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ulose acetate butyrat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9초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전도성 체이스트의 개발 (Novel Conductive Paste based on Cellulose Acetate Butyrate)

  • 김태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71-177
    • /
    • 2007
  • 고분자를 바탕으로 한 전도성 페이스트는 전원과 기기를 연결하는 전도 통로를 제공하여 준다. 이러한 전도성 페이스트는 고분자 바인더와 전도성 금속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낮은 점도와 우수한 금속 피막성을 가지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타이레이트를 바인더로 사용하여 새로운 전도성 페이스트를 개발하였다. 전도도 측정 결과 안정된 전도도를 보였을 뿐 아니라, 균일한 코팅성과 유연성을 나타내었다.

가소제를 포함한 셀룰로오즈 유도체의 유변학적 거동 (Rheological properties of cellulose derivative including plasticizer)

  • 최형진;유재림;김성태;현형수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5년도 제25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9-1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셀룰로오즈 유도체로 사용되어지는 cellulose acetate butyate (CAB),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nitrocellilose (GC-519)의 분자량에 의한 유변학적 특성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각의 셀룰로오즈 유도체를 Gel Permeartion Chromatography (GPC)를 이용하여 각각의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GPC를 이용하여 셀룰로오즈 유도체의 중량평균분자량 (Mw)과 수평균분자량 (Mn)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셀룰로오즈 유도체에 가소제인 di-n-propyl adipate (DNPA)를 첨가한 뒤 아세톤에 녹여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0^{\circ}C$에서 가소제가 포함된 셀룰로오즈 유도체의 유변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 PDF

수포작용제 방호성능이 향상된 선택투과막 제조 (Preparation of Selectively Permeable Membrane Materials with Enhanced Protective Capability against Blister Agents)

  • 권태근;김진원;강재성;박현배;이해완;서현관
    • 멤브레인
    • /
    • 제24권2호
    • /
    • pp.167-175
    • /
    • 2014
  • 수증기 투과성과 DMMP 방호성능을 가지는 cellulose acetate butyrate (CAB)/polyethyleneimine (PEI) 기반의 선택투과막에 대해 여러가지 첨가제를 적용하여 CEES에 대한 방호성능 개선을 시도하였다. 시험결과, CAB/PEI 기반의 선택투과막은 수증기 투과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geq}1,800g/m^2/day$), CEES에 대한 방호성능의 개선을 보여주었다($7.1{\sim}11.5{\mu}g/cm^2{\cdot}24hr$). 이 중, $Ag^+$ 이온과 이온교환수지 혼합물을 포함한 CAB/PEI 선택투과막에서 가장 우수한 방호성능을 확보하였다. 그리고 시험한 모든 선택투과막은 생물학작용제를 모사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에어로졸 입자($0.005{\sim}3{\mu}m$)에 대해서도 방호성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섬유소의 이용과 butyrate의 최근 연구 (Use of Cellulose and Recent Research into Butyrate)

  • 여태종;최인순;조광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1571-1586
    • /
    • 2012
  • 지구상에는 약 5,400여 종의 포유동물이 있고 그 중 약 1,000여 종은 풀을 뜯어 먹고 사는 초식동물이다. 초식동물 중에서 약 250여 종이 반추동물로 알려져 있다. 반추동물인 소와 양은 반추위에서 주로 발효가 일어나지만 비반추동물인 돼지와 사람은 맹장과 결장, 직장에서 주로 발효가 일어난다. 반추위 미생물의 종류와 우점도 Bacteroidetes 51%, Firmicutes 43% 존재하며, 사람의 대장미생물의 우점도Firmicutes 65%, Bacteroidetes 25%로 존재한다. 풀의 세포벽 구성성분은 미생물에 의해 분해, 발효에 의해 SCFA (short chain fatty acid)를 생성하게 되고 acetate, propionate, butyrate 생성비율은 60:25:15이다. 장내 primary butyrate transporter인 MCT1(monocarboxylatetransports-1)에 의해서 흡수된 butyrate는 SCFA receptor GPR43과 GPR41을 활성화시킨다. Butyrate는 강력한 anti-tumorigenic 기능을 가지고 있다. Butyrate는 다양한 cancer cell에 효과를 나타내며 세포내의 기능 조절에 기여하고, 암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특성이 있다. Butyrate는 caspase의 활성화, HDAC (histone deacetylase) 활성을 억제하여apoptosis를 유도하고, p53 발현증가로 cell cycle arrest와 apoptosis를 유도한다. SCFA의 항 염증작용으로는 장 상피세포에서 IL-8 발현 감소, NO합성과 NF-${\kappa}B$ (nuclear factor ${\kappa}B$)의 활성을 억제하여 염증으로 인한 암 발생을 억제한다. Butyrate는 장 점막의 생리적 기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IBD (inflammatory bowel disease) 치료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Dietary Fiber Modulates Colon Cell Proliferation by Altering Luminal Concentrations of Short-Chain Fatty Acids

