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ff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31초

탈곡기의 선별 성능을 측정하는 방법의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Method for Measuring the Grain Separating Performance of Threshers)

  • 이승기;정창주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655-3665
    • /
    • 1975
  •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 method for measuring the grain separating performance of threshers. The grain separating apparatus used for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the function of which was to separate pneumatically mature and immature grain, chaff, straw, dust, and other impurities from the products of threshing. The apparatus has five material outlets where grains and impurities are fallen down by separation depending upo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material white it moves above the outlets. The principle of design was to separate the mixture of mature grain, immature grain and chaff as distinct as possible, and to induce the mature grains onto the first outlet, the immature grains onto the second and the third, and the straw wastes onto the forth and the fifth outlets. The developed apparatus was tested to evaluate its separating performance with two rice varieties (Tongil and Mine-hikari) at different moisture levels and air velocities. The optimum conditions for operating the apparatus were found from experimen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egrees of separation, especially the amount of immature grain contained in the mature paddy, were dependent upon air speed delivered. The optimum air velocities for this apparatus for each levels of grain moisture contents were found from a series of experiments as follows; 14.7-15.3m/sec. for grain of 16 percent moisture content in wet basis, 15.3-16.0m/sec. for 20 percent, and 16.0-16.4m/sec for 24 percent. 2. Composition ratios determined based on the brine separating method was fairly well acted upon the developed apparatus, indicating its recollecting rate of the mature grains as 97.6 to 99.9 percent. The developed separatus acted similarly upon the two rice varieties which had different composition of immature paddy grain. In other words, the separating performance by the apparatus had a good correlation with the one by the brine separating method. 3. As immature grains were separated out unsatisfactory in these experiments than the brine separating method, further investigation may be needed to improve a separating performance of these materials. But the results obtained suggested a possibility of using the tester to replace the current hand separating method, ther eby enabling more consistent test results and also eliminating nearly all costly hand seperating operations.

  • PDF

다공성 천연 소재가 '부유' 단감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tural Porous Materials on Storability of LDPE Packaged Sweet Persimmon 'Fuyu')

  • 김용훈;박지성;김건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9-84
    • /
    • 2015
  • 단감을 재배하는 농가에서 저장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값싸고 쉬운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했다. 농가 관행 LDPE 포장재 내에 동봉할 수 있는 천연소재(대나무활성숯, 왕겨숯, 겔라이트)를 선발하여 상온과 저온환경에서 가용성 고형물 함량, 경도, 식미, 부패도, 연화도의 변화를 1주일 또는 2주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대나무활성숯을 동봉한 LDPE 포장 방법이 단순 LDPE 포장 방법 보다 저장성 및 품질을 을 좋게 유지하였다. 대나무활성숯을 동봉한 LDPE 포장 방법은 관행 농법 농가와 유기 농법 농가 모두에서 장기 저장 시 그리고 유통 중 온도변화 시 저장성을 향상 시킬수 있는 값싸고, 손쉬운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天然物質 處理가 배추의 生長과 品質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tural Materials on Growth and Quality of Chinese Cabbage)

  • 김경제;이병무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7-45
    • /
    • 2002
  • $GB_{10}$, chitofarm 및 왕겨숯과 왕겨숯액을 天然物質을 가을 배추 栽培圃場에 種子處理, 土壤處理 및 葉面撤布를 實施하여 收量과 成分分析을 遂行한 實驗成績은 아래와 같다. 1. 배추 生育特性中 株重, 球重, 球長, 球莖, 葉長, 葉幅 및 糖度에 있어서 Chitofarm 等 天然物質處理區가 無處理區에 비하여 大部分 有意差가 있었으나 天然物質 相互間에는 有意差가 없었다. 2. 배추 收量에 있어서는 $GB_{10}$ 土壤處理區+$GB_{10}$ 1% 葉面撤布區가 3.27kg으로 check區 보다 53% 增收되었다. 3. 배추 植物體 成分分析 結果 T-N, $P_2O_5$, $K_2O$, CaO, MgO, $Na_2O$, 및 Mn 等의 含量에서 天然物質 無處理區보다 check區 보다 多量이었으므로 品質向上에 效果的이었다.

