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nge of annual production performanc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재래닭 5계통의 종 조성 후 생산능력 변화 추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Production Performance of 5 Strains of Korean Native Chicken after Establishment of Varieties)

  • 김기곤;강보석;박병호;추효준;권일;최은식;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93-204
    • /
    • 2019
  • 본 연구는 1992년 이래 지난 25년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수집하여 계통 조성한 한국재래닭 5계통에 대한 생산능력의 변화추이를 탐색하고자 한 것으로 총 38,026수를 대상으로 생존율, 체중, 시산일령, 산란지수 및 난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재래닭의 270일간 평균 생존율은 $87.9{\pm}0.8%$로 계통간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으며, 연간 생존율의 변화도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재래닭 5계통의 150일령 평균체중은 $1,609.7{\pm}21.3g$이었고, 계통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데 흑색종의 체중이 가장 높았으며, 회갈색종과 백색종이 가장 낮았다. 년도 별 체중의 변화 양상은 2004년 이후 거의 모든 계통의 체중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재래닭 5계통의 평균 시산일령은 $146.9{\pm}1.1$일 정도로서 흑색종이 가장 늦었고, 백색종이 가장 빨랐다. 연간 시산일령의 변화 추이는 2004년부터 급격히 늦어졌다가 2008년 이후 점차적으로 빨라지는 양상을 보였다. 한국재래닭의 270일 평균 산란지수는 $77.3{\pm}1.7$개이고, 계통 별산란능력간에 있어 황갈색종이 가장 높았고, 흑색종과 회갈색종이 가장 낮았다. 연간 산란지수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일관된 변화 양상은 보이지 않았다. 한국재래닭의 270일령 평균 난중은 $51.2{\pm}0.3g$으로 흑색종이 가장 무거웠고, 백색종이 가장 가벼웠다. 연간 난중의 변화 추이는 2008년 이후 유의하게 증가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재래닭은 2002년 계통조성 이래 지금까지 계통 별 외모형태 및 깃털 색의 고정이 이루어졌고, 더불어 산육능력이 다소 개량된 것으로 나타났다.

Productivity effects of Hanwoo genetic improvement program

  • Jae Bong Chang;Sanghyen Chai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4호
    • /
    • pp.869-881
    • /
    • 2023
  • A genetic improvement program in Korea was implement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Hanwoo cattle by generating livestock with genetically desirable economic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in response to external changes, such as the expansion of Free Trade Agreement (FTA), the livestock genetic improvement program has increased farm income 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Hanwoo cattle. Using production cost data from Statistics Korea, the total input and output indices of Hanwoo feeding cattle from 2008 - 2021 were estimated and the growth and productivity changes were analyzed. The productivity change measures results were used to estimate the cumulative effects of the Hanwoo genetic improvement program on quality improvement, another purpose of the program, using a finite distributed lag model. The average annual increase in output (market weight) of Hanwoo was 0.9%. However, total input increased by 1.6%, resulting in a 0.6% decline in total factor productivity. In contrast, the Hanwoo genetic improvement program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beef, rather than contributing to improved productivity of the cattle. Hanwoo carcass weight, which is used as a performance indicator for the livestock genetic improvement program, h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is projected to increase at a slower rate. The collective findings indicate the need for new performance indicators that can comprehensively indicate the performance of the genetic improvement of Hanwoo.

장기유입량 변화에 의한 소수력발전소 성능특성분석 (Analysis of Performance Characteristic for Small Scale Hydro Power Plant with Long Term Inflow Condition Change)

  • 박완순;이철형
    • 신재생에너지
    • /
    • 제5권4호
    • /
    • pp.39-43
    • /
    • 2009
  • The variation of inflow at stream and hydrologic performance for small scale hydro power(SSHP) plants due to climate change have been studied. The model, which can predict flow duration characteristic of stream, was developed to analyze the variation of inflow caused from rainfall condition. And another model to predict hydrologic performance for SSHP plants is established. Monthly inflow data measured at Andong dam for 32 years were analyzed. The existing SSHP plant located in upstream of Andong dam was selected and analyzed hydrologic performance characteristics. The predicted results from the developed models show that the data were in good agreement with measured results of long term inflow at Andong dam and the existing SSHP plant. Inflow and ideal hydro power potential had increased greatly in recent years, however, these did not lead annual energy production increment of existing SSHP plant. As a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models re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predict the primary design specifications and inflow of SSHP plants effectively.

