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in components

검색결과 402건 처리시간 0.032초

콩기름 저장 중 휘발성분에 대한 LED와 형광등 광원 조사의 영향 (Effect of Light Emitting Diode and Fluorescent Light on Volatile Profiles of Soybean Oil during Storage)

  • 박인선;최덕주;윤예리;이윤정;김윤경;김문호;최소례;김기화;동혜민;한현정;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63-769
    • /
    • 2013
  • 본 연구는 전자코를 이용하여 시판 콩기름의 휘발성분이 파장에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고자 암실과 형광등 및 파장이 다른 LED 광원을 PE 용기에 조사하면서 12주 동안 변화되는 휘발성분의 패턴 변화를 분석하였다. 콩기름의 휘발성분의 변화는 저장기간동안 암실 처리구에서 가장 적고 천천히 일어났으며, 형광등 처리구에서 가장 크고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보여주었다. 저장 초기인 4주에는 형광등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미세한 변화가 일어났으며, 저장 12주에는 형광등 처리구 다음으로 파란색과 백색 LED 처리구에서 큰 변화를 보여준 반면 초록색 LED 처리구에서는 변화가 적었다. 파란색과 흰색 LED 처리구는 저장 12주째에서 급격한 휘발성분의 변화가 나타났다. 하지만 빨간색과 초록색 LED 조사 시에는 8주째에 급격한 휘발성분이 생성된 것에 비하여, 저장 12주째에는 휘발성분의 변화가 매우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초록색 LED 처리구에서 가장 적은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초록색 LED 광원에서 콩기름을 전시 판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형광등과 파란색, 백색 LED 광원은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전시 판매가 아니라면 암실에서 저장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이다.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Fish and Canola Oil in the Diet on Milk Fatty Acid Composition in Early Lactating Holstein Cows

  • Vafa, Toktam S.;Naserian, Abbas A.;Moussavi, Ali R. Heravi;Valizadeh, Reza;Mesgaran, Mohsen Danes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3호
    • /
    • pp.311-319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fish oil and canola oil in the diet on milk yield, milk compon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Holstein dairy cows in early lactation. Eight multiparous early lactation Holstein cows ($42{\pm}12$ DIM, $40{\pm}6kg$ daily milk yield) were fed a total mixed ration supplemented with either 0% oil (Control), 2% fish oil (FO), 1% canola oil +1% fish oil (FOCO), or 2% canola oil (CO) according to a double $4{\times}4$ Latin square design. Each period lasted 3 wk; experimental analyses were restricted to the last week of each period. Supplemental oils were added to a basal diet which was formulated according to NRC (2001) and consisted of 20% alfalfa, 20% corn silage and 60% concentrate. Milk yield was similar between diets (p>0.05), but dry matter intake (DMI) was lower (p<0.05) in cows fed FO diet compared to other diets. Milk fat percentage and daily yield decreased (p<0.01) with the supplementation of fish and canola oil. The daily yield and percentage of milk protein, lactose and solids-not-fat (SNF) were not affected by diets (p>0.05). The proportion (g/100 g fatty acids) of short chain fatty acids (SCFA) decreased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increased (p<0.05) in milk of all cows fed diets supplemented with oil. The proportions of 6:0, 8:0, 10:0 12:0 and 14:0 fatty acids in milk fat decreased (p<0.01) for all diets supplemented with oil, but the proportions of 14:1, 16:0 and 16:1 fatty acids were not affected by diets (p>0.05). The proportion of trans(t)-18:1 increased (p<0.01) in milk fat of cows fed FO and FOCO diets, but CO diet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cis(c)-11 18:1 (p<0.01). The concentration of t-10, c-12 18:2, c-9 t-11 18:2, 18:3, eicosapentaenoic acid (EPA, 20:5)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22:6) increased (p<0.05) in FO and FOCO diets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two diets. These data indicate that including fish oil in combination with canola oil significantly modifies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milk.

무기질비료의 장기연용이 토양생물 및 먹이연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tinuous use of Inorganic Fertilizer on the Soil Organisms and Food Chain)

  • 어진우;박기춘;박진면;김명현;최순군;방혜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9-45
    • /
    • 2016
  • 장기간의 무기질비료 연용은 토양생태계의 비생물적 및 생물적 요소에 영향을 미쳤다. 질소 투입은 식물의 생장과 토양 유기물 함량을 증가시켰다. 하지만 이것이 토양미생물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았으며, 토양 pH의 감소나 EC의 증가와 같은 환경스트레스 증가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미생물 밀도는 처리간 차이가 있었지만, 이를 섭식하는 미소동물과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다만 동적평형에 의해 표면적으로 밀도변화가 나타나지 않았거나, 각 생물군의 군집조성이 변화했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유기물함량과 선충밀도의 유의적 상관관계는 시비에 의한 토양 이화학성 변화가 직접적으로 미소동물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분해자인 미생물과 이를 섭식하는 미소동물간의 상관적 관계가 없었다는 것은 먹이연쇄에서 환경요소의 변화가 먹이양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Monitoring of the Source of Gelatin in Dietary Supplement Capsules Sold on the Internet

