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obiose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초

장수버섯의 배양적(培養的) 특성(特性) (Cultural Characteristics of Fomitella fraxinea (Fr.) Imaz.)

  • 장현유;차동열;강안석;홍인표;김광포;석순자;유영진;성재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3호통권74호
    • /
    • pp.238-245
    • /
    • 1995
  • 장수버섯의 배양적특징(培養的特徵) 및 인공재배(人工栽培) 가능성(可能性)에 대하여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균사생장(菌絲生長)이 가장 우수(優秀)한 배지(培地)는 CDA배지(培地)였으며, 최적온도(最適溫度)는 $30^{\circ}C$, pH는 6.0이었다. 탄소원(炭素源)은 단당류(單糖類)인 glucose를 첨가(添加)한 배지(培地)에서 가장 우수(優秀)하였고, cellobiose를 첨가(添加)한 배지(培地)에서 가장 저조(低調)하였다. 질소원(窒素源)은 arginine을 첨가(添加)한 배지(培地)에서 가장 양호(良好)하였으며 C/N 첨가비(添加比)는 glucose 3%, arginine 0.25%인 C/N비(比) 12에서 가장 적합(適合)했다. 유기산(有機酸)은 succinic acid, vitamin은 thiamine을 첨가(添加)한 배지(培地)에서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인공재배(人工栽培)를 위한 종균제조시(種菌製造時) 가장 적합(適合)한 것은 참나무 톱밥에 첨가재(添加材)로 미강(米糠)을 20% 첨가(添加)한 배지(培地)이었으며, 톱밥재배시(栽培時) 수량(收量)은 참나무, 아카시나무 순(順)으로 높았다.

  • PDF

해양미생물 Psychrobacter aquimaris LBH-10가 생산하는 산성 carboxymethylcellulase의 특성에 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Acidic Carboxymethylcellulase Produced by a Marine Microorganism, Psychrobacter aquimaris LBH-10)

  • 김혜진;고와;이유정;정정한;이진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87-495
    • /
    • 2010
  • Carboxymethylcellulose (CMC)를 분해하는 미생물을 해수에서 분리하였으며, 16S r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Psychrobacter aquinaris로 학인 되어 P. aquinaris LBH-10로 명명하였다. 이 균주는 CMC, 셀로바이오스, 커드란, 여과지, p-nitrophenyl-$\beta$-D-glucopyranoside (pNPG), 풀루란 및 자일란을 분해하였으나, avicel 및 섬유소는 분해하지 못하였다. P. aquinaris LBH-10이 생산하는 carboxymethylcellulase (CMCase)의 최적 반응 온도는 $50^{\circ}C$이었으며, $20^{\circ}C$에서 $5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24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90% 이상의 활성을 유지하였다. 또한, 이 균주가 생산하는 CMCase의 최적 반응 pH는 3.5이었으며 pH 2.5에서 pH 7.0 사이의 산성 조건하에서 24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70% 이상의 활성을 유지하였다. P. aquinaris LBH-10이 생산하는 CMCase의 최적 반응 pH는 지금까지 발견된 섬유소 분해효소 중에서 가장 낮은 pH로 판단된다. 제한된 농도의 $CoCl_2$, EDTA, 및 $PbCl_2$은 P. aquinaris LBH-10가 생산하는 CMCase의 활성을 증가시켰으나, $HgCl_2$, KCl, $MnCl_2$, $NiCl_2$, 및 $SrCl_2$는 이 균주가 생산하는 CMCase의 활성을 감소시켰다.

순수 섬유소에 대한 고농도 당화공정의 동력학적 모사 (Kinetic Modeling of the Enzymatic Hydrolysis of $\alpha$-Cellulose at High Sugar Concentration)

  • 오경근;정용섭홍석인
    • KSBB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151-158
    • /
    • 1996
  • 섬유소는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에 의하여 유용한 화학물질이냐 연료 등으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러나 효소가 온도나 전단응력에 의해 쉽게 비활성화 되고 생성물인 당에 의한 억제 효과가 심각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당화공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실험에서는 섬유소 가수분해에서의 두 효소, 즉 셀룰라아제 와 ${\beta}$-glucosidase의 통력학적 특정틀 을 이해하고, 생성물 억제영향 빛 효소의 비활성화 를 관찰하여, 섬유소의 고농도 당화 공정에 적용가 능한 통력학적 이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셀룰라아제 벚 ${\beta}$-glucosidase는 다양한 통력학적 특정들을 보였으며, 반응기내에 5gN 의 포도당이 존재하여도 $\beta$glucosidase의 역가가 7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포도탕에 의한 ${\beta}$-glucosi­d dase의 억 제 영향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셀로바이오스의 농도가 109/p 일때 역시 셀롤 라야제의 역가가 약 70% 감소하였다. ${\beta}$-glucosi dase의 경우 셀룰라아제와 비교하여 약 1.6배 정도 비활성화에 더 민강한 것으로 밝혀졌다. 당화 공정 모사 결과는 대체척으로 신뢰할 수 있는 범위의 결 과를 얻었으며, 가수분해가 진행되는동안 실험결과 와 모사에 의한 계산값은 잘 일치하였다.

