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ulose fabric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초

홍화 황색소의 셀룰로오스 섬유에 대한 염착성 증진 (Improving Dyeability of Safflower Yellow Colorants on Cellulose Fibers)

  • 신윤숙;조아랑;류동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754-1760
    • /
    • 2007
  • 홍화 황색소의 면, 마, 레이온과 같은 셀룰로오스 섬유에 대한 염착량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키토산 전처리를 행하였다. 키토산 전처리가 염착성, 색상, 염색견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섬유 종류에 관계없이 키토산 전처리는 염착성을 증진시켰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다. 2% 처리농도에서 미처리와 비교할 때 면은 5.6배, 모시는 7.2배, 레이온은 3.7배 염착량이 증가하였다. 키토산 전처리한 면과 모시는 YR 색상에서 Y 색상으로 변화하였으며, 레이온의 경우에는 전처리와 상관없이 Y 계열의 색상을 보였다. 키토산 전처리에 의해 색상은 노란색이 강하여졌으며 더 진하고 깊은 색상으로 변하였다. 키토산 전처리 직물은 염색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였는데 공통적으로 50, $70^{\circ}C$에서는 YR 색상을 30, $90^{\circ}C$에서는 Y 색상을 나타냈다. 염색온도가 높을수록 색상은 진하고 칙칙하였다. 세탁견뢰도는 아주 낮았으며, 일광에 매우 약한 홍화 황색소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일광견뢰도는 양호한 편이었다. 기존의 자동 염색기로 염색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초음파 염색법이 면과 모시의 염착량을 30% 이상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레이온의 경우, 두 방법간의 염착량 차이는 없었다.

Trichoderma sp. SO-571에 의한 Cellulase 생산 및 섬유가공 처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Cellulase by Trichoderma sp. SO-571 and the Enzyme Treatment for Cellulosic Fabrics.)

  • 오성훈;김무성;소성;서형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2-45
    • /
    • 2003
  • 토양에서 분리한 균주 Trichoderma sp. SO-571의 cellulase를 생산하기 위해 3.0% cellulose, 4.0% 탈지대두, 3.0% 밀기울, 0.5% ($NH_4$)$_2$$SO_4$, 0.2% urea, 1.0% CSL, 0.5%$ KH_2$$PO_4$, 0.2% Tween 80을 사용하여 생산한 결과, 균체량은 배양 62 시간에 가장 높은 양을 보였으며, cellulase 활성은 배양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Ultrafiltration을 이용하여 cellulase를 정제한 결과, 47.8%의 수율과 4.6배의 정제도를 보였다. Cellulase를 섬유가공 처리에 사용하기 위한 최적 반응 pH및 온도는 pH 5, $60^{\circ}C$에서 최대의 활성을 보였다 섬유가공 처리에 대한 cellulase효과를 측정하고자 청천과 텐셀을 대상으로 감량율을 측정한 결과, 청천에 대한 감량율은 분리균주가 생산한 cellulase는 2.9%, Celluclast 1.5 L은 2.2%의 감량율을 보였다. 텐셀 처리시 분리균주의 cellulase는 0.62%, Celluclast 1.5 L은 0.45% 감량율을 보였다. 또한 반응시간에 따른 천청에 탈색정도를 측정하고자 세탁 가공처리한 물의 청색정도를 660nm에서 측정한 결과, 세탁시간이 증가할수록 흡광도가 증가하였다.