  • PDF

Change of growth and carotenoid concentration in Korean fir with varied annual temperature on Mt. Halla

  • Chung-Kwang Lee;Young-Kyu Hong;Jin-Wook Kim;Sung-Chul Kim;Jinhee Kim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2호
    • /
    • pp.331-339
    • /
    • 2022
  • Deforestation and conservation of coniferous forest have been recognized as critical issues in Korea due to climate change.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monitor changes of secondary metabolite contents and growth of Korean fir (Abies koreana)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in Mt. Halla. The Korean fir located at three different regions, Yeongsil, Witseoreum, and Jindallaebat, was monitored in April, July, and October from 2016 to 2018 and secondary metabolites, specifically lutein, α-carotenoid, and β-carotenoid, were analysed with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results showed that average concentrations of lutein, α-carotenoid, and β-carotenoid were 0.82 - 23.30, 0.02 - 2.01, and 0.11 - 2.84 ㎍·g-1 an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secondary metabolite was observed in October compared to April and July. The average length and width of Korean fir in the three regions were 11.84 - 20.70 and 1.78 - 2.41 mm from 2016 - 2018. A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all three secondary metabolit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emperature and lutein concentration in Korean fir. Overall, growth and produc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in Korean fir highly depended on the temperature, and global warming thus might have an adverse effect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changes of Korean fir in Mt. Halla.

신개간지에서 구비 및 삼요소시용이 청예사료작물의 생육 및 건물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ttle Compost and NPK Application on Growth and Dry Matter Accumulation of Selected Forage Crops on Neqly Reclaimed Uplands)

  • 한민수;박종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8-115
    • /
    • 1991
  •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cattle compost application on the change of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their relationship to yield performance of selected main forage crops. Maize(CV. Suweon 19) and sorghum hybrids(CV. Pioneer 9'31) as a summer crops and winter rye were grown on newly reclaimed red yellow soils(Fine loamy, Typic Hapludults) under different application rate of cattle compost associated with chemical NPK fertilization, from Oct. 1986 to Sept. 1989. Experimental field was laid down as a split plots design with four replication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attle compost application reclaimed soil physical propeties, such as formation of granular structure and water holding capacity, and it result in a great increase of plant growth and the rate of dry matter accumulation. 2. While cattle compost treatment reduced the portion of soild phase of the three phase constituents of soils, it increased the portion of air phase and liquid phase comparatively. 3. Organic matter, N, P, K, and mineral content in soil were markedly increased in the plot treated with compost. 4. Cattle compost application increased fodder production both in maize-rye and sorghum hybrids-rye cultivation. Annual dry matter yield of maize-rye cropping was 2183(NI'K only), 2425(NPK+compvst 3000 kg) and 2800kg/lOa(NPK + compost 6000kg/10a).

  • PDF

식물계절모형 입력자료로서 확률추정 기상자료의 이용 가능성 (Feasibility of Stochastic Weather Data as an Input to Plant Phenology Models)

