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otenoid pigment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3초

An Efficient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Astaxanthin from the Red Yeast Xanthophyllomyces dendrorhous

  • Choi, Seok-Keun;Kim, Jeong-Hwan;Park, Young-Sam;Kim, Young-Jin;Chang, Hyo-Ih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5호
    • /
    • pp.847-852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an efficient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astaxanthin from the red yeast Xanthophyllomyces dendrorhous. The extraction process comprised three steps: 1) cultivating the yeast; 2) treating the yeast culture suspension with microwaves to destroy the cell walls and microbodies; and 3) drying the yeast and extracting the astaxanthin pigment using ethanol, methanol, acetone, or a mixture of the three as the extraction solvent. Ultimately, various treatment test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nditions for optimal pigment extraction, and the total carotenoid and astaxanthin contents were quantified. A frequency of 2,450 MHz, an output of 500 watts, and irradiation time of 60 s were the most optimum conditions for yeast cell wall destruction. Furthermore, optimal pigment extraction occurred when using a cell density of 10g/l at $30^{\circ}C$ over 24 h, with a 10% volume of ethanol.

멍게 껍질(Ascidian shell)로부터 추출한 천연색소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Stability of Natural Pigment Extracted from Ascidian shell)

  • 박신호;양재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92-298
    • /
    • 2018
  • 본 연구는 멍게 껍질을 100.0 % 에탄올 용매로 추출한 후 DMSO로 희석하여 색소안정성을 평가하였다. pH에 따른 흡광도와 색차계 값을 측정한 결과 pH 7.0에서 흡광도와 색도의 ${\pm}a$값이 가장 안정하게 나타났다. pH 3.0에서 흡광도의 감소가 나타났고 색도의 ${\pm}a$값이 감소하여 멍게 껍질 색소는 pH가 중성에 가까울수록 변색방지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항산화제 첨가시 색소의 흡광도가 증가하였으며 ${\alpha}-tocopherol$과 Glutathione이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양식미역의 품질요인과 그 가공 (FACTORS INVOLVED IN THE QUALITY RETENTION OF CULTURED UNDARIA PINNATIFIDA)

  • 변재형;박영호;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5-135
    • /
    • 1977
  • Recently, culture of Undaria pinnatifida, one of the representative esculent sea weed, has been prevailing in tile east and south coasta of Korea and reached the mass culture stage. In this study, compositional quality factors for food were studied and the contributory effects of blanching and pigment fixatives in the quality retention of cultured Undaria pinnatifida are discussed. When the place and time of harvesting were the same, cultured pinnatifida showed scarce difference in the chemical composition comparing to tile naturally grown Undaria pinnatifida, but cultured Undaria pinnatifida shelved a considerable difference depending upon the cultured plac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Undaria pinnatifida, the alginic acid comprising about $40\%$ of the whole solid materials seemed to be responsible for the compositional puality. The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tent of the clutured Unaria pinnatifida were considerably lower than that of the naturally grown Undaria pinnatifida and wass inferior in puality by color to the naturally grown one. Dried Undaria pinnatifida contained a considerable amount of amino-N, mannitol, and soluble minerals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se components play a great role in the relish effects. It could also be evaluated as a good albuminous source for food science the dried pinnatifida contains about $18\%$ of crude protein. In the analysis of free amino acid composition of dried Undaria pinnatifida, the naturally growm samples showed so what higher levels in all amino acid content than the cultured samples. The contents of theronine, alanine, and glutamic acid were major in quantity wherease histidine cysteine, tyrosine, and phenylalanine were minor. The contents of such amino acids like serine and proline were particularly low or undetectable. The results of amino acid analysis of the acid hydrolysates of dried Undaria pinnatifida in quantity of individual amino acid showed te same pattern as that of free amino acid. It is noticed that Undaria pinnatifida seemed to contain good quality protein since the contents of essential amino acids were considerably higher and uniform. By blanching the fresh sample, the water soluble components brought about cousiderable loss, and, particularly, it was noteworthy that both mannitol and soluble minerals apparently decreased. In the pigment analysis of the dried sample, blanching was effective to retain chlorophyll and carotenoid. The addition of pigment fixatives in blanching solution such as Ca-gluconate, Ca-carbonate, and Ca-hydroxide did not exhibit much effect on the pigment retention except that Ca-carbonate shelved some effect only in the early stage of storage.