  • Kim, Dong-Yeon;Park, Mi-Young;Lee, Jung-Hee
    • Nutritional Sciences
    • /
    • 제5권4호
    • /
    • pp.175-183
    • /
    • 2002
  • To compare the effects of various types of dietary fiber on microbial production of short-chain fatty acids (SCFA) and on colon cell proliferation which is used as an intermediate biomarker for colon carcinogenesis, groups of 10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one of four fiber-supplemented diets (6% cellulose, 6% pectin, 6% polydextrose, and a mixture of 3% cellulose and 3% polydextrose) for three weeks. As a control, a fiber-free diet was fed to a separate group of 10 rats. Cell proliferation was measured by in vivo incorporation of bromodeoxyuridine into DNA in the proximal and distal colon, respectively. Luminal concentrations of SCFA were measured by gas chromatography. Dietary fiber significantly influenced microbial production of SCFA in the colon; pectin supplementation produced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luminal SCFA in both the proximal and distal colon (p<0.05). The degree of individual SCFA production was characterized by a relatively higher increase in butyrate production by the pectin-supplemented diet, and in propionate production by the polydextrose-supplemented diet, resulting in alterations of the molar ratios of acetate, propionate and butyrat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on cell proliferation among the diet groups; the pectin-supplemented diet produced a significantly higher effect on cell proliferation of distal colonic epithelial cells (p<0.05), and the polydextrose-supplemented diet produced an intermediate effect compared to the fiber-free or cellulose-supplemented diet.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was correlated to increased luminal concentrations of butyrate in the proximal colon and to increased luminal concentrations of propionate and butyrate in the distal colon (p<0.05). Therefore, these data suggest that dietary fiber may modulate colon cell proliferation by altering luminal SCFA concentrations, particularly butyrate and perhaps propionate.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finding that has demonstrated a relative increase in colon cell proliferation due to supplementation with polydextrose, suggesting that the overuse of this artificially synthesized polysaccharide in food processing technology needs to be carefully evaluated from the public health point of view.

셀룰로오스 에스터와 Poly(ethylene-co-isosorbide terephthalate) 용액 블렌드의 상용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ompatibility of cellulose ester/poly(ethylene-co-isosorbide terephthalate) solution blends)

  • 김연희;남병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351-3356
    • /
    • 2014
  • 최근, 플라스틱 남용으로 인해 바이오매스 기반 물질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Cellulose acetate butyrate (CAB)는 생분해성의 성질 때문에 재생이 가능하여 잠재성을 가지고 있는 고분자이다. Poly(ethylene-co-isosorbide terephthalate) (PEIT)는 아이소소바이드 모노머로부터 유래된 바이오매스 기반의 고분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지만 열안정성이 낮은 CAB에 내열성이 높은 PEIT를 도입하여 용액 블렌딩 방법을 통해 CAB/PEIT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블렌드의 상용성을 판단하기 위해 모폴로지와 유리전이온도의 거동을 FE-SEM, DM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TGA 결과는 CAB/PEIT 75/50, 50/50 조성에서 향상된 열적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XRD에서 새로운 결정 구조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CAB/PEIT solution blends는 모든 조성에서 좋은 상용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Butanol 생산을 위한 동시 당화 발효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of Rice Straw to Produce Butanol)

