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coal meal transit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7초

다시마와 다시마 요구르트의 변비해소 효과 (Effects of Sea Tangle Extract and Sea Tangle Yogurt on Constipation Relief)

  • 김현진;김순임;한영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9-67
    • /
    • 2008
  • In an effort to make a functional and stable yogur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rovement effects of sea tangle extract and sea tangle yogurt on intestinal function. The intestinal improvement effect of the extract was measured by the charcoal meal transit method, employing Balb/C mice. And constipation relief was compared utilizing the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method, employing SD rats. Charcoal meal transit was remarkably increased in the mice receiving sea tangle extract as compared to the controls. The constipation relief effects of the sea tangle and sea tangle yogurt were evaluated by measuring fecal amounts in the rats after adding them to water. The fecal contents increased remarkably in the sea tangle administered rat group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different yogurt samples were us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a tangle yogurt. During storage, pH slightly decreased in the yogurt with sea tangle as well as without. At the same time, acidity slowly increased as the storage duration increased. As time elapsed, the amounts of viable cells increased in both yogurts (with and without sea tangle). In the sensory evalu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between the sea tangle yogurt and the control for color, flavor, sweetness, and overall quality. Overall, based on the combined results of the intestinal function effects and sensory evaluation, the 0.25% sea tangle yogurt proved to be superior.

무(Raphanuse sativa var. nigra L.) 물 추출물로 부터 장기능 및 변비질환 개선을 위한 활성 분획의 제조 (Preparation of Active Fraction from Radish Water Extracts for Improving the Intestinal Functions and Constipation Activities)

  • 백순옥;이유희;김영숙;류명현;김현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3호
    • /
    • pp.315-320
    • /
    • 2004
  • 본 연구는 장기능 개선 및 변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천연 식품인 무(Raphanuse sativa var. nigra L.)로부터 추출, 정제된 조성물, 보다 상세하게는 무의 물 추출물에서 정제 분획된 분자량 3-10 kDa가 주성분으로 장기능 및 변비 질환의 개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무의 물 추출물을 Balb/c mice를 이용한 활성탄 식이의 장 이동 효과와 SD rats를 이용한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method에 의한 항변비 효과를 검색하였다. 또한 항변비 효과 검색을 종료한 후, 희생한 횐쥐의 대장관 내 점액질 분비 효과를 조사하였다. 특히, 대장에 많이 존재하는 MUC2 분비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무의 물 추출물은 식수만 투여한 대조군에 비해 용량에 비례해서 활성탄 식이의 장 이동 효과가 현저하게 증가되었고, 다양한 용매 분획에서는 무의 물 분획이 가장 큰 장 이동 효과를 나타내어, 물 분획이 장 이동을 촉진시키는 활성 물질이 가장 많이 함유된 분획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물 분획을 분자량 크기로 3 kDa 이하, 3-10 kDa, 10-300 kDa, 300 kDa 이상의 4가지 세 분획으로 나누어 활성탄 식이의 장이동 효과를 조사한 결과, 이들 세 분획중에서 3-10 kDa의 분자량을 가진 분획이 주요 구성 물질로 장 이동 촉진 효과를 보였다. Loperamide를 이용해 3-10 kDa의 변비해소 작용을 알아 본 결과에서도 무 물세분획(3-10 kDa) 투여로 변비 유발기간 내내 변량이 증가되었으며, 변비 유발군에 비해, 사료 섭취량의 증가는 변비 유발 물질인 loperamide를 계속 섭취함에도 불구하고 변비가 해소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 물세분획(3-10 kDa)의 대장관내 점액질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대장관 내 변의 개수가 정상군과 거의 같은 수준의 변 개수가 관찰되어 배변촉진 효과가 확인 되었고, 항체(Biogenex AM358)를 사용하여 면역조직 화학법으로 MUC2 관찰시, 변비 유발군에서는 MUC2로 염색된 세포가 현저하계 감소되나, 무 물세분획(3-l0 kDa) 투여시 뚜렷하게 MUC2 염색이 증가되었다.

