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haracteristics of texture

Search Result 2,98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얼굴영상과 예측한 열 적외선 텍스처의 융합에 의한 얼굴 인식 (Design of an observer-based decentralized fuzzy controller for discrete-time interconnected fuzzy systems)

  • 공성곤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437-443
    • /
    • 2015
  • 이 논문에서는 가시광선 얼굴영상과 그로부터 예측한 열 적외선 텍스처의 데이터 융합에 의한 얼굴인식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제안하는 얼굴인식 기법은 가시광선 얼굴영상과 열 적외선 텍스처를 PCA에 의하여 낮은 차원의 특징공간에서 특징벡터로 변환한 다음, 다층 신경회로망을 사용하여 가시광선 영상 특징으로부터 얼굴의 열적외선 특징을 예측하여 열 적외선 텍스처를 생성하였다. 학습과정에서는 주어진 개체로부터 획득한 한 쌍의 가시광선 및 열 적외선 영상에 대해서 PCA를 이용하여 낮은 차원의 특징공간으로 변환한 다음, 가시광선 영상특징으로부터 열 분포 특징으로 매핑시키는 비선형 함수에 해당하는 신경회로망의 내부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학습된 신경회로망은 입력 가시광선 얼굴 특징으로부터 열 에너지 분포 특성의 PCA계수를 예측하고, 이로부터 열 적외선 텍스처를 생성한다. 대표적인 두 가지 얼굴인식 알고리즘 Eigenfaces와 Fisherfaces을 사용하여 NIST/Equinox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얼굴인식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예측한 열 적외선 텍스처와 가시광선 얼굴영상의 데이터 융합결과는 가시광선 얼굴영상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서 얼굴인식의 성능이 개선되었음을 수신자 조작특성 (ROC) 및 첫 번째 매칭성능에 의하여 검증하였다.

색채와 질감에 따른 남성 헤어스타일 이미지 연구 (A Study of the Image in Men's Hairstyle Depending on Hair Color and Texture)

  • 하경연;이명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6권2호
    • /
    • pp.293-304
    • /
    • 200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mages in men's hairstyle by hair color, tone, texture, and perceiver's gender,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airstyle appropriate to seasons. A quasi-experimental method by questionnaire was used, and the experimental design was $4{\times}3{\times}2{\times}2$(hair color$\times$tone$\times$texture$\times$perceiver's$\times$gender) factorial design. The subjects were 372 men and women in their 20s through 50s. five factors of men's hairstyle image were derived by factor analysis: individuality, dignity, romanticism, refinement, and activity. Black hair was perceived to be high in dignity and activity. Bright tone was perceived to be high in individuality, but low in dignity. Men's wave hair was perceived to be higher in individuality than straight hair, but lower in dignity. Perceiver's gender did not give significant influence on evaluation of all image factors. In brown, neutral tone was perceived to be higher in dignity. romanticism, and activity than dark or bright tone. In black, wave hair was perceived to be more refined than straight hair. Black hair matches with winter the most, and yellow matches with spring the most. In terms of tone, dark tone matches with winter; neutral tone matches with autumn; bright tone matches with summer. The results of this study verified that hair color and texture affect men's image perception, and matching hair colors are associated with seasons.

  • PDF

곰소만 조간대 바지락 양식장 저질의 퇴적학적 및 수리역학적 특성 (Sedimentological and Hydr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ed Deposits for the Cultivation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omso Tidal Flat)

  • 조태진;이상배;김석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45-253
    • /
    • 2001
  • 곰소만 조간대에서 채취한 표층퇴적물에 대하여 입도분석을 수행하여 퇴적물의 조직 특성을 분석하였다. 코어 시료를 이용하여 퇴적물의 수리-역학적 특성을 실험적으로 도출하였으며, 퇴적물의 심도별 역학적 응력 및 과잉간극수압, 그리고 지반의 안정성을 수치해석적으로 분석하여 바지락 양식장 퇴적물의 거동 특성을 규명하였다. 곰소만 조간대내의 표층 퇴적물은 겨울에는 $5 \phi$의 조립 실트가 주를 이루는 단모드형을 나타내고, 여름에는 $5 \phi$의 조립 실트질 퇴적물에 $4 \phi$의 미세사질 퇴적물이 첨가된 경향을 보여준다 바지락 양식장의 퇴적환경은 평균 입도 $4\~5 \phi$범위, 모래함량 $50\%$ 미만, 니질 함량 $5\sim10\%$ 범위를 나타낸다. 퇴적양상은sandy silt이며, 분급도는 $1.0\sim2.0 \phi$를 나타내고, 왜도는 0.1-0.5의 범위에 포함되어 퇴적물의 퇴적 작용이 방해가 될만한 높은 에너지 상태가 지속되지 않는 환경이 바지락 양식에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치해석적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바지락 양식에 양호한 저질환경은 사질과 니질이 혼합되어 절대 투수계수가 $10^{-11}\sim10^{-12}m^2$ 범위인 경우로 사료되며, 수치해석 모델링 견과 니질 피복층의 두께가 4cm를 초과하게되면 바지락 서식에 대한 저질환경은 크게 저하되고 있는 것으로 고찰된다.