  • PDF

녹차 추출액 염색 견포의 천연 매염제 처리 효과(I)-천연 매염제 분석 및 색상 변화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Natural Mordants on the Silk Fabrics Dyed with Green Tea Extracts(I) - Analysis of Natural Mordants and the Effect on Color Changes -)

  • 최석철;정진순;천태일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5-22
    • /
    • 199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rdanting effect of natural mordants such as camellia ash, bean chaff ash and pyrolignite of iron(Iron(II) Acetate) on silk fabrics dyed with green tea extracts. Experimental variables include the conditions of extraction and dyeing, and types of natural mordants. Inorganic ion contents In natural mordants were analysed by Induced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 In the ash Al, Fe, Si and Mn were in % unit, Cr and Ni were detected in ppm unit, and in the aqueous extracts of the ash all the metal ions were in ppm unit. On the other hand, fairly high content of Al(2.13% ) in camellia ash extract and Fe(7.91% ) in the aqueous extracts of pyrolignite iron were detected. The absorbance intensity of green tea extracts in UV-Visible spectrum increased with the temperature and time of extraction. Th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of the extracts appeared at 272.5nm and 210.5nm. The US values of silk fabrics dyed with green tea extracts were increased with temperature and time of dyeing. Surface color of silk fabric dyed with green tea extracts was 9.1YR, but it was changed from 7.9YR to 7.5YR by camellia ash extract and 7.4YR to 6.4YR by bean chaff ash extract with increase in mordant concentration. Pre-mordanted and post-mordanted fabrics with pyrolignite of iron were changed from 1.4YR to 1.1R and 7.2P to 4.2P, respectively.

  • PDF

3차원 기하학적 해싱을 이용한 퍼지볼트에서의 지문 정합 (A fingerprint Alignment with a 3D Geometric Hashing Table based on the fuzzy Fingerprint Vault)

  • 이성주;문대성;김학재;이옥연;정용화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1-21
    • /
    • 2008
  • 바이오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은 일반적인 패스워드 기반 시스템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바이오정보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은 높은 보안성과 사용자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암호학과 바이오정보 분야를 암호-바이오(crypto-biometric)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연구되고 있다. 최근 퍼지볼트라 불리는 암호-바이오 시스템이 보고되고 있다. 이것은 사용자의 중요한 비밀키와 바이오정보를 통합하여 정당한 사용자만이 비밀키를 획득 할 수 있도록 안전하게 보관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에서는 바이오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추가되는 거짓 특징점의 개수가 제한되어 높은 보안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기하학적 해쉬 테이블을 이용하여 보안성을 개선하고 추가적인 정보 없이 보호된 지문 템플릿에서 자동으로 지문 정렬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3차원 지문 퍼지볼트 기법이 추가적인 정보 없이 역변환이 불가능한 변환된 영역상에서 자동으로 지문 정렬을 수행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문 퍼지볼트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현 (Hardware Implementation of the Fuzzy Fingerprint Vault System)

  • 임성진;채승훈;반성범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5-21
    • /
    • 2010
  • 지문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은 편리함과 동시에 강력한 보안을 제공한다. 그러나 유한개의 손가락 개수로 인해 패스워드처럼 변경을 자유롭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 인증을 위해 저장된 지문정보가 타인에게 도용된다면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지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지문 퍼지볼트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기하학적 해싱 기법을 적용하여 지문 정렬 문제를 해결하려는 연구도 진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하학적 해싱 기반 지문 퍼지볼트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한 구조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로 통합 구성된다. 하드웨어 모듈은 등록 해시 테이블과 인증 해시 테이블의 변환 특징점의 정합을 담당한다. 실험결과, 제안한 하드웨어 구조의 수행 시간은 지문 특징점의 수가 36개이고 거짓 특징점의 수가 100개 일 때 0.2초, 400개 일 때, 0.53초이다.

상관관계 공격에 강인한 지문퍼지볼트 시스템 (Robust Fuzzy Fingerprint Vault System against Correlation Attack)

  • 문대성;채승훈;정용화;김성영;김정녀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3-25
    • /
    • 2011
  • 바이오인식 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은 편리함과 동시에 강력한 보안성을 제공하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 인증을 위해 저장된 중요한 바이오정보가 타인에게 유출되어 도용된다면 패스워드나 PIN과 달리 변경이 불가능하므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지문 템플릿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암호학적 방법으로 연구되어지고 있는 퍼지볼트 이론(Fuzzy Vault Scheme)을 적용한 지문퍼지볼트 시스템이 가장 널리 알려진 방법이다. 그러나 지문퍼지볼트 시스템은 두 개 이상의 지문볼트를 이용하여 진짜특징점을 구분하는 상관관계 공격 (Correlation Attack)에 취약한 결정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거짓특징점을 임의로 추가하지 않고 특징점의 좌표, 방향 등 진짜특징점의 정보를 이용하여 추가함으로써 상관관계 공격에 강인한 지문퍼지볼트 시스템을 제 안한다. 또한, 인접위치에 두 개 이상의 거짓특징점을 추가하는 중첩을 허용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법은 높은 인식성능을 유지하면서 상관관계 공격에 강인함을 보였다.