  • PDF

청색파장 영역이 결여된 자연광과 고추의 생장 (The Blue Color Deficient Sunlight and the Growth of Pepper)

  • 정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1-78
    • /
    • 1984
  • 약 500nm 이하의 파장영역(청색광)이 차단된 태양광은 고추의 생장에 괄목할만한 효과를 보였다. 영양생장기의 여러가지 생장지표들은 전반적으로 생육상태가 향상 내지 촉진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chlorophyll a, ${\beta}-carotene$, 및 다섯가지 성분의 xanthophyll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밟혀진 고추의 광합성색소계의 수준은 광질처리구의 잎에서 백색광 대조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특히 carotenoid들의 함량증가가 보다 현저하였다. 광질 처리효과로 생긴 왕성한 생장력은 숙과의 수량형성에도 반영되어 대조구대비 35%의 증수를 보였다. 또한 청색광을 차단한 광질처리가 식품으로서의 숙과의 품질들 저하시키는 일이 없음도 아울러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광질을 선택한 논리적 근거와 실험결과들을 여러 가지 광생물학적 측면에서 토의하였다.

  • PDF

Pigmentation and Delayed Oxidation of Broiler Chickens by the Red Carotenoid, Astaxanthin, from Chemical Synthesis and the Yeast, Xanthophyllomyces dendrorhous

  • An, G.-H.;Song, J.-Y.;Chang, K.-S.;Lee, B.-D.;Chae, H.-S.;Jang, B.-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9호
    • /
    • pp.1309-1314
    • /
    • 2004
  • The red carotenoid, astaxanthin was studied to improve the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ens. Astaxanthin pigmented chickens and delayed oxidation of lipid in them. Two sources of astaxanthin were used to pigment broiler chickens in a five-wk feeding trial: biological astaxanthin (BA) from the red yeast, Xanthophyllomyces dendrorhous, and chemical astaxanthin (CA) from chemical synthesis. The concentrations of CA (45 mg/kg feed) and BA (22.5 mg/kg feed) were set to give similar levels of pigmentation. The colorimetric values (a and b) of breast muscles were significantly changed by astaxanthin (p${\leq}$0.01). Absorption and accumulation of BA were higher than those of CA, probably due to the high contents of lipids in the yeast (17%). Lipid peroxide formation in ski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astaxanthin (p${\leq}$0.05).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production of lipid peroxides in the carcasses of broiler chickens during storage could be delayed by astaxanthin. Therefore, astaxanthin could be used as an antioxidant as well as a colorant for broiler chickens.

The Study of Cyanobacterial Flora from Geothermal Springs of Bakreswar, West Bengal, India