  • Kang, Tae Sun;Kim, Mi-Ra;Hong, Yewon;Lee, Jae-Hwang;Kwon, Kisung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54-261
    • /
    • 2017
  • 상업적으로 유통되는 젤라틴 캡슐 제품은 소비자의 건강(예: 광우병) 및 종교적 신념에 대한 우려를 야기시킬 수 있다. 젤라틴은 대부분 소, 돼지 등에서 유래한 원료물질을 가공한 것으로서, 가공 후 그 원료 물질을 분석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따라서 정부 규제기관의 표시사항 준수여부 모니터링 연구가 주기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에 유통되는 건강기능식품(n = 181)을 대상으로 젤라틴 캡슐의 원료 물질을 종 특이 PCR 방법으로 분석했다. 55개 제품의 경우 표시사항에 젤라틴 캡슐원료 물질에 대한 정보를 명시하였으나(예: bovine-, fish-and plant-derived gelatin), 126개 제품의 경우 사용 원료에 대한 정보 없이 "gelatin"으로 표시하였다. 이 126개 제품의 젤라틴 캡슐 분석 결과 51개 제품은 소 유래의 젤라틴을, 31개 제품은 돼지 유래의 젤라틴을, 그리고 44개 제품은 소와 돼지의 원료를 혼합하여 제작한 블렌딩 젤라틴을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소비자의 알 권리, 종교적 신념 및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젤라틴 캡슐에 사용된 원료 물질을 표시사항에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필용방감길탕이 기도 뮤신의 분비, 생성, 유전자 발현 및 점액 과다 분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iryongbanggamgil-tang on Airway Mucin Secretion, Production, Gene Expression and Hypersecretion of Mucus)

  • 김윤영;민상연;김장현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56-71
    • /
    • 2014
  •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author tried to investigate whether piryongbang-gamgil-tang (PGGT) significantly affect in vitro airway mucin secretion, PMA- or EGF- or TNF-${\alpha}$-induced MUC5AC mucin production / gene expression from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and increase in airway epithelial mucosubstances and hyperplasia of tracheal goblet cells of rats. Materials and Methods For in vitro experiment, confluent RTSE cells were chased for 30 min in the presence of PGGT to assess the effect of PGGT on mucin secretion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lso, effect of PGGT on PMA- or EGFor TNF-${\alpha}$-induced MUC5AC mucin production and gene expression from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NCI-H292) were investigated. Confluent NCI-H292 cells were pretreated for 30 min in the presence of PGGT and treated with PMA (10 ng/ml) or EGF (25 ng/ml) or TNF-${\alpha}$ (0.2 nM) for 24 hrs, to assess both effect of PGGT on PMA- or EGF- or TNF-${\alpha}$-induced MUC5AC mucin production by ELISA and gene expression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For in vivo experiment, the author induced hypersecretion of airway mucus and goblet cell hyperplasia by exposure of rats to $SO_2$ during 3 weeks. Effect of orally-administered PGGT during 2 weeks on increase in airway epithelial mucosubstances from tracheal goblet cells of rats and hyperplasia of goblet cells were assesed by using histopathological analysis after staining the epithelial tissue with alcian blue. Possible cytotoxicities of PGGT in vitro were assessed by examining LDH release from RTSE cells and the rate of survival and proliferation of NCI-H292 cells. In vivo liver and kidney toxicities of PGGT were evaluated by measuring serum GOT/GPT activities and serum BUN/creatinine concentrations of rats after administering PGGT orally. Results (1) PGGT did not affect in vitro mucin secretion from cultured RTSE cells. (2) PGGT significantly inhibited PMA-, EGF-, and TNF-${\alpha}$-induced MUC5AC mucin productions and the expression levels of MUC5AC mRNA from NCI-H292 cells. (3) PGGT decreased the amount of intraepithelial mucosubstances and showed the tendency of expectorating airway mucus already produced. (4) PGGT increased LDH release from RTSE cells. However, PGGT did not show in vivo liver and kidney toxicities and cytotoxicity to NCI-H292 cells. Conclusion The result from this study suggests that PGGT can regulate the production and gene expression of airway mucin observed in diverse respiratory diseases accompanied by mucus hypersecretion and do not show in vivo toxicity to liver and kidney functions after oral administration. Effect of PGGT with their components should be further studied using animal experimental models that reflect the diverse pathophysiology of respiratory diseases through future investigations.

