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rot juice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4초

녹즙의 항산화 영양성분 분석 (Analysis of Antioxidant Nutrients in Green Yellow Vegetable Juice)

  • 정소영;김현위;윤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880-88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녹즙재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신선초, 케일, 당근, 샐러리, 오이로 각각 녹즙을 제조하고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영양성분들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5가지 녹즙에는 항산화 영양성분인 ${\beta}-carotene$, 비타민 E, 비타민 C, Se, Ca, Mn, Zn, 페놀물질들이 함유되어 있었다. ${\beta}-carotene$의 함량은 쥬스 100 g 당 당근이 59.09 mg, 케일이 3285.3 mg, 신선초가 1398.3 mg, 샐러리가 176.7 mg 오이가 61.4 mg이었다. ${\alpha}$-토코페롤의 함량은 케일녹즙이 1.41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샐러리 녹즙에는 0.04 mg/100 g이 함유되어 있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케일 녹즙은 비타민 C 함량도 녹즙 100 g당 105.1 mg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신선초 31.4 mg, 오이 9.3 mg, 샐러리 7.5 mg, 당근 5.2 mg 순이었다. 항산화성 무기질은 대체로 신선초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그 양을 보면 녹즙 100 g당 Cu가 0.4 mg, Mn 0.5mg, Zn 0.24mg이고 Se은 녹즙 kg당 0.61 mg이었다. 케일녹즙에는 100 g당 Cu 0.45 mg, Mn 0.22 mg, Zn 0.24 mg이었다. Se는 1kg 당 0.33 mg로 신선초 다음으로 많은 항산화성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샐러리와 오이에 함유되어 있는 황산화성 무기질의 양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총 페놀 물질함량은 5가지 녹즙에서 $0.01{\sim}0.05%$이었으며 케일 녹즙이 가장 많은 페놀물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 PDF

UV살균과 초고압살균에 의한 당근주스의 저장성 비교 (Comparison of UV-Irradiation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Sterilization for Storage Stability of Carrot Juice)

  • 오남석;김민영;장귀영;백소윤;정미연;강태수;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113-1118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on-thermal sterilization effect of methods such as high hydrostatic pressure (HHP) and UV-irradiation (specifically with regard to the storage stability and shelf-life of carrot juice. The microbial counts of the non-sterilized product increased from 5.51 to 7.34 log CFU/mL up to the fifth day, and then decreased to 5.46 log CFU/mL at six days. UV-irradiation was increased from 2.37 to 4.92 log CFU/mL. HHP was maintained under the 3 log CFU/mL. The pH of UV-irradiation and HHP was maintained withing the range of 6.29~6.30 and 6.20~6.22 during storage. However, the pH arising from non-sterilization decreased from 6.31 to 4.49. The color of non-sterilization changed significantly during storage, but UV-irradiation and HHP were similar during storage. The ${\beta}$-carotene content of non-sterilization was noted to have decreased from 269.45 to $65.19{\mu}g/mL$ during storage. The UV-irradiation and HHP decreased from 263.46 and $268.35{\sim}281.16{\mu}g/mL$ to 243.42 and $244.09{\sim}269.29{\mu}g/mL$,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HP can be used for the pasteurization, or sterilization, of carrot juice and the optimal condition is two minutes.

당근 가공시 열처리 조건에 따른 휘발성 Terpenoids 함량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Terpenoid Content from Thermal Processing Condition in Carrot)