  • Debnath, Manojit;Mandal, Narayan Chandra;Ray, Samit
    • ALGAE
    • /
    • 제24권4호
    • /
    • pp.185-193
    • /
    • 2009
  • Geothermal springs in India, formed as a result of volcanic or tectonic activities, are characterized by high temperature and relatively abundant reduced compounds. These thermal springs are inhabited by characteristic thermophilic organisms including cyanobacteria. Cyanobacteria are among the few organisms that can occupy high temperature aquatic environments including hot springs. In alkaline and neutral hot springs and streams flowing from them cyanobacteria can form thick colourful mats that exhibit banding patterns. The present investigation involves study of mat forming cyanobacterial flora from hot springs located in Bakreswar, West Bengal, India. The important species found are Synechococcus bigranulatus, S. lividus, Gloeocapsa gelatinosa, G. muralis, Phormidium laminosum, P. frigidum, Oscillatoria princes, O. fragilis, Lyngbya lutea, Pseudanabaena sp., Calothrix thermalis, and Fischerella thermalis. Their distribution pattern in relation to physico-chemical parameters of spring water has also been studied. Three cyanobacterial strains of the above mentioned list were grown in culture and their pigment content and nitrogen fixing capacity were also studied. Nitrogen fixing capacities of Calothrix thermalis, Nostoc sp. (isolated in culture) and Fischerella thermalis are 5.14, 0.29, and 2.60 n mole $C_2H_4/{\mu}g$ of Chl-${\alpha}$/hr respectively. Carotenoid : Chlorophyll-${\alpha}$ ratio of four mat samples collected from Kharkunda, Suryakunda, Dudhkunda and bathing pool are 2.45, 1.60, 1.48, and 1.34, respectively. Higher value of Carotenoid : Chlorophyll-${\alpha}$ ratio coincided with higher temperature.

염분과 온도의 동시 영향에 따른 해양 미세조류 Nannochloropsis granulata와 Chlorella vulgaris의 중성지질 및 녹말 축적에 관한 연구 (Simultaneous Effect of Salinity and Temperature on the Neutral Lipid and Starch Accumulation by Oceanic Microalgae Nannochloropsis granulata and Chlorella vulgaris)

  • 고경준;이치헌;문혜나;이연지;양진주;조기철;김대경;여인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6-245
    • /
    • 2016
  • 미세조류는 육상 식물과 비교하여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며 다량의 지질과 탄수화물을 축적할 뿐 아니라 카로테노이드, 폴리페놀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들을 체내에 축적하므로 바이오 에너지 및 기타 산업의 유망한 재료로 인식 되어왔다. 미세조류의 온도, 염분, 빛 등 비생물적 스트레스와 다양한 배양 조건에 따른 생화학 물질의 축적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그러한 조건들의 동시적인 효과에 따른 성장과 생화학물질 조성 변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산업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두 해양 미세조류인 Chlorella vulgaris와 Nannochloropsis granulata의 염분(10, 30, 50 psu) 및 온도(20, 25, $30^{\circ}C$)의 동시 배양 조건에 따른 바이오 매스의 변화와 바이오 에너지에 사용되는 중성지질 및 녹말의 축적 변화를 회분배양의 실험적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30^{\circ}C$, 30 psu 조건에서 C. vulgaris 및 N. granulata 모두 가장 높은 성장을 나타냈고, 광합성 색소인 chlorophyll a 및 carotenoid의 축적 양상이 온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중성지질과 녹말의 축적은 염분과 온도의 조합에 따라 두 종의 양상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미세조류의 염분에 의한 성장과 중성지질 및 녹말의 축적 양상은 서로 다른 온도 조건에 따라 그 변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음지식물(陰地植物) 인삼(人蔘)(Panax ginseng C.A. Meyer)의 엽색소(葉色素) 구성(構成)에 대한 비교연구(比較硏究) (Comparative Study on the Leaf Pigment Compositions of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as Shade Plant)

  • 임선욱;이미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2호
    • /
    • pp.219-226
    • /
    • 1986
  • 음지식물(陰地植物)인 인삼(人蔘)과 양지식물(陽地植物)인 대두(大豆) 및 옥수수 사이에는 엽색소(葉色素)의 구성(構成)에 종류(種類)와 양적비율(量的比率)의 차이(差異)가 있을 것으로 추정(推定)하여 이를 비교검토(比較檢討)한 결과(結果)를 이에 보고(報告)한다. 후행(後行)의 인삼, 콩, 옥수수간에 총엽록소, carotenes, xanthophylls 함량의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전행(前行)의 인삼에서는 이들 모두의 함량이 낮았다. 인상에서는 전체 carotenoids에 대한 lutein의 몰비(比)가 높았고 옥수수에서는 violaxanthin의 몰비(比)가 높았으며, 전행(前行)의 인상에서 neoxanthin의 몰비(比)가 높았다. 콩, 옥수수에서는 antheraxanthin류(類)로 추정되는 epoxy carotenoid가 있었으나 인상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Carotenes 함량에 대한 chlorophyll 함량의 비(比)는 인삼에서 가장 높았다. 인삼에 있어서는 광(光)을 더 받는 전행(前行)에서 lutein과 carotenes의 몰비(比)가 감소되고, neoxanthin 과 violaxanthin의 몰비(比)가 증가되었다.