Evaluation of Antidiarrhoeal Activity of Aerva species

  • Joanofarc, J.;Vamsadhara, C.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9권3호
    • /
    • pp.177-179
    • /
    • 2003
  • The genus Aerva is distributed is temperate and stropical Asia and Africa. Aerva species, Aerva lanata and Aerva javanica have been used for antidiarrhoeal activity in Indian traditional medicine. A.lanata and A.javanica were screened separately for their. anti-diarrhoeal activity and their action on intestinal transit on their vacuum dried ethanolic and aqueous extracts at the dose of 800 mg/kg by standard methods. All the extracts showed significant antidairrhoeal activity and significantly reduced intestinal transit in charcoal meal test. The results illustrate that the ethanolic and aqueous extracts of A.lanata and the ethanolic and aqueous extracts of A.javanica have significant antidiarrhoeal activity and the activity may be attributed to its effect on intestinal transit. The present study supports the claim of Aerva lanata and Aerva javanica as antidiarrhoeal drugs in the Indian system of medicine.

함초 추출물의 장 기능 개선과 변비 해소 효과 (Effects of Slander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Extract on Improvements in Bowel Function and Constipation Relief)

  • 조영심;김순임;한영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26-331
    • /
    • 2008
  • 함초 추출물의 장내 이동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함초 추출물을 식수에 첨가하여 장 이동률을 살펴본 결과 대조군에 비해 함초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활성탄 식이의 장 이동률은 8.5-16.4% 증가되었다. 함초 추출물의 변비해소효과는 함초 추출물을 식수에 녹여 공급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함초 추출물을 3 mg/mL 처리한 군에서의 변량이 식수 섭취량과 관련하여 최대 156% 증가하였다. 또한 함초 요구르트의 변비해소효과는 0.25% 함초 요구르트의 공급으로 변비 유발기간 내 변량이 최대 150% 증가되었으며 처리군에 비해 loperamide를 계속 섭취함에도 불구하고 변비가 해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함초 추출물은 장 이동률을 증가시켜 장운동을 촉진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또한 변비 해소작용까지 나타내어 장 기능 개선에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이라 생각된다.

Effect of antidiarrhoeal formulation on acute experimental diarrhoea in rats

  • Khan, M. Aleem;Khan, Naeem A.;Qasmi, Iqbal A.;Ahmad, Ghufran;Zafar, Shadab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5권2호
    • /
    • pp.150-155
    • /
    • 2005
  • Aqueous extract of antidiarrhoeal formulation (ADF) containing Holarrhena antidysentrica, Aegle marmelos and Punica granatum was investigated for antidiarrhoeal activity against charcoal-induced gut transit, serotonin-induced diarrhoea and $PGE_2-induced$ small intestine enteropooling in rats. The control, standard and test groups of experimental animals were administered with normal saline (p.o.), diphenoxylate hydrochloride (5 mg/kg, p.o.) and ADF (250 mg and 500 mg/kg, p.o.) respectively except the control group of $PGE_2-induced$ small intestine enteropooling which received only 5% ethanol in normal saline (i.p.). Charcoal (10 ml/kg, p.o.) and serotonin $(600\;{\mu}g/kg,\;i.p.)$ were administered after 30 min, while $PGE_2\;(100\;{\mu}g/kg,\;p.o.)$ was administered immediately afterwards. The distance traveled by charcoal in small intestine was measured after 15 and 30 min of charcoal administration, diarrhoea was observed every 30 min for six hour after serotonin administration and the volume of intestinal fluid was measured after 30 min of $PGE_2$ administration. Oral administration of ADF significantly inhibited the frequency of defaecation and decreased the propulsion of charcoal meal through the gastrointestinal tract, reduced the wetness of faecal dropping in serotonin-induced diarrhoea and also reduced the $PGE_2-induced$small intestine enteropooling. ADF may have potential to reduce the diarrhoea in rats.