Py-GC/MS 분석법을 이용한 첨가물 혼합 옻칠 접착제의 정성분석 (Study on Qualitative Analysis for Lacquer Mixed with Some Additives by Pyrolysi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김지은;유지아;정용재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1-59
    • /
    • 2017
  • 옻칠은 천연도료로써 기원전 1~2세기부터 한반도에서 사용되었으며 접착제로도 활용되었다. 이러한 접착제로써의 기능은 고문헌과 실제 출토되는 유물에서 찾을 수 있으며, 아교, 밀가루, 어교 등을 혼합하여 사용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첨가물을 혼합한 칠의 정성분석을 통하여 칠분석 및 혼합재료에 대한 분석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첨가물을 혼합한 칠에 대한 정성분석 결과, EGA분석을 통해 옻, 찹쌀풀, 아교의 열분해 온도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Py-GC/MS 분석을 통해 생칠 시료의 경우 우루시올 곁사슬(R기)에서 유래된 열분해 산물을 확인하였으며, 찹쌀풀과 아교 각각 글루코오스와 아미노산에서 유래된 물질로 추정되는 성분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옻과 첨가물별 최적의 열분해 온도를 확인하였으며, 열분해 산물에 대한 기초 정성분석 값을 제시하였다. 첨가물 혼합 비율별 정성분석을 실시하여 실제 유물에서 관찰되는 칠 접착제 분석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호박씨유의 지방산 성분 분석 및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에 미치는 영향 연구 (Analysis of Fatty Acid Composition and Effects of Pumpkin Seed Oil o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 김경곤;강윤환;김대중;김태우;이정일;최면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51-35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호박씨유의 성분 특성과 기능성의 기초 자료 확보를 위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 호박씨유는 알려진 바와 같이 linoleic acid(44.7%), oleic acid(25.3%), palmitic acid(17.4%), stearic acid(7.9%)가 분석되었으며, 미량의 arachidonic acid(0.4%) 또한 함유하고 있었다. 세포 독성 실험을 통해 0.2 mg/mL 농도까지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도 호박씨유보다는 용매에 의한 독성이 관찰되었다. 지방 성분 분석을 통해 구성 성분 및 함유량이 확인된 호박씨유를 이용하여 혈관 보호 및 질병 예방에 대한 잠재적 기능성을 연구하기 위해 nitric oxide 분비량 측정, 대표적인 세포 부착 단백질인 ICAM-1 및 VCAM-1의 발현과 cell proliferation 측정한 결과, 호박씨유는 TNF-${\alpha}$에 의해 감소된 nitric oxide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또한 ICAM-1과 VCAM-1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 ICAM-1은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되었고, 반면 VCAM-1은 감소하는 경향은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호박씨유의 HUVEC proliferation 억제 효과는 TNF-${\alpha}$ 100 ng/mL 처리군(113%)과 비교하여 PSO 0.01 mg/mL, 0.05 mg/mL 및 0.1 mg/mL를 처리 군에서 100.7%, 100.8%, 90.3%의 억제 효과가 관찰되어 무처리 control군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호박씨유는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된 우수한 식물성 유지이며, 기능적으로 혈관 보호 및 질병 예방에 잠재적으로 우수한 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기초 자료로 하여 효과적인 기능성 식품 및 소재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ORAC Assay 에 의한 인삼의 항산화 활성 연구 (Determination of the Antioxidant Capacity of Korean Ginseng Using an ORAC Assay)

  • 김성환;김영목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93-401
    • /
    • 2007
  • 인삼의 여러 생리 활성 가운데 항산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백삼(6 년근), 백삼(5 년근), 피부백삼(5 년근), 피부백삼 (4 년근) 의 80% 에탄올 엑기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수포화 부탄올 분획, 물 분획을 얻은 후 LC/Mass 를 사용하여 사포닌 함량을 조사하고 기존의 여러 가지 항산화 작용 측정 방법들의 오류를 없애고 더욱 정확한 결과를 낼 수 있는 대처 방안으로 선정된 ORAC Assay에 의해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였다. 인삼 중 사포닌은 ginsenoside Rg 1 과 Rb1 이 주요 성분으로 다량 함유하고 있었으며, Rc, Rb2, Re 등이 뒤를 이었고, 그밖에도 Rd, Rg3, Rh1가 널리 분포하고 있었다. 피부백삼 5 년근의 경우 에탄올 엑기스와 수포화 부탄올 분획에서 다른 인삼 분획에 비해 높은 함유량을 보였으나 실험의 한계상 인삼 재배기간과 인삼 종류별 각각의 분획에 대한 사포닌 함량 비교는 어려웠다. 인삼의 각 분획별 항산화 활성은 80% 에탄올 엑기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수포화 부탄올 분획, 물 분획 모두에서 나타났고 비교적 전체 유기 용매 분획의 값이 비슷하였으며, 수층 분획이 다소 낮은 활성을 보였다. 검체 인삼들의 각 용매추출 분획 상호간의 유의성 비교에서는 모든 인삼 검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만 유의성을 나타내었다(p>0.05). 인삼 중 항산화 활성은 에틸아세테이트 층으로 이행되는 폴리페놀 계통 성분이나 일부 비극성의 사포닌에 의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모든 분획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이들 외에 산성 다당체, 당 단백질, 수용성 다당류 등 다른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 PDF

