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ttle raising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7초

답리작 맥류 랩-사일리지의 기계화 시스템 모델 개발(1) - 맥류 조사료 기계화 시스템 모델과 기대효과 - (Development of Mechanized System Model for the Production of Winter Cereal Wrap Silage in the Fallow Paddy Field (1) - Modelling mechanized roughage production system and previewing its profit -)

  • 김혁주;박경규;서종혁;신승열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8권2호
    • /
    • pp.107-116
    • /
    • 2003
  • One of the major obstructing factors against managing dairy farm in Korea has been a shortage of roughage supply. The shortage of roughage caused excessive use of concentrate feed increase of production cost and deterioration of cattle qualit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for the dairy farm, use of fallow paddy field in the winter was feasible to produce barley and rye forage during the winter season after harvesting of in. And many desirable effects of raising cattle productivity, saving dollars for importing feeds and providing huge ground for manure spreading are expected by enlarged local roughage production. Through analysing the forage producing process, a mechanized operation model was developed for dairy farms in Korea. Its model consists of seeding models(till, no-till model) and harvesting models(wrap silage, traditional silage, hay model). Currently, the government policies are being executed to urge producing winter cereal wrap silage in the fallow paddy field with various supporting programs. Ant with enlarged local forage production, it is possible to make a new huge market fur forage producing machine.

산지에서의 환경친화형 조사료변산과 이용 (Sustainable Livestock Production in Hill and Woodland)

  • 김태환;성경일;김병완
    • 한국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2년도 창립 30주년 International Symposium
    • /
    • pp.131-156
    • /
    • 2002
  • Although economically viable, the livestock industry is currently facing a number of challenging environmental problems and highly complex social issues, many of which are related to its size and geographically concentrated nature. Increased emphasis on environmental quality has also placed new demands on livestock producers to ensure that their production practices are in harmony with natural environment. In terms of sustainable agricultural systems, ruminants have served and will continue to serve a valuable role. They are particularly useful in converting vast renewable resources from rangeland, pasture, and crop residues or other by-product into food edible for human. With ruminants, land that is too poor or too erodable to cultivate becomes productive. Also, nutrients in by-products are utilized and do not become a waste-disposal problem. In Korea, however, native and dairy cattle production is not consistent with the advantageous roles of ruminant livestock in sustainable agricultural system because imported feed grains become the main basis for cattle raising. At present the ruminant livestock producers are heavily concentrated in and around the urban areas. About 75% of all the nation's cattle herds are kept on the outskirts of urban areas. As a result, the amount of pasture and forage land available per head of cattle is generally small. Furthermore, animals are raised in a cattle shed with high density. This situation is rather unfavorable for the nation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points of view As nation income increased, the demand for livestock products grew at an unforeseeable pace. But the pasture area involving in current utilization is tended to decrease during recent years. Based on the above figures more than 250,000 ha of pasture ought to be available for the present herd of cattle. It is obvious that these needs can scarcely be met with arable lands. Lands area for the establishment of new grassland have to be found in the hills and mountains which have not yet been used for crop framing or livestock. The development of extensive grasslands in the hill and woodland areas is now a declared aim. The starting point of the present work is the lack of knowledge of forage production and utilization in hill pasture and woodland in spite of indispensable necessity for livestock production in Korea. The importance of pastoral system in hill region and woodland is particularly emphasized in a standpoint of sustainable livestock production. Main chapter comprises the principle and techniques applicable for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hill pasture and woodland. We finally discussed the problems to solve and future works for a successful livestock production in hill and mountainous area in Korea.

  • PDF

한우 거세 및 비거세우의 성장곡선 특성 (Growth Curve Characteristics of Bull and Steer of Hanwoo(Korean Cattle))

  • 김내수;주종철;송만강;정정수;최양일;박철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519-522
    • /
    • 2002
  • 농협 한우 개량부에서 시험 사육한 거세우 및 비거세우 각각 60두의 자료를 근거로 곰페르츠 방정식에 의한 성장곡선을 추정한 결과 비거세우의 성장곡선 방정식은 $W_t$ = 906.1.exp{-3.956.exp(-0.0034t)}이었으며, 거세우의 성장곡선 방정식은 $W_t$ = 823.1.exp{-3.301.exp(-0.0027t}이었다. 이 추정식에 의한 성숙체중은 과거에 추정한 식보다 높게 추정되었는데 이는 사양조건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비거세우에 대한 거세우의 체중비는 19.5개월까지는 급격히 감소하여 79.2% 정도에 이르렀으나, 이후 격차는 서서히 줄어들어 성숙시에는 90.8%에 이르렀다. 추정식은 생시 체중이 거세우의 경우 과다하게 그리고 비거세우의 경우 과소하게 추정되었으며, 실제 체중의 변이는 비거세우가 거세우에 비해 큰 경향을 보였다.