  • 박신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89-594
    • /
    • 2002
  • 당근의 열처리 조건에 따른 휘발성 terpenoids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는데, 열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휘발성 terpenoids가 많이 감소하였으며, 열처리 시간에 따른 휘발성 terpenoids는 $\alpha$-pinene 및 total terpenoids의 경우 최초 30분 동안 급속히 감속하였으며, 그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당근주스의 살균 온도별, 시간별 휘발성 terpenoids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살균온도가 높을수록 휘발성 terpenoids 함량이 빠른 속도로 감소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살균시간에 따른 휘발성 terpenoids의 함량은 최초 20분간 급속히 감소하다가 이후에는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Total terpenoids의 경우 10$0^{\circ}C$에서 20분간 살균했을 시 6$0^{\circ}C$ 및 8$0^{\circ}C$에서 60분간 살균했을 시 보다 더 많이 감소하였는데, 당근주스의 휘발성terpenoids 함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고온단시간 살균이 저온장시간 살균보다 더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Effect of Carrot Juice Supplementation on Plasma Antioxidant Status and Lymphocyte DNA Damage in Korean Male Smokers

  • Lee, Hye-Jin;Jeon, Eun-Jae;Kim, Jung-Shin;Park, Yoo-Kyoung;Kang, Myung-Hee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6-176
    • /
    • 2003
  • Cigarette smoke is a complex mixture of thousands of compounds, many of which are known or suspected human carcinogens. A preventive effect of the consumption of vegetables or fruits on various types of cancer has been confirmed from numerous studies.(omitted)

  • PDF

채소 모재료의 종류, 수확시기별, 부위별 혼합비율, 저장조건 및 생산회사에 따른 녹즙의 ${NO_3}^-$ 함량차이 (Study on the Content of ${NO_3}^-$ in Green Vegetable Juice by Different Sorts, Harvesting Time, Mixing Rate of Vegetable, Storage Condition and Manufacturers)

  • 손상목;윤지영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1-103
    • /
    • 1998
  • 건강식품의 일종으로 알려져 있는 녹즙의 소비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이들 식음료를 통한 질산염 섭취량이 일일 섭취량 계산에서 무시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질산염의 일일 섭취량 계산을 위해서도 녹즙종류별 ${NO_3}^-$ 함량에 대한 기초자료가 필요하다. 이에 녹즙의 모재료인 채소의 종류별, 수확시기별, 부위별 혼합지율 및 생산회사, 저장조건에 따른 녹즙의 함량차이에 일련의 실험과 monitoring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이에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녹즙의 주요 모재료 채소인 명일엽과 케일의 ${NO_3}^-$ 함량은 봄철이 여름이나 가을에 수확되는 경우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었다. 명일엽의 경우 년중 최대치는 년중 최저치에 비해 4.85배나 높았고, 케일의 경우 2.9배 높았다. 명일엽과 케일의 ${NO_3}^-$ 함량 년중평균치는 1.731ppm, 5403ppm으로 케일이 명일엽에 비해 3.12배나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2. ${NO_3}^-$함량은 중록이 엽신에 비해 명일엽은 7.5배, 케일은 2.1배나 많아 녹즙내 저수준 ${NO_3}^-$ 함량을 위해서는 중록보다는 엽신을 녹즙의 모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3. ${NO_3}^-$ 함량과 Vitamin C 함량차이는 저장온도조건에 따른 차이보다는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가 뚜렷이 나타났다. 저장기간중의 녹즙의 ${NO_3}^-$ 함량과 Vitamin C 함량은 당근녹즙, 케일녹즙, 오이 녹즙 모두 실온 및 냉장 저장조건에 서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착즙후 ${NO_3}^-$ 함량의 급격한 하락현상은 실온저장의 경우 오이 2시간, 케일 4시간, 당근녹즙 32시간 이후에 나타났으나, 실온 및 냉장보관의 경우 모든 녹즙에서 2시간부터 나타났다. Vitamin C 함량은 ${NO_3}^-$ 함량에 비해 완만히 저하하는 경향이었으나, 당근녹즙의 경우 상대적으로 가장 급격히 낮아졌다. 5. 조사 대상 녹즙회사중 P사의 녹즙이 ${NO_3}^-$ 함량과 Vitamin C 함량 모두 가장 높았고, TW사의 녹즙이 가장 낮았다. ${NO_3}^-$ 함량과 Vitamin C 함량이 GB사 녹즙에서 다함께 P사 녹즙에 비해 같은 경향으로 낮았다는 것은 제조과정에서 일정한 량의 물과 혼합하였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판단되었다. 6. 녹즙 종류별 ${NO_3}^-$ 함량은 당근녹즙(143ppm) < 명일엽(506ppm) < 돌미나리(669ppm) < 케일녹즙(985ppm) 순으로 많았고, Vitamin C 함량은 당근(43ppm) < 돌미나리(289ppm) < 케일(353ppm) < 명일엽(768ppm)의 순으로 높았다. 7. 일일 ${NO_3}^-$ 섭취량은 500ml의 녹즙을 마시는 경우 명일엽 253mg, 돌미나리 335mg, 케일 483mg으로 녹즙만으로도 이미 WHO/FAO의 일일 ${NO_3}^-$ 섭취허용량보다 1.16배, 1.53배, 2.21배나 초과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당근발효액 첨가에 따른 닭꼬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Skewered Chicken Added with Fermented Carrot Juice)