  • PDF

김분말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of Laver Powder and Its Characteristics)

  • 이향희;이장욱;임종환;정순택;박양균;함경식;김인철;강성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283-1288
    • /
    • 1999
  • 김의 분말화를 위한 최적조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돌김과 참김을 천일건조, 열풍건조$(60,\;105^{\circ}C)$, 진공건조 및 동결건조방법을 사용하여 건조방법에 따른 김의 ascorbic acid함량과 김의 대표적인 색소인 chlorophyll, carotenoid, phycobilin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김의 chlorophyll, carotenoid, phycobilin은 김을 채취하여 수세, 건조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건조방법에 의해서도 손실되는 양의 차이가 나타났다. 고온의 열풍건조는 김의 색소 보존 면에서 가장 좋지 많은 방법으로 나타났으며, 사용한 건조방법 중 동결건조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vitamin C는 건조방법에 따라 75-99% 까지 손실되었다. 김분말의 등온흡습곡선들은 sigmoid형의 곡선을 나타했으며, BET식에 따라 결정한 단분자층 수분함량은 돌김과 참김분말 모두 6.30%(dry basis)이었다.50 mesh, 80 mesh, 100 mesh 체로 사별한 돌김 분말은 각각 80, $100{\sim}110$$110{\sim}120\;{\mu}m$를 중심으로 단일한 입도분포를 나타내어 김분말의 입자가 균일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보일드 굴 통조림의 저장에 따르는 변색원인에 관한 연구 제1보.굴의 갈변 원인 색소의 분리 및 그 분광학적 성질 (Studies on the Mechanism of Pigmentation during Storage of Canned Boiled Oysters I. Isolation and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of Pigments Isolated from Brown Oysters)

  • 이태녕;장유경;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09-213
    • /
    • 1974
  • 저장중에 변색(變色)된 굴통조림의 황변패육부위(黃變貝肉部位, 생식소(生殖巢)) 및 청록색 내장(주로 소화육낭(消化育囊))을 각각 함수(含水)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얻은 색소 물질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분리하였다. 함수 아세톤으로 추출한 색소 추출액으로 부터 11종 의 황색 (1종), 적색 (1종), 등색 또는 적등색(赤燈色)(5종) 및 녹청(綠靑)(4종) 색소를 분리하고 각각의 가시 부 흡수 스펙트럼을 얻었다. 전자 흡수 스펙트럼 및 몇가지 발색반응(發色反應)에 의하여 함수 아세톤에 의해 추출되는 황갈색(黃褐色) 색소액의 성분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청록색색소에 있어서는 물론 대부분의 황등색 색소들도 클로로필 (chlorophyll)의 분해로 유래되었다고 생각되는 포르피린(porphyrin) 유도체이며 일부의 황등색 색소는 carbonyl 원자단을 갖인 캐로틴오이드(carotenoid)로 추정되었다. 특히 피오피틴(pheophytin) a 내지 그 유연체(類緣體)라고 생각되는 밴드 8의 색소와 캐로틴오이드 라 추정되는 밴드 7의 색소가 함량이 높은 주요 색소들이다. 황변패육(黃變貝肉)의 추출물의 크로마토그람이 내장의 추출액의 그것과 정성적으로 유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패육(貝肉)의 황변물질(黃變物質)은 내장 색소에서 유래되며 이 황갈 변색을 일으키는 phorphyrin 유도체 및 carotenoid 들은 함수 아세톤에 잘 용해되는 성질의 것임을 알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