Small Intestinal Transit Does Not Adequately Represent Postoperative Paralytic Ileus in Rats

  • Lee, Hyun-Tai;Chung, Suk-Jae;Shim, Chang-K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6호
    • /
    • pp.978-983
    • /
    • 2002
  • Small intestinal transit (SIT) has often been regarded as an index of pathophysiological state of postoperative ileus (PI) in rats. The reliability of SIT as an index of PI was examined in the present study. PI was induced via abdominal surgery (i.e., laparotomy with evisceration and manipulation) in rats. For one group of PI-induced rats, SIT of a charcoal test meal was measured. When necessary, the physical state (i.e., severity and site of distension) of the gastrointestinal (GI) tract in each rat was visually examined. For another group of PI-induced rats, abdominal X-ray radiographs were obtained after introducing the barium sulfate suspension. The abdomen was then opened and the physical state of the GI tract was visually examined. The SIT was decreased in most of the PI-induced rats, and the GI distension was observed, with substantial intersubject variations, in all of the PI-induced rats. However, no linear relationship was evident between the SIT and the severity of GI distension (e.g., at 20 h after PI induction). Instead, the severity and site of GI distension could be monitored by the X-ray radiology. Therefore, the use of SIT as an index of PI should be substantially limited.

장기능개선제-신소재(KTG075)의 대장관 내 mucin 2 분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stinal Function Enhancer (KTG075) on Mucin 2 Secretion)

  • 이유회;백순옥;김현경;류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91-99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장 기능 개선 및 변비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식물성 복합추출물인 장기능개선제-신소재(KTG075)의 대장관 내 점액질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 특히 대장에 가장 많이 분비되는 mucin 2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Mucin(MUC)은 그 구조에 따라서 여러 아형이 있는데, 아형에 따라서 조직 분포가 다르며 대장에서 가장 많이 분비되는 mucin의 아형은 mucin 2로서 mucin 2에 대한 항체(Biogenex AM358)를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법으로 mucin 2를 관찰 시, 변비유발군에서는 mucin 2(연갈색)로 염색된 세포가 현저히 감소되나 KTG075 투여 시 뚜렷하게 mucin 2의 염색이 증가되었다. 또한 alcian blue 염색으로 점액질층을 관찰 시 점액질 두께도 변비유발군에서는 현저히 감소되었고 KTG075투여군에서는 점액질층이 거의 정상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변비유발군에서의 mucin 2의 생성과 분비가 감소되나 KTG075 투여군에서는 장 기능을 활성화시킴으로써 mucin 2의 생성과 분비를 증가시켜 장관 내 윤활도가 유지되고 장관 운동을 증가시켜 배변을 용이하게 하여 변비 또는 스트레스 등에 의해 저하된 장 기능을 개선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장 기능 및 변비개선 효과 (Effects of Fermented Chicory Fiber on the Improvement of Intestinal Function and Constipation)

  • 신선;박성선;이환명;허정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5-59
    • /
    • 2014
  • 치커리 화이바는 콜레스테롤 개선, 배변활동 원활, 식후혈당 상승억제의 기능성을 바탕으로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배변활동에 도움을 주는 치커리 화이바를 발효하여 변비개선 효능을 확인한 결과 실험기간 동안 식이 섭취량이 증가한 반면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비만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 기능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소화관 이동률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양성 대조군 FWP(차전자피복합물), 실험군 CF(치커리 화이바), 실험군 FCF(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에서 소화관 이동률이 증가하였고, 특히 실험군 FCF 1.62 mg/g (P<0.01)과 실험군 4.13 mg/g(P<0.05)의 경우 실험군 CF 동일 농도에 비해 소화관 이동률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변비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장 내 잔류하고 있는 변의 개수를 확인한 결과 변비를 유발시킨 loperamide 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해 대장 내에 변이 잔류하면서 배변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대장 내 변의 개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양성 대조군 FWP와 실험군 CF, 실험군 FCF에서 대장 내 변의 개수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고 특히 실험군 FCF 2.06 mg/g의 경우 실험군 CF 동일 농도에 비해 대장 내 변의 개수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P<0.01). 본 연구결과를 통해 치커리 화이바를 발효함으로써 배변활동 및 변비개선능이 비발효 치커리 화이바에 비하여 더욱 증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발효된 치커리 화이바가 배변 및 변비 기능성을 증진시키는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