  • PDF

칼라 및 질감 속성 벡터를 이용한 위성영상의 분류 (Satellite Image Classification Based on Color and Texture Feature Vectors)

  • 곽장호;김준철;이준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83-194
    • /
    • 1999
  • 위성에서 관측된 다중분광 위성영상 데이터를 이용목적에 따라 분석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영상 자체에 내포된 밝기, 칼라, 질감 등 다양한 특징들이 중요한 정보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질감이나 칼라정보를 이용한 위성영상의 분석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원 영상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표현하는 속성을 추출하여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위성영상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6개의 속성 벡터들을 선정한 다음 SPOT 위성에서 관측된 영상을 이용하여 각각의 속성들에 대한 분별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역전파 신경망(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을 이용한 분류 네트워크를 구성하였고, 실험하고자 하는 지역에 대한 훈련집합 선택시 선정된 여섯 개이 속성 벡터들을 분류에 사용될 특징으로 선택하였다. 분류 실험을 수행한 결과 각각의 벡터 속성들은 개개의 특성에 따라 많은 장단을 내포하고 있었으며, 전반적으로는 비교적 정확한 분류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칼라 및 질감 속성 벡터들은 위성영상의 분류과정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영상분석 및 응용분야에서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금과 새우젓 첨가량을 달리한 달걀찜의 품질특성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eamed Egg Salted with Various Ratios of Salt and Saeu Jeot)

  • 송민경;김대현;윤혜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75-85
    • /
    • 2014
  • 본 연구는 소금과 새우젓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달걀찜의 수분, 색도, pH, texture 분석 및 관능평가(특성차이검사와 기호도 검사)를 통한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달걀찜의 수분 함량은 새우젓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 반면 pH는 새우젓 첨가가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였다. 색도에서 L값과 b값은 새우젓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둘다 감소하였다. Texture에서는 경도, 씹힘성, 검성의 항목에서 새우젓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관능평가의 특성차이 검사 결과 외관(노란색, 보드라운 느낌)은 새우젓 함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다. 달걀비린 냄새를 제외한 대부분의 향미특성(구운 견과류 냄새, 비린 냄새, 구운 견과류 맛, 짠맛, 비린 맛, 감칠맛)에서는 새우젓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결과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호도 평가 결과에서는 소금과 새우젓 함량이 동일한 비율로 첨가된 달걀찜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소금과 새우젓의 비율을 1:1로 맞추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의 결과는 향후 달걀찜 제조 및 달걀 관련 요리 연구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프락토올리고당과 변성전분 혼합사용 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Rice Cakes (Karedduk) with a Mixture of Fructooligosaccharide and Modified Starch)

  • 정혜영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45-154
    • /
    • 2015
  • 본 연구는 프락토올리고당(95%)과 변성전분 AA의 혼합사용 떡의 노화 억제 효과 분석을 위하여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쌀가루 기준으로 프락토올리고당(95%)은 0, 3, 6, 9 또는 12% 농도로 첨가하고, AA 전분은 0, 0.3, 0.6, 0.9 또는 1.2% 농도로 혼합사용하여 제조한 떡을 $5^{\circ}C$에서 냉장 보관하면서 제조시간 2시간과 24시간 경과 후 기계적 텍스처 특성과 관능적 묘사 특성을 분석하였다. 기계적 텍스처 변화에서 제조 2시간 후 탄성, 응집성, 씹힘성, 검성, 부착성 및 경도 등 모든 텍스처 특성에서 각 실험군 간의 차이가 있었다(p<0.001). 제조 24시간 후 탄성을 제외한 응집성, 씹힘성, 검성, 부착성 및 경도 등에서 각 실험군 간의 차이가 있었고(p<0.001), 프락토올리고당(95%) 6%와 AA 전분 1.2% 수준으로 혼합 첨가하면 텍스처 경도가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관능적 특성에서는 제조 2시간과 24시간 후 AA 전분의 함량이 높을수록 경도는 감소하고, 프락토올리고당(95%)의 함량이 높을수록 단맛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가래떡 제조 24시간 후 프락토올리고당(95%) 6%와 AA 전분 1.2% 수준으로 혼합 첨가하면 경도가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텍스처 변화와 관능적 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 결과 모든 기계적 텍스처 특성은 관능적 특성 중 부착성, 경도 및 응집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01). 따라서 프락토올리고당(95%)과 변성전분 AA의 혼합사용의 경우 프락토올리고당(95%) 6%와 AA 전분 1.2% 농도 수준으로 혼합 첨가하면 저장 중 떡의 노화 억제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쌀가루 첨가량을 달리한 당귀파운드케이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Containing Angelica gigas NAKAI with Various Levels of Rice Flour)