충남 서산.태안지역에서 착유증인 젖소의 M.R.T.용 집합유에 대한 요네병 감염률 조사 (Prevalence of M. paratuberculosis antibody in dairy cattle in Seosan-Taean areas for M.R.T. samples)

  • 전동민;육심용;남이현;이미성;한우수;강형주;이재봉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1-255
    • /
    • 2009
  • T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the antibody for bovine paratuberculosis (Johne's disease) in dairy cattle in Seosan-Taean area. From February to August in 2009, 254 M.R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57 farms in the regions and enzyme immuno-sorbent assay (ELISA) was conducted. Among 254 samples, 13 (5.1%) M.R.T. samples of 3 (5.2%) farms were positive by ELISA. In regional analysis, 1 (3.1%) of 34 farms in Seasan and 2 (8.6%) of 23 farms in Taean were positive in ELISA. According to the raising scale of dairy farms, the farm with below 30 heads showed the higher positive rate (2 out of 3 positive farms) than the farms with over 30 heads (1 out of 3 positive farms).

Fatty Acid Composition of Grain- and Grass-Fed Beef and Their Nutritional Value and Health Implication

  • Kim, Margarette C. Nogoy;Sun, Bin;Shin, Sangeun;Lee, Yeonwoo;Li, Xiang Zi;Choi, Seong Ho;Park, Sungkw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8-33
    • /
    • 2022
  • Beef contains functional fatty acids such as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longchain fatty acids. This review summarizes results from studies comparing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beef from cattle fed either grass or grain-based feed. Since functional lipid components are contributed through dietary consumption of beef, the fatty acid composition is reported on mg/100 g of meat basis rather than on a percentage of total fat basis. Beef from grass-fed contains lesser total fat than that from grain-fed in all breeds of cattle. Reduced total fat content also influences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beef. A 100 g beef meat from grass-fed cattle contained 2,773 mg less total saturated fatty acids (SFA) than that from the same amount of grain-fed. Grass-fed also showed a more favorable SFA lipid profile containing less cholesterol-raising fatty acids (C12:0 to C16:0) but contained a lesser amount of cholesterol-lowering C18:0 than grain-fed beef. In terms of essential fatty acids, grass-fed beef showed greater levels of trans-vaccenic acid and long-chain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EPA, DPA, DHA) than grain-fed beef. Grass-fed beef also contains an increased level of total n-3 PUFA which reduced the n-6 to n-3 ratio thus can offer more health benefits than grain-fed. The findings signify that grass-fed beef could exert protective effects against a number of diseases ranging from cancer to cardiovascular disease (CVD) as evidenced by the increased functional omega-3 PUFA and decreased undesirable SFA. Although grain-fed beef showed lesser EPA, DPA, and DHA, consumers should be aware that greater portions of grain-fed beef could also achieve a similar dietary intake of long-chain omega-3 fatty acids. Noteworthy, grain-fed beef contained higher total monounsaturated fatty acid that have beneficial roles in the amelioration of CVD risks than grass-fed beef. In Hanwoo beef, grain-fed showed higher EPA and DHA than grass-fed beef.

액상우분뇨 시용과 콩과작물의 혼파가 청보리와 호밀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유기가축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ying Cattle Slurry and Mixed Sowing with Legumes on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Organic Stock Carrying Capacity of Whole Crop Barley and Rye)