  • PDF

콜레스테릴옥시카본화 그리고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헵타노화 이당류들의 열방성 액정 특성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roperties of Cholesteryloxycarbonated and (8-Cholesteryloxycarbonyl) heptanoated Disaccharides)

  • 정승용;마영대
    • 폴리머
    • /
    • 제31권1호
    • /
    • pp.58-67
    • /
    • 2007
  • 셀로비오스 말토오스 그리고 락토오스를 콜레스테릴 클로로포메이트 또는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헵타노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완전치환 콜레스테릴옥시카본화 그리고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헵타노화 이당류 유도체들을 합성함과 동시에 이들의 열방성 특성들을 검토하였다. 모든 콜레스테릴옥시카본화 유도체들(CH1DSs)은 쌍방성 콜레스테릭 상들을 형성하는 반면 모든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헵타노화 유도체들(CH8DSs)은 좌측방향의 나선구조를 지니며 온도상승에 의해 광학피치들(${\lambda}m's$)이 감소하는 단방성 콜레스테릭 상들을 형성하였다. 모든 CH1DSs들은 CH8DSs들과 달리 콜레스테릭 상의 전 범위에서 반사색깔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콜레스테릴 그룹에 의한 나선의 비틀림력은 콜레스테릴 그룹과 이당류 사슬을 연결하는 스페이서의 길이에 민감하게 의존함을 시사한다. CH8DSs들에서 관찰되는 액정 상의 열적 안정성과 질서도 그리고 ${\lambda}m$의 온도의존성은 콜레스테릴 그룹을 지닌 dimer들과 triplet 그리고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헵타노화 다당류들에 보고된 결과와 전혀 달랐다. 이들의 결과를 반복단위 몰당의 mesogenic 단위들의 수와 주사슬의 유연성의 차이와의 관련하에서 검토하였다.

제주도 양식넙치 (Paralichthys olivaceus)로부터 분리한 비 용혈성 연쇄구균의 동정 (Characterization of Streptococcus parauberis isolated from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the Jeju Island)

  • 강철영;강봉조;문영건;김기영;허문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9-11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구보고는 아직 없는 실정이나 양식터봇의 연쇄구균 병원체로 보고 된 바가 있는 제주 양식넙치에서 분리되는 γ 용혈성의 연쇄구균인 Streptococcus parauberis의 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S. parauberis에 대한 분리균주의 탄소원을 기질로 이용하는 특성은 Annette and Collllins (1990)가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였다.또한 분리된 균주들을 계통분류학적 분석 결과 Accesion number AY584477 하나의 그룹으로 묶였지만 S. iniae와는 다른 그룹으로 묶였다. 그러나 Collins가 Streptococcus iniae (X58306)와 S. parauberis (X89967)이 한 그룹으로 묶인다고 발표한 것과는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16S rRNA gene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 결과는 S. parauberis (AY942572)와 98%이상의 상동성을 나타내어 S. parauberis로 동정하였다. S. parauberis는 S. uberis type Ⅱ로 분류되었으나 Williams and Collins (1990)에 의해서 S. parauberis라는 종명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제주도 양식넙치의 연쇄구균증 병원체로 S. parauberis로 판단되나 이번 실험에서 감염실험이 수행되지 않아 앞으로 본 병원체에 대한 감염 실험과 병리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어진다.

발효옻 추출물 첨가 된장의 숙성에 따른 변화 (Changes Observed in Doenjang (Soybean Paste) Containing Fermented-Rhus verniciflua Extract During Aging)