  • 김현정;황보미향;황은영;정영태;박수경;이삼빈;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1097-1103
    • /
    • 2009
  • 당근발효액 첨가 닭꼬치는 간장양념액과 당근발효액 5$\sim$10%을 첨가하여 숙성, 가열한 후 양념소스를 발라 재가열하여 제조한 다음, 진공 포장하여 $4^{\circ}C$에서 21일 동안 보관하면서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당근발효액은 당근액에 2% Leuconostoc mesenteroides SM를 접종하여 $25^{\circ}C$에서 18$\sim$20시간 발효시켜 제조하였다. 닭꼬치의 pH 및 색도는 각 구별 차이 없이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VBN값은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각 구별 차이 없이 증가하였다. 당근발효액을 첨가한 T1과 T2구는 대조구에 비해 포화지방산 함량은 감소하고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총 세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대조군에 비해 당근발효액이 첨가된 T1, T2구의 경도가 감소하였고, 특히 10% 당근발효액을 첨가한 T2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경도를 확인하였다. 관능평가에서도 당근발효액이 첨가된 처리구가 높은 다즙성과 연도, 풍미에 의해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당근발효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닭꼬치는 미생물의 증식 억제, 경도 저하와 함께 다즙성, 연도, 풍미 등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과채쥬스 제조를 위한 혼합조건의 선정 (Selection of Mixing Ratio for Preparation of Mixed Vegetable Juice)

  • 이규희;고영수;최희숙;김우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3-118
    • /
    • 1995
  • A preferable mixing ratio of a six-vegetable juice was suggested in this study. The vegetables used for preparation of mixed vegetable juice were carrot(Ct), cabbage(Cg), pear(Pr), cucumber(Cr), celery (Cy) and dongchimi(Di). The characteristics of pH, titratible acidity, reducing sugar, turbidity, solids, color and acceptability were compared to determine the mixing ratio. The vegetables showed a wide ranHe of pH of 3.70-6.01, acidity of 28.92 uv~74.40 nd and reducing sugar of 1.20ft~ 12.69fo. Celery juice showed the higest suspension stability and "b" value and the lowest values in Hunter "L" and "a" values among the 6 vegetable juice. The preferable mixing ratio of two-vegetable juice selected were Ct-Di(1 : 4), Cg-Pr(1 : 3) and Cr-Cy(3 : 1). From the various ratio of the three of biary mixtures of Cg-Pr(1 : 3): Ct-Di(1 : 4): Cr-Sy(3 : 1), two ratio of 5.0 : 2.5 2.5(V-6A) and 6.0 : 2.0 : 2.0(V-6B) were suggested as the most prefered six-vegetable juice. Pear, dongchimi and cucumber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on the preference. The pH and titratible acidity of the two juices with different ratios were in the range of 4.92~4.98 and 36.g∼37.4 ml, respectively.