  • 조익환;황보순;이성훈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19-432
    • /
    • 2010
  • 본 실험에서는 월동작물로 재배되는 청보리와 호밀에 화학비료, 유기질비료 및 가축분뇨의 시용 그리고 콩과작물의 혼파재배가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함으로써 토양의 지력향상과 함께 양질의 유기조사료를 확보하여 단위면적당 유기가축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무비구, 화학비료 인산칼리 시비구, 화학비료 질소인산칼리 시비구, 유기질비료 시용 액상우분뇨 시용구, 액상우분뇨 시용에 헤어리베치 혼파구 및 액상우분뇨 시용에 사료용완두 혼파구 등 7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실험이 실시되었다. 청보리의 연간 건물, 조단백질 및 가소화양분총량 수량은 화학비료 질소인산칼리 시비구가 액상우분뇨를 시용한 구를 제외하고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청보리의 조단백질함량은 화학비료 질소인산칼리 시비구(9.8%)와 액상우분뇨 시용과 콩과작물 혼파구(8.6~9.7%)가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보리를 급여시 유기 한우 암소는 액상우분뇨 시용에 콩과작물 혼파구가 연간 ha당 평균 l.7~1.8두를 사육할 수 있다 호밀의 연간 건물, 조단백질 및 가소화양분총량 수량은 액상우분뇨에 콩과작물을 혼파한 구가 ha당 각각 6.9~7.1, 0.5~0.6 및 4.3~4.4톤으로 나타났다. 호밀의 조단백질함량은 화학비료 시비구가 10.8%로 모든 처리구보다 높았다(p<0.05). 호밀을 급여한 유기한우 암소의 연간 ha당 사육두수는 액상우분뇨 시용에 콩과작물 혼파구가 평균 1.9두를 사육할 수 있다. 단위당 생산수량 및 유기가축 사육능력측면에서 청보리 및 호밀에 대한 가축분뇨의 시용은 화학비료에 준하는 생산성적을 나타내었다. 가축분뇨 시용구내에서 청보리는 헤어리베치와 혼파 시에, 호밀은 사료용완두와 혼파 시에 더 많은 생산수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가축분뇨 시용구내 콩과작물과의 혼파는 조단백질수량과 가소화양분총량을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가축분뇨 시용과 콩과작물과의 혼파는 유기가축사양 시 단백질공급원으로 이용 되는 수입유기곡류를 대체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경북지역에서 액상우분뇨 시용과 콩과작물의 혼파가 동계사료작물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유기가축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ying Cattle Slurry and Mixed Sowing with Legumes on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Organic Stock Carrying Capacity of Winter Forage Crops in Gyeongbuk Regions)

  • 황보순;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51-465
    • /
    • 2013
  • 본 실험에서는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월동작물로 재배되는 보리, 호밀, 밀과 트리트레일에 화학비료, 유기질비료 및 가축분뇨의 시용 그리고 콩과작물의 혼파재배가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함으로써 토양의 지력향상과 함께 양질의 유기 조사료 확보하여 단위면적당 유기가축사육 능력을 추정하고자 무비구, 화학비료 PK시비구, 화학비료 NPK시비구, 유기질비료 시용구, 우분뇨 시용구, 우분뇨 시용에 헤어리베치 혼파구 및 우분뇨 시용에 forage pea 혼파구 등 7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실험이 실시되었다. 청보리의 연간 건물과 가소화양분총량(TDN) 수량은 화학비료 NPK 시비구가 가장 높았으나(p<0.05), 유기질 비료구, 우분뇨 및 콩과작물 혼파구와 유의적 차이는 나지 않았다. 청보리의 TDN은 우분뇨 시용에 forage pea 혼파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청보리를 급여시 한우 암소는 유기질비료, 우분뇨 혹은 우분뇨 시용에 forage pea 혼파구가 연간 ha당 평균 2.8~3.1두를 사육할 수 있다. 호밀의 연간 건물수량은 화학비료 NPK구가 가장 높았으나, 우분뇨구와 유의적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TDN과 RFV는 유기질비료구가 화학비료 NPK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유기질비료, 우분뇨 혹은 우분뇨 시용에 콩과를 혼파한 호밀을 급여할 경우 한우 암소는 연간 ha 당 사육두수는 평균 2.8~3.2두 규모의 가축 사육능력이 추정된다. 밀의 연간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유기질비료, 우분뇨 혹은 우분뇨 시용에 두과작물을 혼파한 구가 ha 당 각각 6.9~7.44, 0.53~0.60 및 4.35~5.04 톤으로 나타나, 밀을 급여할 경우 암소는 연간 ha 당 평균 3.1~3.7두 규모의 사육능력이 추정된다. 트리트케일의 TDN 수량은 화학비료 NPK구, 유기질비료구, 우분뇨구 및 콩과혼파구가 무비구와 화학비료 PK구 보다는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조단백질 함량은 forage pea 혼파구가 가장 높았다(p<0.05). 트리트케일을 급여할 경우 유기한우 암소는 연간 ha 당 평균 3.4~3.7두 규모의 사육능력이 추정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건물생산성만을 고려해서 화학비료와 동계사료작물을 단파로 재배하는 것보다 가축의 기호성과 품질의 개선까지 고려하여 액상우분뇨 50% 시용과 함께 콩과작물인 헤어리베치와 forage pea 등을 혼파 하는 것이 단위면적당 수량과 단백질 함량 등의 사료가치를 높이며 유기 가축사육 시에는 단백질공급원으로 이용되는 수입 곡류 등을 대체하는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유기질비료 시용과 두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청보리와 호밀의 생산성과 단위면적당 한우 사육능력 추정 (Evaluation of Carrying Capacity for Hanwoo Heifers When Fed Whole Crop Barley and Rye as Influenced by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and Mixed Sowing with Legumes)