  • 안상희;박금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63-771
    • /
    • 2012
  •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s containing Angelica gigas NAKAI(Korean Angelica) with various levels of rice flour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ecific gravity of dough, and it had the lowest value of 0.848 in the control group. The weight of pound cak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addition of rice flour, but the volume, specific volume and baking loss rat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addition of rice flour. The moisture content and pH of pound cakes were foun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rice flour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ontrol group was 51.02%, whereas pound cakes with rice flour ranged from 51.90~55.75%. The L value of brightness was increased, but a and b value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by addition of rice flour. In all of items of texture, the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pound cakes prepared with various levels of rice flour. Sensory evaluation scores in terms of appearance, flavor,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for pound cakes showed that 50% and 75% substituted sample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ddition of 50~75% rice flour is the best substitution ratio for Korean Angelica pound cakes.

인삼전지의 토양특성이 인삼의 생육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Influence of Various Soil CharacteriBtics in GinBeng Field or the Growth and the Yield of Ginseng (Panax gisoseng C. A. Meyer))

  • 이일호;육창수;한강완;박찬수;박현석;남기열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권2호
    • /
    • pp.175-185
    • /
    • 1980
  • A study was made to clarify the topograph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ginseng field in terms of soil science an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characteristics and ginseng growth, as well as yield of ginseng roots Forty nine farmer's red ginseng field of ginseng growing area were chosen for this study and investigated for two year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 1. Ginseng fie1ds with high yield which represent the more than 1.8kg of ginseng root per 3.2m2 were found in soil series of Bancheon, Yeongog, Weongog, etc. whose texture were the clay loam to clay soil. On the other hand, ginseng field with low yield were observed in soil series of seogto whose texture was loamy soil with high content of gravels. 2 Soil of ginseng field with high yield had higher content of clay. silt soil moisture and soil pore as compared with soils of low yields. These soil characteristic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em length stem diameter and root weight of ginseng plsnt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rate of missing plant 3. The adequate ranges of soil 3 phase from high yield ginseng field were 40 to 50% of solid Phase, 22 to 35% of liquid phase, 25 to 35% of gaseous phase in top soil and 45 to 55% of solid phase. 28 to 30% of liquid phase. 15 to 20% of gaseous phase in subsoil respectively.

  • PDF

동결건조 복숭아 가루를 첨가한 양갱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added with Freeze-dried Peach Powder)

  • 이원갑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67-77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antioxidative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prepared with various amounts of peach powder.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H of yanggaeng was decreased significantly by addition peach powder, but total titratable acidity of yanggaeng was increased significantly by addition peach powder. The sweetness ($^{\circ}brix%$) and moisture content of groups by the addition of peach powder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At the result of color measurement, L value of groups by the addition of peach powder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but a value and b value of groups by the addition of peach powder were higher. Texture measurement score in terms of hardness and brittleness for yanggaeng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by addition peach powder. The contents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roups by the addition of peach powder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As peach powder increased, antioxidative activity also became bigger. Sensory evaluation scores in terms of after swallowing, appearance, odor,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of groups with 4% and 6% peach powder were higher significantly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기능성 천연물을 첨가한 스펀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1. 뽕잎 분말)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Containing a Functional and Natural Product(1. Mulberry Leaf Powder))

  • 최길용;배종호;한갑조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703-70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various amounts of mulberry leaf powder in place of flour. The specific gravity of kneading was maintained at the different amounts of added mulberry leaf powder, which increased at ratios of 5, 10, 15, and 20 percent. The crumb decreased greatly when flour rather than mulberry leaf powder was used. As the amount of mulberry powder increased, red and yellow color decreased in both the crumb and crust. The volume and symmetry indices of the sponge cake slightly decreased when the amount of mulberry powder increased. However, uniform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amples. The specific volume of the cake decreased when the amount of the mulberry leaf powder increased. In addition, mulberry leaf powder increased the degrees of hardness and gumminess of cake, but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for the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of the cake texture. In the consumer acceptability test, the most favorable taste and odor were attained at the 10 percent level of mulberry leaf powd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