  • PDF

국내산 야채쥬스의 역병균 영양생장 및 생식생장용 배양기 이용 (Utilization of Domestic Vegetables Juices as a Medium for Growth and Reproduction of Phytophthora species)

  • 지형진;조원대;최용철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99-302
    • /
    • 1998
  • V8 juice agar (V8A) has been the most popular and commonly used medium for growth and reproduction of Phytophthora. However, frequently V8 vegetable juice is not available or difficult to obtain in Korea. We therefore developed widely accessible medium to substitute for V8A using domestically available five juices; two carrot (KCJA), two tomato (KTJA) and a vegetable-mix (KVMA). To prepare 10% juice medium, each vegetable juice 100 ml, DW 900 ml, agar 17 g and Ca CO3 0.5∼1.0g were supplemented to adjust pH ca. 6.0 Mycelial growth of P. cactorum and P. capsici on KTJA and KVMA was equally effective as V8A for the growth of P. cactorum, P. capsici, P. drechsleri and P. nicotianae under light. Sporangial production of P cactorum, P. capsici and P. nicotianae on KTJA and KVMA was as good as V8A and slightly better than CKJA, but the difference was insignificant by P. cactorum and P. nicotianae. The four fungi successfully formed oospores on all the media although the numbers were varied among species and media. While KTJA was the best for P. cactorum and P. capsici, V8A was the best for P. capsici and P. drechsleri. However, KCJA stimulated highest number of oopspores of P. nicotianae. Overall results showed that domestically available vegetable juices were highly effective on growth and reproduction of Phytophthora and comparable to V8 juice. Therefore, the domestic juice medium can be successfully replaced V8A in Phytophthora study.

  • PDF

여대생의 Carotenoids 식품 보충 섭취에 따른 혈청 비타민 A 함량 변화 (Serum Vitamin A Response to SHort-term Carotenoids Foods Supplementation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 나유경;김영남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8호
    • /
    • pp.952-959
    • /
    • 1997
  • Korean intakes of Vitamin A have not reached RDA for a long time according to the National Nutrition Survey. The pu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rum response to short-term carotenoids-rich vegetable juices supplementation. A total of 31 female studen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ir average serum retinol content before supplementation began was 14.74$\mu\textrm{g}$/100ml, and 87% of them had lower than adequate levels. Serum $\beta$-carotene, $\alpha$-carotene, lycopene and lutein contents were 0.77, -, 0.74 and 8.29$\mu\textrm{g}$/100$m\ell$ respectively. The serum responses to 3 kinds of juice supplementation for 3 weeks are summarized as follows. A small but steady increase in serum retinol concentration was detected with the supplementation (p<.05), but the kinds of juice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Serum $\beta$-carotene contents also increased with the supplementation(p<.01), but the kinds of juice again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Serum lycopene increased with the lycopene-containing vegetable juice and tomato juice supplementation, but the increase wasn't significant. There was no change in serum lycopene levels with the lycopene free carrot juice supplementation. Finally, there were no signifnicant changes in serum lutein and $\alpha$-carotene levels with the 3 kinds of juice supplementation.

  • PDF

녹즙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에 대한 연구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Methaol Fraction Obtained from Green Yellow Vegetable Juices)

  • 정소영;김낙경;윤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42-347
    • /
    • 199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water and methanol fractions obtained from each green juice(Angelica keiskei, kale, carrot) under different pH conditions, and antioxidant vitamin contents in green juice made of green yellow vegetables. The result shows that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each green juice was 14.0~91.2% in model system. The methanol fraction provided higher effect than the water fraction. The nitrite degradation was the highest at pH 1.2.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methanol fraction obtained from kale juice was 91.2% at pH 1.2 which was the highest among tested samples in this experiments. Consequently, extracts of kale juice were shown to provide the greatest functional properties among the vegetables tested. Contents of vitamine E and C in the extracts of kale were higher than the oth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