  • 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7-124
    • /
    • 2012
  • 본 실험에서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월동 작물로 재배되는 청보리와 호밀에 화학비료, 유기질비료 및 가축분뇨의 시용 그리고 콩과작물의 혼파재배가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주는 효과를 토양의 지력향상과 함께 양질의 조사료를 확보하여 단위면적당 한우 사육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고자 무비구, 화학비료 PK시비구, 화학비료 NPK 시비구, 유기질비료 시용구, 액상우분뇨 시용구, 액상우분뇨 시용에 헤어리벳치 혼파구 및 액상우분뇨 시용에 청예완두 혼파구 등 7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실험이 실시되었다. 청보리의 연간 건물과 가소화양분총량 (TDN) 수량은 화학비료 NPK 시비구 (각각 6.14와 3.97 ton/ha)가 가장 높았으나 (p<0.05), 유기질 비료구 (각각 5.24와 3.37 ton/ha), 액상우분뇨 (각각 5.53과 3.63 ton/ha) 및 콩과 혼파구 (각각 5.00~5.15와 3.32~3.33 ton/ha)와 유의적 차이는 나지 않았다. 청보리의 TDN과 RFV는 액상우분뇨 시용에 청예완두 혼파구가 가장 높았다 (p<0.05). 청보리를 급여 시 한우 암소는 유기질비료, 액상우분뇨 혹은 액상우분뇨 시용에 두과작물 혼파구가 연간 ha당 평균 2.5~2.9두를 사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밀의 연간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유기질비료, 액상우분뇨 혹은 액상우분뇨 시용에 두과작물 혼파한 구가 ha 당 각각 6.69~7.13, 0.46~0.51 및 3.95~4.18 ton으로 나타남으로써, 호밀을 급여할 경우 암소는 연간 ha 당 평균 3.1~3.3두 규모의 사육능력이 추정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건물생산성만을 고려해서 화본과 작물을 단파로 재배하는 것보다는 가축의 기호성과 품질의 개선효과까지 고려하여 두과작물 등을 혼파 재배하고 가축분뇨를 시용함으로써 단위면적당 수량과 사료 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한우사양 시에는 단백질 공급원으로 이용되는 수입 곡류 등을 대체하는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4WD 및 4WS이 가능한 로더 개발(I) (4륜 구동 변속기) (development of Loader Equipped with 4WD and 4WS (I) (4 Wheel Driving Transmission))

  • 조현덕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141-148
    • /
    • 1998
  • A loader is construction & road or agricultural machinery for lifting, moving, and mixing. This study deals with the agricultural mini loader for stock raising farming. The performance of the machine is established by pulling power, working lifting capacity, and minimum circling radius, etc. Also, driving easiness and endurance are very important in manufacturing. Thus,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loader with the 4-wheel driving equipment by gear transmission, the 4-wheel steering equipment by power handle steering type, and the equipment making four wheels touch simultaneously on the rugged ground. The developed loader having these functions was very fit in a small cattle shed or a rugged ground.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parts; (I) development of 4WS transmission and (II) construction of the loader by 4WS system and other equipments.

  • PDF

국내 사슴에서 구제역 A형 감염증례 (Infection of Foot and Mouth Disease of Serotype A in Farm-raised Deer in Korea)

  • 박종현;이광녕;김수미;고영준;이향심;조인수;김병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15-318
    • /
    • 2012
  • 2010년초 국내 구제역 발생에서 사슴에서 구제역 A형 감염 사례를 확인하였다. 2002년 O형 구제역이 돼지에서 발생된 이후에 8년만인 2010년 1월에 처음 소에서 A형 구제역이 발생된 이후 6농가에서 발생하였고, 같은 해 3월 발생농가 주변 이동제한 해제를 위한 사슴 항체검사에서 2마리의 사슴에서 구제역 항체양성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동일농장에 사육중인 12두에 대한 추가 검사에서 구제역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비교적 높은 구제역A형에 대한 중화항체가 검출되었다. 그 이후 구제역 A형에 대한 추가 발생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