  • 최한석;강지은;정석태;김찬우;김명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599-607
    • /
    • 2015
  • 발효옻 추출물이 장류, 발효식초, 일부 주류에 사용 가능하게 됨에 따라 추출물이 된장의 숙성 중 일반성분, 유리아미노산, biogenic amine (BA), 유기산, 유리당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미노질소 함량은 무첨가구 609.37 mg/100 g이었던 반면 첨가구는 781.11-885.87 mg/100 g으로 무첨가구보다 28.2-45.4% 높았다. 추출물 첨가에 의해서 감칠맛을 가지고 있는 glutamic acid는 1.3-1.5배, 단맛을 가지고 있는 alanine, lysine, phenylalanine, serine은 각각 1.3-2.3, 1.2-1.3, 1.1-1.2, 1.3-1.9배, 약한 쓴맛을 가지고 있는 leucine, isoleucine, valine은 1.2-1.3, 1.3-1.7, 1.3-1.6배 증가하였다. BA의 총량은 대조구 172.3, 첨가구 81.7-163.2 mg/100 g으로 대조구보다 5.3-52.6% 낮았다. 주요 BA 성분은 tyramine으로 총량의 55.1-74.6%를 차지하고 있었고 putrescine, spermidine, tryptamine, cadaverine 순이었으며 추출물 첨가에 의해서 각각 1.7-3.4, 1.0-9.4, 1.1-2.9, 0.9-2.2, 1.8-3.5배 낮아졌다. 유기산 총량은 대조구 661.6, 첨가구 785.7-891.7 mg/100 g으로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1.2-1.3배 높았다. 추출물 첨가에 의해서 젖산은 큰 변화가 없었던 반면 초산은 대조구 79.1, 첨가구 104.2-182.9 mg/100 g으로 1.3-2.3배 증가하였다. 유리당 총량은 대조구 163.4, 첨가구 206.6-276.8 mg/100 g으로 1.3-1.9배 증가되었으며, 주요 유리당은 mannose와 glucose이었고 sucrose, cellobiose, maltose, fructose, isomalt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Characterization of Three Extracellular β-Glucosidases Produced by a Fungal Isolate Aspergillus sp. YDJ14 and Their Hydrolyzing Activity for a Flavone Glycoside

  • Oh, Jong Min;Lee, Jae Pil;Baek, Seung Cheol;Jo, Yang Do;Kim, 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5호
    • /
    • pp.757-764
    • /
    • 2018
  • A cellulolytic fungus, YDJ14, was isolated from compost and identified as an Aspergillus sp. strain. Three extracellular ${\beta}$-glucosidases, BGL-A1, BGL-A2, and BGL-A3, were separated using ultrafiltration,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and High-Q chromatography. The molecular masses of the three enzymes were estimated to be 100, 45, and 40 kDa, respectively, by SDS-PAGE.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of BGL-A3 were 5.0 and $50^{\circ}C$, respectively, whereas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of BGL-A1 and BGL-A2 were identical (4.0 and $60^{\circ}C$, respectively). The half-life of BGL-A3 at $70^{\circ}C$ (2.8 min) was shorter than that of BGL-A1 and BGL-A2 (12.1 and 8.8 min, respectively). All three enzymes preferred p-nitrophenyl-${\beta}$-$\text\tiny{D}$-glucopyranoside (pNPG) and hardly hydrolyzed cellobiose, suggesting that these enzymes were aryl ${\beta}$-glucosidases. The $K_m$ of BGL-A3 (1.26 mM) for pNPG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BGL-A1 and BGL-A2 (0.25 and 0.27 mM,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GL-A1 and BGL-A2 were similar in their enzymatic properties, whereas BGL-A3 differed from the two enzymes. When tilianin (a flavone glycoside of acacetin) was reacted with the three enzymes, the inhibitory activity for monoamine oxidase, a target in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was similar to that shown by acacetin. We conclude that these enzymes may be useful in the hydrolysis of flavone glycosides to improve their inhibitory activities.

Rhizopus japonicus가 생산하는 인삼 Saponin 전환효소의 효소학적 특성 (Enzymatic Properties of the Convertible Enzyme of Ginseng Saponin Produced from Rhizopus japonicus)

  • 김상달;서정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6-130
    • /
    • 1989
  • 인삼 saponin 중에서 조성 비율이 가장 큰 ginsenoside R $b_1$을 약효면에서 훨씬 우수한 ginsenoside-Rd로 선택적 전환할 수 있는 전환효소를 Rhizopus japonicus 배양물로부터 순수하게 정제한 후 그 효소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효소는 pH 4.8~5.0, 45$^{\circ}C$에서 그 활성도가 가장 높았으며 pH4~9의 범위에서 안정하였고, pH5.0에서 6$0^{\circ}C$ 열처리할 경우 50% 실활하는데 2시간이 소요되었다. M $n^{++}$, F $e^{++}$에 의해 효소활성이 촉진되었으며 C $u^{++}$, A $g^+$에 의해서는 저해되었다. 효소 저해제중에는 EDTA, o-phenanthroline 등에 의해 저해되기도 했다. 본 효소는 당류중에는 gentiobiose, cellulose만을, glycoside 중에서는 amygdalin, purnasin, salicin 등을 분해할 수 있었으며 ginsenoside R $b_1$, 이외의 다른 ginsenoside는 전혀 분해할 수 없었다. 본 효소의 Km치는 total saponin 기질 및 ginsenoside Rb group saponin 기질은 ginsenoside R $b_1$으로서 5.0mM 이었으며, gentiobiose는 4.8mM, amygdalin은 3.7mM 이었다.

