD 5% 첨가구는 $0.32g/cm^2$로 JLD 5% 첨가구는 가장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CCD 3% 첨가구와 GGD 1%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각각의 시료 간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연잎 분말 첨가량에 따른 청포묵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GGD 5%의 첨가구는 Control의 첨가구에 비해 약 22배의 증가량을 나타내었으며 연잎 분말의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시료간의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DPPH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Control 첨가구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6.65 mg CE/100 g을 나타내었으며, CCD 1%의 첨가구는 7.48 mg CE/100 g, CCD 3%의 첨가구는 15.82 mg CE/100 g, CCD 5%의 첨가구는 20.15 mg CE/100 g, GGD 1%의 첨가구는 15.55 mg CE/100 g, GGD 3%의 첨가구는 23.02 mg CE/100 g, GGD 5%의 첨가구는 26.95 mg CE/100 g, JLD 1%의 첨가구는 3.92 mg CE/100 g, JLD 3%의 첨가구는 16.72 mg CE/100 g, JLD 5%의 첨가구는 26.58 mg CE/100을 나타내었다. 연잎 분말 첨가량에 따른 청포묵의 두 그룹 간의 색과 향, 맛, 탄력성, 전체적인 기호도를 분석한 결과, 조리 전문 강사 그룹과 조리학과 학생부간의 색은 조리 전문 강사 그룹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향과 맛, 탄력성,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 지역별 연의 생육 조건 및 재배 환경에 따라 연잎 분말을 이용한 가공식품에 유용하게 활용되어 다양한 기능성 식품을 개발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연잎 청포묵 제조시 전체적으로 3% 연잎 분말이 가장 적합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