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women

검색결과 469건 처리시간 0.022초

경력단절여성의 자녀상호작용 및 사회적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부부갈등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Child Interaction and Social Support on Parenting Stress of Career-interrupted Women :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Conflict)

  • 임은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13-22
    • /
    • 2019
  •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자녀상호작용, 부부갈등, 사회적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녀상호작용과 양육스트레스 관계에서 부부갈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8차년도 한국아동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868명의 경력단절여성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경력단절여성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녀상호작용(β=-.184), 부부갈등(β=.427), 사회적지지(β=-.096)이며 32.3%의 설명력을 보였고, 부부갈등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또한 자녀상호작용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부부갈등은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일·가정양립 시대에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을 지원하는 관점에서 이들의 양육스트레스를 예방·경감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REBT 진로 집단상담이 경력단절 30대 기혼여성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EBT Career Group Counseling on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the Career-Inturrupted Married Women in Thirties)

  • 여숙현;김명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571-577
    • /
    • 2016
  • 최근에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와 사회참여에 대한 문제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고, 주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력단절 30대 기혼여성에게 REBT 이론을 적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 및 실시하여, 그들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시 소재 초등학교 자녀를 둔 30대 경력단절 기혼여성 45명이었다. 본 연구에 지원한 45명을 상담집단(REBT 집단), 통제집단1(일반부모 교육 집단)과 통제집단2(직업상담사 교육집단) 3집단에 각 15명씩 무선배정하고 사전-사후 비교를 실시했다. 측정도구는 자기효능감 척도와 진로태도성숙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REBT 진로 집단상담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 사회효능감, 자기효능감(전체) 등이 사후에 증진되었다. 또한 REBT 진로 집단상담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태도성숙도의 현실성, 준비성, 결정성, 진로성숙도(전체)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REBT 진로 집단상담이 경력단절 30대 기혼여성의 진로와 경력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을 보다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신념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경력단절여성 진로장벽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areer Barrier Scale for Career Interruption Women)

  • 김애리;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8권1호
    • /
    • pp.1-50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여성 대상 진로장벽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조사 대상은 과거 취업 경험이 있고, 재취업을 희망하고 있으며, 결혼, 임신, 출산, 육아, 가족 돌봄 등의 이유로 퇴직을 경험한 만 20세~54세까지의 기혼여성으로 경력단절 기간은 1년 이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1에서는 문헌 검토, 경력단절여성 10명 대상 일대일 심층 인터뷰, 경력단절여성 100명 대상 개방형 설문을 실시 하여 7개요인 63개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도출한 63개 문항으로 경력단절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6개 요인 39문항을 도출하였다. 연구 3에서는 연구 2에서 최종 도출된 39문항과 연구대상에게 중요한 문항이라 판단되었으나 제거된 일부 문항을 추가하여 44문항으로 본조사를 실시 하였다. 경력단절여성 6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본조사에서는 본 검사의 구성개념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전체 표집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 1(G1, N=309)은 탐색적 요인분석, 집단 2(G2, N=291)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집단 1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6요인 34문항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요인의 모형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집단 2(G2)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 하였으며 모형적합도 기준에 충족됨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진로장벽 척도의 수렴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기존 여자 대학생 진로장벽 검사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경력단절여성 진로장벽 척도와 여자 대학생 진로장벽 검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준거 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취업준비행동, 취업스트레스, 상태불안, 삶의 만족도 변인들과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실무적, 정책적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여성공학도 진로장벽에 관한 남녀 인식 비교 (The Differences of Gender Awareness on Women Engineers' Career Barriers)

  • 박선희;신동은;최금진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4호
    • /
    • pp.77-8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공학도의 진로장벽에 관한 남녀 학생 인식비교이다. 이를 위해 진로장벽 인식에 관한 문헌을 조사하고, 이성식(2007) 박사학위논문에서 사용한 내용을 교육학박사 2인이 수정 보완하여 설문문항을 구성하였다. 설문대상은 수도권 소재 4학년 재학 중인 공과대학생 691명이다. 연구결과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여성의 진로장벽인식(상호작용적, 태도, 사회적 대인적 진로장벽)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들은 태도장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반하여 상호작용적 장벽을 부정적으로 자각하고 있었다. 여학생들이 인식한 태도장벽과 상호작용적 장벽의 구체적인 요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초점그룹 인터뷰 결과에서 여성공학도들은 학점을 근거로 자신들을 준비된 공학도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었고, 여성의 진로개발과 유지에서의 애로사항은 잘 이해하고 있는 반면, 이에 대한 대응 전략에 대한 인식은 미흡하였다.