Formaldehyde Free Cross-linking Agents Based on Maleic Anhydride Copolymers

  • Yoon, Kee-Jong;Woo, Jong-Hyung;Seo, Young-Sam
    • Fibers and Polymers
    • /
    • 제4권4호
    • /
    • pp.182-187
    • /
    • 2003
  • Low molecular weight copolymers of maleic anhydride and vinyl acetate were prepared to develop formaldehyde free cross-linking agents. Since lower molecular weight is favorable for efficient penetration of the finishing agent into the cotton fibers in the padding process, the concentration of the initiator, chain transfer agent and the monomer ratios were varied to obtain copolymers of low molecular weights. The prepared polymers were characterized by GPC, $^1{H-NMR}$, FTIR, DSC and TGA. Copolymers of molecular weights of 2 000 to 10 000 were obtained and it was found that the most efficient method of controlling the molecular weight was by varying the monomer ratios. Poly(maleic anhydride-co-vinyl acetate) did not dissolve in water, but the maleic anhydride residue hydrolyzed within a few minutes to form poly(maleic acid-co-vinyl acetate) and dissolved in water. However, the maleic acid units undergo dehydration to form anhydride groups on heating above ${160}^{\circ}C$ to some extent even in the absence of catalysts.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copolymers as durable press finishing agent for cotton fabric was investigated. Lower molecular weight poly(maleic anhydride-co-vinyl acetate) copolymers were more efficient in introducing crease resistance, which appears to be due to the more efficient penetration of the cross-linking agent into cotton fabrics. The wrinkle recovery angles of cotton fabrics treated with poly(maleic anhydride-co-vinyl acetate) copolymers were slightly lower than those treated with DMDHEU and were higher when higher curing temperatures or higher concentrations of copolymer were used, and when catalyst, $NaH_2$$PO_2$, was added. The strength retention of the poly(maleic anhydride-co-vinyl acetate) treated cotton fabrics was excellent.

세탁에 의한 아우트-웨어용 직물의 물리적 성질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Physical Properties of Out Wear-Fabric by Washing)

  • 송경헌;이문수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81-91
    • /
    • 1998
  • 아우트-웨어로 많이 사용되는 면, 마, T/C, 모, 면니트의 직물을 이용하여 반복세탁에 따른 수축률, 마모 강도, 인장 강도, 필링, 방추도 등의 물리적 성질 변화에 대해 연구 조사하였다. 또한 모섬유의 경우 각각의 물리적 성질에 있어서 건식 세탁과 습식 세탁에 의한 차이를 비교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반복 세탁에 의해 인장강도는 그다지 변화하지 않았으나 방추도가 크게 저하하였으며 pill의 발생이 크게 증가하였다. 습식 세탁에 의해 면니트는 처짐 현상을 보였고 모의 경우 고온, 고알칼리 하에서의 반복 세탁에 의해 큰 수축현상을 나타냈으며 이러한 수축은 두께의 증가를 가져와 마모 강도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건식 세탁모가 습식 세탁모에 비해 모든 물리적 성질에 있어 훨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부여 능산리 사지 출토 백제 면직물연구 (Study on the Baekje's Cotton Fabrics Excavated in Neungsan-ri Temple Site)

  • 심연옥;정용재;유지아;남궁승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3호
    • /
    • pp.4-17
    • /
    • 2011
  • 능산리 사지 출토 백제 면직물은 1999년 9월부터 2000년 4월까지 실시된 부여 능산리 사지 6차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후 보존 처리를 마치고 국립부여박물관에 소장된 유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섬유의 과학적 동정을 위해 비파괴적 화학적 형태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삼국시대 '백첩포'와 고려 말 '목면'의 유입경로와 특징 등을 밝히고자 백제 면직물의 역사적 가치와 의의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적외선 흡광 영역 및 정색 반응 등에서 식물성 셀룰로오스 섬유의 특징이 나타났으며 형태학적 분석에서 면 섬유의 특징인 천연 꼬임과 중공이 뚜렷이 발견됨에 따라 면직물로 분석되었다. 백제 면직물은 축면의 면직물로 이제까지 면직물의 축면직물이 발견된 것은 처음이며 이러한 면직물이 백제지역에서 제직되었는지는 아직 정확히 밝힐 수 없으나, 백제지역은 마한시대부터 견솜으로 실을 자아 직물을 제직했다는 기록이 있어 오랜 세월 축적된 제사기술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현재까지 삼국시대 면직물이 만들어지고 사용되었다는 문헌의 기록은 있으나 실증적 자료가 국내에 출토된 적이 없는 상황에서 백제 면직물의 가설을 실증적으로 확인시켜주는 자료로써 그 역사적 가치와 의의가 매우 크다. 향후 각 지역의 고대 목화종자와의 비교 분석 연구 등을 통해 백제 면직물의 품종과 고대 한반도 유입경로를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