삼백초의 월동 피복재 종류별 동해방지 및 노동력 절감효과 (Effects of Covering Materials on Prevention of Freeze Damage and Labor Saving in Saururus chinensis Baill During Wintering)

  • 남상영;김인재;김민자;윤태;이철희;박성규;이우영;김홍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287-292
    • /
    • 2005
  • 피복재 종류가 삼백초의 월동 시 동해방지 및 노동력 절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1월 하순에 볏짚 (900kg/10a), 왕겨 (1,800kg/10a), 보온덮개 (450kg/10a) 등의 보온 피복재를 달리하여 2002년부터 3년간 시험하였다. 월동기간 중 온도교차는 왕겨 피복에서 $6.9^{\circ}C$로 다른 피복재 $9.7{\sim}14.4^{\circ}C$에 비하여 작았으며, 최저기온 $-10^{\circ}C$ 이하 시의 보온효과는 왕겨와 보온덮개 피복에서 볏짚피복에 비하여 각각 $1.7^{\circ}C,\;1.5^{\circ}C$ 높았다. 수분의 유지는 무피복에 비하여 피복에서 $9.6{\sim}26.1%$ 높았으며, 피복재 간에는 보온덮개 > 왕겨 > 볏짚의 피복 순으로 양호하였다. 월동 후 근경 생존율은 보온덮개 99%, 왕겨 75%, 볏짚 58%, 무피복 32%순으로 높았으며, 출아는 보온덮개에서 빨리 시작되었고, 최종 출아수도 무피복 35.0 개$/m^2$에 비하여 22배 많았다. 잡초 발생은 무피복에서 개체수 152.7개$/m^2$, 건물중 28.9 kg/10a 으로 많거나, 무거웠고, 제초 노동력도 65.7시간/10a으로 많이 소요되었으나, 피복재 처리에서는 개체수 $12.0{\sim}33.2$$/m^2$, 건물중 $7.3{\sim}10.7\;kg/10a$ 제초 노동력 $5.6{\sim}6.4$시간/10a으로 적게 소요되었다. 지상부 생육은 무피복에 비하여 피복재 처리에서 양호하였으며, 분얼수도 피복재 처리에서 $347{\sim}396$$/m^2$로 무피복 293 개$/m^2$에 비하여 많았다. 상품성 있는 경엽 건물수량과 근경 건물중은 무피복에 비하여 피복재 처리에서 경엽은 $69{\sim}87%$ 많았고, 근경은 $58{\sim}88%$ 무거웠으며, 피복재 간에는 경엽과 근경 모두 보온덮개에서 많거나, 무거웠다.

Acceleration of Mounting in Self Mounting Method and Its Effect on Cocooning, Cocoon Characters and Reeling Parameters in Silkworm Bombyx mori L.

  • Himantharaj, M.T.;Das, Kakali;Kumari, K.M.Vijaya;Rajan, R.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권1호
    • /
    • pp.19-22
    • /
    • 2002
  • Rotary mountages are the best mountages among all the mountages that are used in sericultural areas. But to use this mountage more space, separate mounting hall & requires more labour to pickup the matured worms. to over come these problems, self mounting method is adopted to save the time Er labour, But the mounting rate is generally less. To accelerate the mounting rate different repellents viz; saw dust, phytoecdysone, 1% cresol with paddy husk, lime, kaolin, gormalin chaff were used in the present study. The results indicated that highest number of larvae climbed the mountage in 1% cresol with paddy husk, followed by phytoecdysone and lime. It is observed that the use of repellents at wandering stage accilerates mounting rate and did not affect the quality of the cocoons and reeling characters.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식물(植物) 생산(生産) 시스템내의 양액재배(養液栽培) 환경조절(環境調節)에 관(關)한 연구(硏究) -국내(國內) 양액재배(養液栽培) 실행농가(實行農家)의 실태조사(實態調査)- (Environmental Control of Nutriculture in a Plant Production System Utilization Solar Energy -Investigation of Actual State of the Nutriculture in Korea-)

  • 김문기;남상운;손정익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6권2호
    • /
    • pp.178-187
    • /
    • 1991
  •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achievement of safe environmental condition, investigation of the actual state of the nutriculture practices in Korea was carried out. The result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ultivation area of nutriculture was 6 ha and culture types included deep flow technique(43%), nutrient film technique(45%), gravel culture(6%), chaff charcoal culture(3%) and rockwool culture(3%). 2. Greenhouses were mostly made of pentite pipe frames and covered by polyethylene film, and culture beds were handy combination of cement blocks, concrete and styrofoam, which were not standard products. 3. Development of nutriculture system appropriate to our actual circumstances and improvement of establishments are required. 4. Since there was not farmhouse that performs the environmental measurement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cultivation were very limited. sensor applied environmental control technology of nutriculture should be develop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