  • 김대준;정유란;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18
    • /
    • 2012
  • 월별 기후통계량의 조화해석에 의해 생성한 일 기온 자료가 생물계절모형의 입력자료로서 적합한지 여부를 평가하여 농림업 부문 기후시나리오 응용정보 제작 상오류를 제거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서울관측소의 1971-2000 평년 월별 일 최고기온과 최저기온 평균값으로부터 조화해석에 의해 365일 간 기온자료를 생성하였다. 이것을 널리 검증된 온도시간 기반의 벚꽃 개화모형에 입력하여 휴면, 발아, 개화 등 주요 식물계절을 추정하였다. 같은 기간 중 실측기온자료에 의해 모형을 구동시켜 얻은 결과와 비교한 바, 연차변이를 전혀 반영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휴면해제 25일 단축, 강제 휴면기간 57일 연장, 발아 14일 지연, 개화 13일 지연등 평균값도 크게 달라 식물계절을 크게 왜곡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안으로서 확률추정기법에 의해 일기상자료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모형을 구동한 결과 실측결과에 비해 휴면해제 6일 단축, 강제휴면기간 10일 단축, 발아 3일 지연, 개화 2일 지연 등으로 조화해석자료 사용에 비해 크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연차변이양상 역시 실측기온에 의한 모의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아, 향후 이 자료를 농업부문 전자기후도 제작에 적용하면 기후변화 적응정책 수립을 실용수준에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Boer-Cross Wether and Buck Goats Grazing Marshall Ryegrass

  • Solaiman, S.;Kerth, C.;Willian, K.;Min, B.R.;Shoemaker, C.;Jones, W.;Bransby, 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3호
    • /
    • pp.351-357
    • /
    • 2011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castration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goat kids. Fourteen Boer-cross buck and wether goat kids (n = 7; initial body weight (BW) $38.0{\pm}0.35\;kg$ and $34.8{\pm}0.35\;kg$, for bucks and wethers, respectively) were grazed on annual Marshall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for 56 days. Body weights were recorded after 4 h withdrawal from feed and water for two consecutive days, every 2 wk. After d 56, animals were harvested and hot carcass weight (HCW), cold carcass weight (CCW), dressing percent (DP), kidney and pelvic fat (KPF), longissimus muscle (LM) area, back fat (BF), and other carcass parameters were measured. Day 0 BW was used as a covariate for analyses. However, bucks were heavier than wethers at d 15 (p = 0.09), 42 (p = 0.001) and 56 (p = 0.001). Bucks had higher ADG (146 vs. 74 g/d; p = 0.001), HCW (21.2 vs. 18.8 kg; p = 0.06) and CCW (20.3 vs. 17.9 kg; p = 0.04) when compared with wether goats. Dressing percentage (51 vs. 47%; p = 0.06), KPF (0.44 vs. 0.16%; p = 0.02) and BF (0.41 vs. 0.21 cm; p = 0.05) were higher in wethers vs bucks, respectively; however, USDA live or carcass grades were similar. Longissimus muscle tissue from wethers and bucks were similar in darkness ($L^*$) and redness ($a^*$), but wethers had more (p = 0.02) yellow tint ($b^*$). Palmitic (C16:0), stearic (C18:0) and oleic (C18:1) acids were higher (p = 0.001) in muscle tissue from wethers compared to bucks. The saturated fatty acid (SFA)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contents of muscle tissue were lower (p = 0.001) for bucks with no difference 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Longissimus muscle initial temperature was higher in bucks (p<0.04) and pH change post-mortem was similar for bucks and wether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astration of young market goats reduced growth performance and produced carcasses with more fat and higher SFA.

열 에너지 그리드 연계운전의 운전 거동 특성 분석을 위한 방법론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Methodology of Analyzing the Operation Behavior of Thermal Energy Grids with Connecting Operation)

  • 임용훈;이재용;정모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권3호
    • /
    • pp.143-15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열 그리드의 운영 특성 분석을 위한 기초적인 방법론과 해당 방법론에 근거한 열 그리드 연계운전 분석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하고자 하며, 특히 기존의 광역 열에너지네트워크에 해당하는 집단에너지 시스템 인근에 소규모 열 그리드가 신규로 연계되어 운전될 경우에 대한 각 시스템별 운영특성 및 주요 운전 변수에 대한 상호 영향에 대해 면밀히 살펴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 방법론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열 그리드 간 연계운전에 따른 기존의 규모가 큰 열 그리드에 대한 영향은 해당 그리드의 연간 시각별 운영 실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경험적 상관관계식을 도출하여 간략히 모델링하고자 하였으며, 신규 그리드에 설치, 운영되는 열원 설비들에 대한 운전 특성은 실제 제품의 운전부하별 운전효율 자료에 대한 DB를 구축, 사용함으로서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의 신뢰도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서는 해당 수요처의 에너지부하 예측에 있어 건물 유형별로 연간, 시각별로 실측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립된 단위 에너지부하 모델을 이용, 예측함으로써 운전시뮬레이션을 통한 최적화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 제안된 방법론 및 이에 근거한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로부터 그리드 상호간 열 거래에 기반한 복수의 열 그리드 운전 특성 분석 방법의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수요자 및 열 에너지 공급자간 다양한 정보의 공유를 근간으로 하는 IT 기반 스마트 열 그리드 최적화 분석으로의 확장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정식시기와 질소시비 수준에 따른 봄배추의 생육량 추정 (Prediction of Chinese Cabbage Yield as Affected by Planting Date and Nitrogen Fertilization for Spring Production)

