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mical powdering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미끄럼 방지 바닥 도료용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화학적 분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emical Powdering Process of Polypropylene Resin for Anti-slip Floor Paint)

  • 김대인;정화영;황석환;조익성;윤경준;조백수;김광국;윤강재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8-83
    • /
    • 2012
  • In this study, som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peroxide-degradation process of polypropylene(PP) in a co-rotating twin-screw extruder to produce controlled rheology polypropylene(CRPP) are presented. The peroxide was dicumyl peroxide(DCP) and the concentration of DCP was in the range 0-0.3 wt%. It was found that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PP change significantly during reactive extrusion. Melt flow index(MFI) increased with DCP concentration. Intrinsic viscosity decreases with increasing DCP concentration. From dynamic rheological dat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Mn),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Mn) an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MWD) were calculated. Results indicated that Mw decreases and MWD becomes narrower with increasing peroxide concentration. Especially,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CRPP decreases with increasing DCP concentration by chemical powdering process, and anti-slip floor paint, CRPP(DCP 0.2 wt%) powder by 10phr was friction coefficient 2.15 ${\mu}$, abrasion resistance 511.18%.

Investigation of Galling In Forming Galvanized Steel Sheet

  • Altan, Taylan;Kardes, Nimet;Kim, Hyunok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1-5
    • /
    • 2011
  • The major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various galvanized (GI) or galvannealed (GA) mild steels and AHSS in stamping applications. Finite Element Analysis (FEA) of selected stamping operations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ritical pressure boundary conditions that exist in practice. Using this information, laboratory tribotests, e.g. Twist Compression (TCT), Deep Drawing (DDT) and Strip Drawing (SDT) Tests,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elected lubricants and die materials/coatings in forming galvanized steels of interest. The sheet materials investigated included mild steels and AHSS (e.g. DP600 GI/GA, DP780 GI/GA, TRIP780 GA and DP980 GI/GA).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galvanized material resulted in more galling, while galvannealed material showed more powdering and flaking. The surface roughnes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galvanized sheet materials affected the severity of galling under the same testing conditions, i.e. lubricants and die materials/coat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ed to determine the critical interface pressure that initiates lubricant failure and galling in stamping selected galvanized sheet materials. Thus, to prevent or postpone the critical interface cond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select the optimum combination of galvanized sheet, die material, die coating and lubricant for forming structural automotive components.

Chloride Meter(CL-2Z형)를 이용한 담배잎 중 chloride의 신속한 검정방법 (Rapid Quantification of Chloride in Tobacco Leaves by a Chloride Meter (Model: CL-2Z))

  • 이미경;정훈채;김용연;윤연현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83-93
    • /
    • 2006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imple and rapid fiel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chloride content in tobacco green or cured leaves. To set up a practical process, several factors such as the proper sampling position of each leaf, the size of leaf lamina pieces for blending, the substitution of deionized water fur the extracting solution, 0.1N $HNO_3$, the submerging durations before blending, and the standing times before measuring were studied using flue-cured and burley tobacco with a stable and reproducible Chloride Meter, KRK CL-2Z. From the results, chloride contents of tobacco leaves could be analyzed with the Chloride Meter(CL-2Z) using the suspension of 14 mm diameter leaf disks after soaking in distilled water for 30 min., blending with a mini-blender for 30 seconds. The chloride contents measured in this way showed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ones by the conventional potentiometric method using an ion meter-chloride electrode and $AgNO_3$ titration. In our method, the procedures such as drying, powdering and weighing samples, and using chemical reagents for extraction (0.1N $HNO_3$) and titration(0.028N $AgNO_3$) could be elimina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ewly constructed method using the Chloride Meter is more efficient to determine the chloride content of tobacco leave in comparison with the one by the Ion $Meter:AgNO_3$ titration.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Functionalization of the Coated Iron Oxide Nanostructures

  • Tursunkulov, Oybek;Allabergenov, Bunyod;Abidov, Amir;Jeong, Soon-Wook;Kim, Sungjin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0-185
    • /
    • 2013
  • The iron oxides nanoparticles and iron oxide with other compounds are of importance in fields including biomedicine, clinical and bio-sensing applications, corrosion resistance, and magnetic properties of materials, catalyst, and geochemical processes etc. In this work we describe the preparation and investigation of the properties of coated magnetic nanoparticles consisting of the iron oxide core and organic modification of the residue. These fine iron oxide nanoparticles were prepared in air environment by the co-precipitation method using of $Fe^{2+}$: $Fe^{3+}$ where chemical precipitation was achieved by adding ammonia aqueous solution with vigorous stirring. During the synthesis of nanoparticles with a narrow size distribution, the techniques of separation and powdering of nanoparticles into rather monodisperse fractions are observed. This is done using controlled precipitation of particles from surfactant stabilized solutions in the form organic components. It is desirable to maintain the particle size within pH range, temperature, solution ratio wherein the particle growth is held at a minimum. The iron oxide nanoparticles can be well dispersed in an aqueous solution were prepared by the mentioned co-precipitation method. Besides the iron oxide nanowires were prepared by using similar method. These iron oxide nanoparticles and nanowires have controlled average size and the obtained products were investigated by X-ray diffraction, FESEM and other methods.