  • Jun, Young-Sook;Kwon, Gi-Seok;Kim, Byung-Hon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3-218
    • /
    • 1988
  • 섬유소 폐기물인 볏짚으로부터 butanol를 생산하기 위하여 Clostridium acetobutylicum KCTC1037 와 cellulase(from Trichoderma viride)을 발효액에 동시에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동시당화 발효법(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SSF)을 수행하였다. Alkali 처리한 볏짚을 발효기질로 사용한 결과 그 농도를 25%로 사용하였을 때 최고 150mM의 butanol이 생산되었고, 15% 볏짚을 사용하였을 때는 97mM의 butanol이 생산되었다. 그러나 ball milled 볏짚의 경우 발효산물 중 대부분이 acetate와 butyrate로 주로 산이 생산되었으며 따라서 solventogenesis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그 농도별 실험에서 보면 8%의 ball milled 볏짚 사용시 66mM의 butanol이 생산된 반면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butanol 생산량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acetate, butyrate 같은 산은 계속 증가 추세를 보였다. 이것으로 보아 ball milled 볏짚에는 butanol 발효 과정 중 acidogenesis에 서 solventogenesis로의 전이 (shift)를 방해하는 어떤 인자가 있으리라고 추측되었으며 alkali 처리방법에 의해서 이 방해자는 제거될 수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충격보강제로 강인화된 PLA와 cellulose ester 블렌드의 상용성 및 모폴로지, 열적,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miscibility, morphology,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elastomeric impact modifier reinforced Poly(lactide)/Cellulose ester blends)

  • 박준서;남병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081-4086
    • /
    • 2014
  • CAB는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수지이나 취약한 가공성으로 인해 필름 어플리케이션에 제한되어 있다. 본 실험에서는 비교적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락틱산을 이용하여 CAB의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충격보강제 도입으로 기계적 물성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전 실험에서 PLA/CAB binary 블렌드의 PLA75CAB25조성이 상용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PLA75CAB25 조성에 한하여 충격보강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충격보강제를 도입하고, $140^{\circ}C$(hopper)-$200^{\circ}C$(die)의 온도 범위에서 200rpm의 속도로 제조하였다. 충격보강제 도입에 따른 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DSC와 FE-SEM을 통해 유리전이온도 거동과 모폴로지를 관찰하였다. 또한 충격보강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DMA와 Izod 충격강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저장탄성률과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충격보강제가 10wt%가 도입되었을 때 상용성이 가장 좋았으며, Izod 충격강도가 PLA75CAB25 조성에 비해 4배 이상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Streptomyces coelicolor A3(2)로 부터 세포외 lipase의 정제와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Lipase from Streptomyces coelicolor A3(2))

  • 심문수;김재헌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37-241
    • /
    • 1997
  • Streptomyces coelicolor A3(2) 배양액의 lipase(EC 3.1.1.3)는 ${\alpha}$-naphthyl-butyrate에 대하여 활성을 나타내어 ${\alpha}$-naphthyl-acetate에 활성을 나타내는 esterase와 구분할 수 있었다. Streptomyces coelicolor A3(2) 세포외 lipase를 Sephadex G-100, DEAE-Cellulose 그리고 Phenyl-Sepharose CL4B 크로마토그래피의 과정을 통해 16% 수율로 15배 분리정제 하였다.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전기영동에서는 34.7 kDa정도의 분자량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ributyrin를 기질로 사용하였을 때 이 lipase의 최적활성조건은 pH 8에서 9 그리고 $37^{\circ}C$였다. 기질로서 triacylglycerol의 지방산 길이가 증가할수록 활성은 감소하였다. A-factor에 의해 lipase활성이 억제되므로 배양초기의 낮은 lipase활성과 관련될 것으로 보인다.

  • PDF

동시당화 발효법에 의한 볏짚의 Acetone-Butanol 발효 (Acetone-Butanol Fermentation of Rice Straw by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 권기석;전영숙;김병홍
    • 미생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8-282
    • /
    • 1988
  • 볏짚을 이용하여 acetone-butanol을 생산하기 위해 전처리한 볏짚을 C. acetobutylicum KCTC 1037(ATCC 4259)과 Trichoderma viride로부터 얻은 섬유소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동시당화 발효법 (SSF)으로 발효하였다. Ball-mill로 처리한 볏짚을 SSF로 발효한 결과 acetate와 butyrate안을 생산하였으나, alkali로 전처리한 기질은 230 mM 이상의 solvent를 생산하였다. 이와 같은 발효의 차이는 볏짚에는 alkali 처리로 분해되는 물질이 있으며, 이 물질이 solvent 생산을 저해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solvent 생산 저해물질은 물이나 유기용매에 불용성으로 lignin 유도체 혹은 잔류농약으로 추측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