  • 이상규;서태철;장윤아;이준구;남춘우;최장선;여경환;엄영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71-275
    • /
    • 2012
  •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상기상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배추 등 일부 채소작물의 저온 및 고온 등으로 인하여 생산량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이상기상 조건 발생시 사전에 생산량을 예측하면 수급을 조절하는데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본 실험은 기상이변에 따른 봄배추의 생육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정식시기와 질소시비량을 달리하여 생육인자간 상관계수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정식시기별 최종 생육은 4월 15일과 4월 22일 정식 처리에서 건물중이 각각 168g과 139g으로 타 시기에 비해 높았으며, 질소처리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기후인자 온도, 일사량, GDD, 그리고 생육인자 엽수, 지상부생체중, 지상부건물중 등의 편상관분석 결과,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GDD와 엽수, GDD와 지상부 건물중의 분포를 측정한 결과, 질소시비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3차함수로 다항회귀식을 구한 결과, 엽수$(y)=-0.0000004x^3+0.0004x^2+0.0225x+5.4045$($R^2$=0.9818), 지상부건물중$(y)=-0.0000008x^3+0.001x^2-0.0958x+0.3426$($R^2$=0.9584)로 나타났다. 따라서 봄배추 생육기간중에 GDD 측정만으로도 봄배추의 지상부 생산량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무의 질소 시비량에 따른 생육량 추정 모델식 개발 (Prediction of Radish Growth as Affected by Nitrogen Fertilization for Spring Production)

  • 이상규;여경환;장윤아;이준구;남춘우;이희주;최장선;엄영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5호
    • /
    • pp.531-537
    • /
    • 2013
  • 최근 30년 동안 우리나라의 평균온도와 겨울철 온도가 각각 $0.7^{\circ}C$$1.4^{\circ}C$가 상승하였고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무는 매우 중요한 작물로 온난화에 따른 생육 모델 연구는 중요하다. 본 실험은 기상 이변에 따른 무의 생육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정식시기와 질소 시비량을 다르게 처리하여 시험하였다. 파종시기는 4월 24일부터 5월 22일까지 14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실시하였고, 질소 시비량은 표준시비량의 0.5, 1.0, 2.0배 수준으로 3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 무 파종 후 2개월째 생육은 4월 24일 처리구가 5월 8일과 22일 처리구보다 지상부 생체중이 높게 나왔다. 수확량 예측을 위한 생육 모델식은 질소 시비량별 GDD에 따른 지하부 건물중은 0.5N 처리구에서는 Y = 84.66 / (1+exp (-(GDD - 790.7) / 122.3)) ($r^2$ = 0.92), 1.0N 처리는 Y = 100.6 / (1+exp (-(GDD - 824.8) / 112.8))($r^2$ = 0.92), 2.0N 처리는 Y = 117.7 / (1+exp (-(GDD - 877.7) / 148.5)) ($r^2$ = 0.94) 로 나타낼 수 있었다. 구축된 모델식에 생육데이터를 사용하여 검정한 결과를 보면 기울기가 1.05-1.12로 다소 높게 추정하였지만 모델식으로 적용하는 것에는 무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봄무 생산량 예측 시 GDD를 사용하여 수확량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