운주사 석조문화재의 보존상태와 보존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ervation State and Plans for Stone Cultural Properties in the Unjusa Temple, Korea)

  • 김사덕;이찬희;최석원;신은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7권
    • /
    • pp.285-307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전남 화순군에 위치한 운주사의 석조문화재를 중심으로 암석의 풍화대 형성과 풍화의 진행에 따른 암석학적 특성과 지화학적 특성을 종합 검토하였다. 이 결과를 중심으로 석조물을 이루는 암석의 기계적, 화학적, 광물학적 및 물리적 풍화에 영향을 미치는 풍화요소를 규명하였고, 이들을 정량화하여 석조문화재의 보존방안 강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하여 야외 정밀조사 및 총 18개의 시료(화산력 응회암 7점, 화산회 응회암 4점, 화강암류 4점, 화강편마암 3점)에 대한 전암분석과 암석의 특성 및 광물감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석조물에 대한 훼손현황을 반정량적으로 기재하였다. 운주사 일대의 지질을 이루는 암석은 화산력 응회암이며 대체로 N30-40W의 주향과 10~20NE의 경사를 갖고 있다. 이 화산력 응회암은 운주사를 중심으로 매우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운주사 경내에 분포하는 석조물은 모두 화산력 응회암으로 조형되어 있다. 현재 운주 사 경내의 석조물들은 대부분 심한 균열의 발달과 함께 구조적 불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생물학적 오염 및 암석의 풍화가 상당히 진행되어 각력이 탈락하고 광물의 입상분해가 발생하는 등 풍화와 훼손양상이 아주 심각하다. 또한 석조물 곳곳의 철편과 시멘트 몰탈은 산화되어 적갈색의 침전물과 회백색의 침전물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석조물에 대해 육안 훼손정도를 기재한 결과 대부분의 석조물들이 MD(moderate damage)에서 SD(severe damage) 등급의 훼손정도를 보이고 있다. 각 암석의 X선 회절분석 결과, 대부분의 시료들은 석영, 정장석, 사장석, 방해석 및 자철석 등의 광물로 구성되어 있다. 현미경하에서는 석영과 장석류가 심하게 변질되었으며, 타형의 결정형을 보이는 흑운모는 풍화되어 이차 풍화광물인 녹니석으로 변질되어 있다. 또한 응회암 곳곳의 열극대에 적갈색의 철분 침전물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암석의 내부까지 풍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지역의 석조물을 이루는 응회암류는 Subalkaline, Peraluminous의 영역에 도시되며, 시료의 $SiO_2$(wt.%) 범위는 화산력 응회암이 70.08~73.69, 화산회 응회암은 70.26~78.42 의 범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주성분원소에 대한 화학적풍화지수(CIA)와 풍화잠재지수(WPI) 계산치에서 CIA의 범위는 화산력 응회암은 55.05~60.75, 화산회 응회암은 52.10~58.70, 화강암은 49.49~51.06 화강편마암은 53.25~67.14의 범위를 보이며 이들은 편마암류와 응회암류에서 큰 값을 갖는다. WPI는 응회암류와 편마암류의 시료에서 0선 이하에 있거나 0선에 근접되어 도시되는 것으로 보아 상위 CIA에서와 같이, 이들 응회암류와 편마암류가 화학적인 풍화 작용을 쉽게 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암석의 분말시료와 석조물의 피복시료를 채취하여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암석의 이차적인 풍화산물인 스멕타이트, 불석군의 점토광물이 관찰된다. 그리고 암석의 생물학적 풍화 요소인 하등식물의 균사류 및 지의류의 모근과 포자가 함께 관찰된다. 이는 암석의 내부까지 생물체가 압력을 가하고 있어 석조물의 기계적 풍화작용을 가중시키고 있으며, 이와 함께 석조물 내에 점토광물화가 상당히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암석의 풍화가 상당히 진행되어 비, 바람, 수목, 지반 등 자연환경 의해 훼손이 가속화 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1차 수목 제거 등 주변 환경정비와 배수로 설치 등 물 침투 방지에 대한 지반환경 조성이 필요하고, 2차 지의류 제거 등 생물학적 처리와 합성수지를 사용한 균열부분 접착복원과 암석 재질을 강하게 하는 경화 및 발수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풍화의 원인인 바람, 햇빛, 비 등을 차단시킬 수 있고 주변경관과 어울리는 보호시설을 건립하여 보존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