  • PDF

닭 티푸스의 발생상황과 Salmonella gallinarum의 항균제 감수성 (Prevalent Characteristics of Fowl Typhoid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Salmonella gallinarum)

  • 박노찬;도재철;조광현;장성준;권헌일;박덕상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3-123
    • /
    • 1995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t characteristics of Fowl Typhoid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Salmonella gallinarum isolated from 56 infective or dead chickens of 20 egg laying farms in Kyung Buk province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to December 1994. 1. Among 416, 000 chickens of 92 flocks in 20 egg laying farms, 17, 360 chickens of 31 flocks were died of Fowl Typhoid. 2. Salmonella gallinarum was isolated from 56 chickens in liver and spleen, and then blood of infective chickens was positive to Pullorum antigen. 3, In the survey of gross lesion of 56 chickens, 43 chickens(76.8%) were swelled at liver, 39(69.6%) were swelled at spleen, 12(21.4%) were changed with bronze, 3(5.4% ) were hemorrhagic in peritoneal cavity. 4. In transmission pattern, 4 farms were outbreaked the entrance of chicken house at first, but the others were outbreaked at various place. They were transmitted at right and left directions in flock. 5. 2 farms confirmed at the early stage of infection were eradicated by removing infective chickens and administrating antibiotics, but 18 farms at chronic stage were not. 6. The biochemical properties of 112 Salmonella gallinarum from chickens were generally identical to those of the referance, but H$_2$S was not productive, cellobiose was fermentive. 7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of 20 isolates was performed by using 21 antibiotics, MICs of Amikacin(Ak), Gentamicin(Gm), Kanamycin(Km), and Tetracycline (Tc) were below 1.6 ug/ml, Ampicillin(Am), Furazolidone(Fu) and Neomycin(Nm) were below 3.1 ug/ml, Cephalothin(Ce), Cefazoline(Cf) and Chloramphenicol(Cm) were below 6.3 ug/ml, Nalidixic acid(Na), Polymyxin(Po) and Rifampicin(Rf) were below 12.5 ug/ml, Penicillin (Pm) was below 25 ug/ml, Colistin(Co) and Streptomycin(Sm) were below 50 ug/ml, Sulfamerazine(Sr) and Sulfamethazine (St) were below 200 ug/ml, Lincomycin(Lm) and Spiramycin(Sp) were below 400 ug/ml, Bacitracin(Ba) was below 800 ug/ml. 8. Among the 20 isolates, all(100%) of those were sensitive to Ak, Am, Ce, Cf, Cm, Fu, Gm, Km, Na, Nm, Po, Rf, Sr, St and Tc, but 6 isolates(30%) were resistent to Co, 20(100% ) to Ba, Lm, Pm, Sm, and Sp. The drug resistance patterns were simple which 6 strains were BaCoLmPmSmSp type, and 14 were BaLmPmSmSp type.

  • PDF

토양으로부터 Cryptococcus sp. CS-2의 분리 및 균주가 분비하는 Polygalacturonase의 특성에 관한 연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ryptococcus sp. CS-2 Secreting Polygalacturonase from Soil)

  • 강희경;문명님;임채영;양영기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8-163
    • /
    • 1999
  • 제주도 밀감 과수원의 토양으로부터 polygalacturonase 고생산 효모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strain CS-2 의 생리화학적인 실험을 수행한 결과 분리균주는 Diazonium bule B color test 와 urease test에서 양성반응, acetic acid, citrate acid 생성 시험, gelatin 분해시험, fat 분해시험에서는 음성반응을 나타났고, 탄소원의 조사에서 galactose를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없었고, 질소원은 모두 이용할 수 없었다. 또한 $30^{\circ}C$ 에서는 성장하는 반면, $35^{\circ}C$ 이상에서는 성장을 하지 못하였고 50% 이상의 glucose 농도, 0.01% cyclohexamide 그리고 1% acetic acid에서 성장을 하지 못하였다. 현미경을 이용한 형태학적 관찰 결과, 크기는 $1.3{\times}2.9$$\mu$m인 타원형으로 관찰되었다, ,multiple budding을 하며 ascospore는 존재하는 반면 pseudomycelium과 true mycelium 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Cryptococcus 속의 특징과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분리된 Cryptococcus sp. CS-2 의 polygalacturonase 는 유도적으로 합성되어 catabolic repression 에 의해 조절됨을 알 수 있었으며, 3일 배양시 가장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 고유 활성도는 2.50~2.55 units/mg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polygalacturonase를 SDS-PAGE, activity staining 그리고 단일 탄소원에 따른 단백질 양상의 변화를 비교하여 분자량 측정한 결과 약 46KDa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