Comparison of anticancer activities of Korean Red Ginseng-derived fractions

  • Baek, Kwang-Soo;Yi, Young-Su;Son, Young-Jin;Jeong, Deok;Sung, Nak Yoon;Aravinthan, Adithan;Kim, Jong-Hoon;Cho, Jae Youl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3호
    • /
    • pp.386-391
    • /
    • 2017
  • Background: Korean Red Ginseng (KRG) is an ethnopharmacological plant that is traditionally used to improve the body's immune functions and ameliorate the symptoms of various diseases. However, the antitumorigenic effects of KRG and its underlying molecular and cellular mechanisms are not fully understood in terms of its individual components. In this study, in vitro and in vivo antitumorigenic activities of KRG were explored in water extract (WE), saponin fraction (SF), and nonsaponin fraction (NSF). Methods: In vitro antitumorigenic activities of WE, SF, and NSF of KRG were investigated in the C6 glioma cell line using cytotoxicity, migration, and proliferation assays. The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of KRG fractions were determined by examining the signaling cascades of apoptotic cell death by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analysis. The in vivo antitumorigenic activities of WE, SF, and NSF were investigated in a xenograft mouse model. Results: SF induced apoptotic death of C6 glioma cells and suppressed migration and proliferation of C6 glioma cells, whereas WE and NSF neither induced apoptosis nor suppressed migration of C6 glioma cells. SF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the anti-apoptotic gene B-cell lymphoma-2 (Bcl-2) and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the pro-apoptotic gene Bcl-2-associated X protein (BAX) in C6 glioma cells but had no effect on the expression of the p53 tumor-suppressor gene. Moreover, SF treatment resulted in activation of caspase-3 as evidenced by increased levels of cleaved caspase-3. Finally, WE, SF, and NSF exhibited in vivo antitumorigenic activities in the xenograft mouse model by suppressing the growth of grafted CT-26 carcinoma cells without decreasing the animal body weight.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 SF, and NSF of KRG are able to suppress tumor growth via different molecular and cellular mechanisms, including induction of apoptosis and activation of immune cells.

다양한 감지 방법을 갖고 있는 폴리디아세틸렌 기반 비표지 화학/바이오센서 (Polydiacetylene-Based Chemo-/Biosensor of Label Free System with Various Sensing Tools)

  • 박현규;박현규;정봉현
    • KSBB Journal
    • /
    • 제22권6호
    • /
    • pp.409-413
    • /
    • 2007
  • 양친성의 성질을 가진 폴리디아세틸렌 단량체를 이용한 센서는 주로 수용액 상태에서 리포좀이나 또는 다른 구조를 이용하였다. 폴리디아세틸렌은 수용액 상에서 쉽게 구조를 형성하는 장점과 여러 광학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다양한 목적물질의 검출을 가능하게 하였다. 디아세틸렌 단량체는 수 nm의 크기의 분자로서 LB 필름 제조 방법을 이용하면 아주 얇은 단분자층 또는 다분자층으로 필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필름은 수용액상에서 만들어진 구조체와 같은 성질을 가진다. 즉 무색으로 형성된 구조체들은 254 nm에 조사를 시키면 파란색으로 변하게 되며 650 nm 부근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가지게 된다. 파란색으로 형성된 구조체는 다양한 외부환경 (온도, pH, 용매 등)이나 목적물질 (바이러스, 단백질, 항체, DNA, 펩타이드 등)의 결합으로 약하게는 보라색에서 강하게는 붉은색으로 변하게 된다. 색전이가 이루어진 수용액이나 필름에서는 파란색에서는 존재하지 않던 형광이 630 nm 부근에서 최대 방출 파장이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가시적인 방법이나 형광 검출 방법을 이용하면 색이 변한 정도에 따라 특이성의 정도를 결정할 수 있는 좋은 센서 기술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목적 물질 검출에 대한 연구 이외에 대부분의 폴리디아세틸렌은 색전이가 이루어진 후 가역적인 현상을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적절하게 치환된 관능기는 가역적인 성질을 부여하게 된다. 이런 성질들을 내포하면서 막대 모양과 같은 견고한 실리카 구조체의 형성에 적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량체는 비특이적인 결합을 할 수 있는 관능기 (-COOH, $-NH_2$ 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선택적인 센서의 개발을 위해서는 개선해야 할 부분이다. 결론적으로 보완된 다양한 구조체와 센서 적용 기술은 현재의 표지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감지 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비표지 센서로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