  • PDF

직장여성의 결혼에 따른 여가제약과 여가제약협상 (Leisure Constraints and Negotiation based on the Marital Status in Career Women)

  • 김홍설;이문진;황선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42-251
    • /
    • 2015
  • 본 연구는 직장여성의 여가제약과 여가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여가제약협상전략을 파악하고, 결혼여부에 따른 여가제약과 여가제약협상의 차이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 직장에 근무하는 직장여성을 모집단으로 집락할당표집을 이용하여 44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7부를 제외한 43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SPSS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독립 t-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 여성의 여가제약은 대인적 제약, 개인적 제약, 시간적 제약, 비용 및 정보 제약, 환경적 제약, 신체적 제약의 6개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기혼여성과 미혼여성 모두 환경적 제약과 시간적 제약을 가장 크게 느끼고 있다. 둘째, 직장여성의 여가제약협상전략은 기술습득, 대체활동, 강도조절, 동반자탐색, 활동비 및 시간관리의 5개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기혼여성과 미혼여성 모두 기술습득 전략을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셋째, 기혼여성의 제약 수준이 미혼여성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으며, 시간적 제약과 신체적 제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기혼여성의 여가제약협상 수준이 미혼여성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기술습득 전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통적으로 남성주도적인 전문직 진출을 준비하는 우리나라 여대생의 성격 및 가정환경의 특성 연구 : 법대 및 의대 재학생을 중심으로 (Individual and Family Background Predictors of Nontraditional Career Orientation among Korean College Women)

  • 김용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57-265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college women in regard to personality and family background characteristics. Subjects were 180 college women majoring in Education, Nursing, Medicine, and Law. ANOVA and discriminant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nontraditional wome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acacemic achievement, SES, and parental support and influence than traditional women. SES, psychological masculinity, and parental support and influence were the most powerful predictors of nontraditional career orientation. Suggestions were made regarding precautions and need of cross-cultral study.

  • PDF

여대생의 외모관리행동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n Career Decision Level in Female College Students)

  • 김미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20권4호
    • /
    • pp.36-49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n career decision level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 items for a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For the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292 students from women's university in Seoul.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statistics 23.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 structure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had three factors: 'fashion & hair,' 'skin & plastic surgery,' and 'body shap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actor structure were proved. Second,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ub-factors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Career decision level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only with body management factor. Third,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was found to have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For higher grade students, fashion & hair factor and body shape factor had positive effects on career decision level. For lower grade students, body shape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while skin & plastic surgery factor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Therefore, to increase career decision level, managing appearance through keeping fit body shape is crucial.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as one elevates to a higher grade,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and keeping interest toward fashion is important.

한국 직장여성의 일상 상황별 추구하는 자기이미지와 선호 패션스타일 (The Preferred Fashion Style and Self-image that Korean Career Women's Seek According to Daily Situations)

  • 홍혜림;김영인
    • 복식
    • /
    • 제66권7호
    • /
    • pp.50-68
    • /
    • 201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self-image and preferred fashion styles that Korean career women seek in different daily situations, and to propose a positioning map in accords with the finding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used twenty items of self-image adjectives extracted from existing studies, and eighteen fashion style stimuli collected by examining women's wear brands. The study surveyed 329 career women. Their daily situation was classified into five situations; external meeting and presentation, ordinary work, wedding and family gathering, blind date or date, and meeting with friends and acquaintance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lf-image and fashion style preferences are relevant to daily situation. The image most sought in external meetings and presentation was the 'Elegant' image, and the image most sought in meetings with friends and acquaintances was the 'active' image. Women on dates or blind dates sought the 'feminine' image the most, however they preferred to avoid this image during external meetings and presentations. Among fashion styles, the 'elegant/classic' style was most preferred, and the 'sexy/avant-garde' style had the lowest preference among all the styles. 'Mannish' was preferred in ordinary work and meeting with friends and acquaintances, however, it was shown as having the lowest preference level in blind dates or dates. The 'romantic/natural' style was highly preferred in meeting with friends and acquaintances, however it had a low level of preference for external meetings and presentation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providing practical information to utilize in fashion industry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mage and preferred fashion style sought by career women according to daily situation, and using the results to propose a positioning map.

직장여성의 식습관에 관한 조사연구 (Food Habit of Career Women)

  • 정희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6-170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scribe the food habit. Five hundreds ten women working more than 6 months were chosen for samples among the residents in Seoul and Kyungki provinces. This survey was done by questionnaire from the 5th September to the 5th October 1996. The results was followed: 1. The average score of the food habit in the career women was 9.6 among the total score 20. 2. The food habit of the career women appeared worse to whom were younger, single, and having loss educational backgrounded and living apart from family. When the average score of food habit was compared between groups, nurses group was lower than the other group, and shift workers. 3. Education and guidance for appropriate diet and food habit will be considered as necessary for health of the working women.

  • PDF

국내 여성 캐릭터.커리어 브랜드의 리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 수입 매스티지 브랜드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positioning of Korean Character/Career Women's Wear Brands - Focu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Import Masstige Brands -)

  • 신수연;조정아
    • 복식문화연구
    • /
    • 제17권1호
    • /
    • pp.120-13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repositioning strategy for Korean character/career women's wear brands by comparing them with masstige brands. The subjects were 240 Women in their twenties and early fortie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e data had been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frequency and biplo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brand preference was 'Time'(33.3%), 'Michaa'(12.5%), and then 'Mine'(8.8%) in sequence; (2) For brand differentiation, the attributes of 'store image', 'comfortableness', 'brand reputation', and 'promotion' were found out to be important in sequence; (3) The national character/career brands were favored by theirs 'store image', 'quality', and 'design', while imported masstige brands were favored by theirs 'comfortableness', 'brand reputation', 'promotion', and 'perceived price'; (4) Among brands, 'Time' had been highly evaluated, but comparatively showed weakness on 'perceived price', 'comfortableness', and 'promotion'.

  • PDF